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 프로파일 분류: 성별,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차이 분석

Differences in Latent Profile Analy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Loner Tendencies and Academic Burnout According to Gender, Ego-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을 규명하고 이러한 프로파일에 따라 성별, 자아탄력성(자아탄력 및 자아취약),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 중학생 3학년 2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프로파일은 4개의 집단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이 모두 낮은 ‘적응 집단’, 외톨이 성향은 낮으나 학업소진은 높은 ‘소진 집단’, 외톨이 성향은 높으나 학업소진은 낮은 ‘외톨이 집단’,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이 모두 높은 ‘외톨이-소진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4개 집단에 대해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톨이-소진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자아탄력, 높은 자아취약, 낮은 학교적응 수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keywords
외톨이 성향 학업소진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잠재프로파일 분석 loner tendency academic burnout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Latent Profile Analysi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files of loners and those likely to suffer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files differed by gender, ego-resilience, ego-weakness, and schoo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0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n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main profiles of students related to their likelihood of being loners and suffering academic burnout: the adaptive group, which had a low tendency towards both loneliness and academic burnout; the burnout group, which had a high tendency towards academic burnout but a low tendency towards loneliness; the lonely group, which had a high tendency towards loneliness but a low tendency towards academic burnout; and the loner-burnout group, which had high tendencies towards both loneliness and academic burnout. Cross-tabulation and one-way ANOVA analyses of the four groups showed that the loneliness-burnout group had a statistically lower level of ego-resilience, higher level of ego-weakness, and lower level of school adaptation than the other group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sen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loner tendency academic burnout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Latent Profile Analysi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1-02-16
수정일Revised Date
2021-04-0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1-04-22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