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권호 목록

청소년의 학교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행동적 몰입을 중심으로
이연희(광운대학교) ; 탁진국(광운대학교) pp.153-174 https://doi.org/10.16983/kjsp.2021.18.2.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화에 중요한 학교 몰입 중 행동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에 대한 검증에 있다. 선행변인은 사회화의 주체가 되는 청소년의 개인특성과 학교현장의 사회적지지라고 할 수 있는 또래지지와 교사지지로 범주화하여 설정하였다. 개인특성에는 강점인식 및 활용과 학습목표지향성을, 또래지지에는 또래의 강점지지와 또래 학업지지를, 교사지지에는 교사의 강점 지지와 관점변화지지를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그 중 33명을 제거, 506명의 데이터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특성의 하위요인으로 설정된 학습목표지향성만이 행동적 몰입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tecedent variables that positively influence behavioural engagement during school engagement, which is critical to adolescent socialization. The antecedent variable was categorized int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ho are the main agents of socialization and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which can be called social support at school sit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e strength recognition, strength utilization, and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peer supports include the supports for personality strength and academy, and, teacher supports include the supports for personality strength and perspective chang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539 high school students nationwide, collected data, 33 of them were removed, and 506 data were analyzed. Analysis shows that only learning goal orientation set as a sub-factor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has a static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engagement.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of the study.

중학생의 소속감 지향성이 심리적 적응 및 친구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단기-종단적 분석
이승진(고려대학교) ; 고영건(고려대학교) pp.175-195 https://doi.org/10.16983/kjsp.2021.18.2.175
초록보기
초록

친밀한 친구 관계를 맺고 소속감을 느끼는 것은 청소년의 심리ㆍ사회적 발달 및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소속감 지향성은 소속감을 추구하는 동기로, 성장 지향성과 결핍감소 지향성으로 구분된다. 성장 지향성과 결핍감소 지향성은 심리적 적응 및 대인관계 특성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소속감 지향성이 심리적 적응과 친구 네트워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중학교의 2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에 검사를 실시했다. 친구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수신 중심성 분석을 통해 측정했다. 다층 회귀모형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첫째, 학기 초의 외로움과 스트레스에 대한 성장 지향성의 효과는 학기 초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으나, 결핍감소 지향성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장 지향성은 학기 말의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을 유의하게 예측했다. 이러한 효과는 학기 초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과 학기 말 심리적 적응 수준을 분석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다. 셋째,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학기 말의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의 효과는 학기 초 및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을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다. 본 연구는 단기-종단적 설계를 통해 소속감 지향성이 청소년의 학기 초와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과 친구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Abstract

Intimate friendships and a sense of belonging have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adaptation. Belongingness orientation is the motivation to belong. It is divided into growth orientation and deficit-reduction orientation, both of which have different effects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adolescents’ belongingness orientation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friend networks.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were surveyed both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pring semester. Friend networks were measured through network centrality analysis.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produced three major results. The first major result was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growth orientation and loneliness and between growth orientation and stress at the beginning of the spring semest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when friend network centrality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model, but the correlation between deficit-reduction orientation and loneliness and between deficit-reduction orientation and stres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cond major result was that growth orient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friend network centrality at the end of the spring semester. This effect was significant even when friend network centrality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at the end of the spring semester were added to the analysis model. The third major result wa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riend network centrality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when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mest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d a short-term longitudinal design and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ongingness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of adolescents and between belongingness orientation and the development of friend networks. Lastly, we discuss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학생 관계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적극적 대처의 매개 효과
최사라(매탄초등학교) ; 김민정(아주대학교) pp.197-220 https://doi.org/10.16983/kjsp.2021.18.2.19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유연성과 적극적 대처가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경기도에서 근무하는 203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로 성인애착, 인지적 유연성, 적극적 대처, 교사-학생 관계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SP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를 인지적 유연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교사의 성인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증가하여 교사-학생 관계가 향상됨을 의미한다. 둘째, 인지적 유연성과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를 함께 고려할 때,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를 적극적 대처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애착이 적극적 대처로 가는 직접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셋째, 초등교사의 성인애착과 교사가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를 인지적 유연성과 적극적 대처가 순차적으로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즉, 초등교사의 애착이 안정적일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높아져 적극적 대처를 하게 되므로 교사가 학생과의 관계를 더욱 긍정적으로 지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lexibility and active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ult attachment and their perception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0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that contained adult attachment, cognitive flexibility, coping,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al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macros. There were three major results. First, cognitive flexibility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erception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eachers who had secure adult attachment tended to positively perce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s a result of their cognitive flexibility. Second, active coping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erception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when the mediating effects of both cognitive flexibility and active coping were considered. This result means that adult attachment indirectly affected active coping via cognitive flexibility. Third, cognitive flexibility and active cop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erception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Teachers who had secure adult attachment tended to perce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positively as a result of their cognitive flexibility and active coping. This paper prese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정체성 혼란과 역할갈등이 소진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의미창조의 조절된 매개효과
전성은(전남대학교) ; 강영신(전남대학교) pp.221-247 https://doi.org/10.16983/kjsp.2021.18.2.2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정체성 혼란이 소진 및 직무 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정체성 혼란이 소진 및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설명하는 매개변인으로 역할갈등을,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변인으로 직무의미창조를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전문상담교사 총 150명의 응답을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역할정체성 혼란은 역할갈등 및 소진과 정적 상관, 직무 만족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할갈등이 역할정체성 혼란과 소진 및 직무 만족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역할정체성 혼란이 소진 및 직무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역할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변인들의 경로에서 직무의미창조에 의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연구 결과의 함의와 연구의 한계에 대해 기술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burnout and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job satisfaction are mediated by role conflict and whether job crafting moderates the medi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conflict and burnout and betwee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A total of 150 professional school counselors completed a survey about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role conflict,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job crafting.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burnou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osi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and that role conflict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burnout and between role identification confusion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job crafting in these relationshi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paper discusses this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 또래괴롭힘 피해, 우울 간의 관계: 학급별 차별수준의 조절효과
최은지(이화여자대학교) ; 송경희(우석대학교) ; 이승연(이화여자대학교) pp.249-267 https://doi.org/10.16983/kjsp.2021.18.2.2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또래괴롭힘 피해에 초점을 맞추어 개인수준에서 그 위험요인(사회적 위축)과 발달적 결과(우울)를 확인하고, 학급수준의 차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다층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수준에서 중학생의 사회적 위축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또래괴롭힘 피해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 나아가 또래괴롭힘 피해경험에 개인수준의 사회적 위축과 학급수준의 차별 간 층간 상호작용 효과가 발생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7개 중학교, 86학급에서 수집된 1,116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개인수준에서 사회적 위축, 또래괴롭힘 피해, 우울 간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학급수준에서 차별은 또래괴롭힘 피해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사회적 위축과 차별의 층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 사회적으로 위축된 학생이 높은 수준의 차별이 발생하는 학급에 속할수록 또래괴롭힘 피해를 더 많이 경험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수준의 취약성이 항상 또래괴롭힘 피해를 예측하는 것이 아니고, 맥락과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주며, 결과적으로 또래괴롭힘 피해를 이해하기 위해 개인특성 뿐 아니라 학급의 맥락적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효과적 개입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social withdrawal as an individual factor and discrimination as a contextual factor contributed to depression caused by peer victimiza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reported data of 1,611 students from 86 classrooms in 7 middle schools was analyzed, using multilevel path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peer victimization ha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at the individual level. Social withdrawal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s well as an indirec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via high levels of peer victimization. Discrimination also positively predicted peer victimization at the classroom level. Moreover, classroom-level discrimination moderated the individual-level relations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peer victimizati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peer victimization was much stronger as the levels of discrimination in the classroom were higher.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individual and contextual factors when intervening to prevent peer victimization.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과의존을 통한 자존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지연(청소년마음성장연구소) ; 김현하(양주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pp.269-290 https://doi.org/10.16983/kjsp.2021.18.2.2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우울․불안의 관계를 인터넷 과의존이 매개하여 중학생의 우울․불안을 자존감이 조절하는지에 대한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스트레스 척도, 인터넷 과의존 척도, 우울․불안 척도, 자존감 척도를 이용하여 2019년 공개된 13차년도 한국복지패널 아동데이터 383명 자료(중학교 1학년 114명, 2학년 138명, 3학년 131명)에 대해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모델14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터넷 과의존의 부분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에서 자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가 우울․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인터넷 과의존이 이를 매개하며, 인터넷 과의존과 우울․불안의 관계를 자존감이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인터넷에 과의존을 하게 되며, 우울․불안이 증가하여 정신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자존감이 보호요인으로 중요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Surveys were conducted as part of the 13th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The survey included academic stress, internet overdependence, depression and anxiety, and self-esteem scales. A total of 383 middle school students completed surveys.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There were three major results. First, internet overdependence partially mediation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 self-estee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overdependence and depression and anxiety. Third, self-esteem also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through internet overdepende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lf-esteem i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internet overdependence on mental health and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middle school student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his study'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