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권호 목록

학교조직풍토와 교사 소진의 관계: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잠재프로파일을 중심으로
최현주(울산대학교) ; 장은비(강원대학교) pp.291-316 https://doi.org/10.16983/kjsp.2021.18.3.29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유형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규명하고, 각 프로파일에 따라 교사 소진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Mplus 3단계 접근법을 이용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수교사 3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특수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풍토의 잠재프로파일은 5개의 집단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관료지향이 높고 인간지향이 낮은 ‘폐쇄적 집단’, 방관이 높고 친교/헌신/목표지향이 낮은 ‘방임적 집단’, 모든 풍토가 중간 수준인 ‘평균 집단’, 친교/헌신은 높으나 인간지향이 낮은 ‘통제적 집단’, 마지막으로 인간지향은 높고 관료지향/방관이 낮은 ‘자율적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5개 집단의 교사 소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사 소진을 보조변수(distal auxiliary variable)로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전체 소진 및 3개 하위요인(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무능감) 모두에서 폐쇄적 집단이 가장 높은 점수를, 자율적 집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사 소진과 학교조직풍토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how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 their school’s organizational climate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performed using Mplus, and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teacher burnout rate between perception groups using three-step approaches. The participants were 3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erception groups were identified as ‘closed’, ‘laissez-faire’, ‘average’, ‘controlled’, and ‘autonomous.’ The groups had different teacher burnout rates. The closed group had the highest rate, while the autonomous group had the lowest.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 burnout and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and suggests ideas for future studies.

인터넷, 게임, 스마트폰 과사용 선별 질문지의 청소년 대상 타당화 연구
박경우(성균관대학교)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 전홍진(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pp.317-349 https://doi.org/10.16983/kjsp.2021.18.3.3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과사용 여부를 측정하는 인터넷(IOS-Q), 게임(GOS-Q), 스마트폰(SOS-Q) 과사용 선별 질문지를 대규모 일반 청소년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하여, 선별검사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 도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9,336명의 중학생(남 4,796명, 여 4,540명)을 두 개 집단으로 구분하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타 지역에서 모집된 초등학생 4,536명(남 2,260명, 여 2,276명) 및 중학생 6,551명(남 3,013명, 여 3,538명)을 대상으로 한 번 더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세 척도 모두 네 개 하위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IOS-Q는 17문항, GOS-Q는 19문항, SOS-Q는 18문항을 포함하였다. IOS-Q와 GOS-Q의 하위요인은 심리적 의존, 문제를 인식함에도 조절실패, 위험한 사용, 다른 영역에의 흥미 감소로 명명되었고, SOS-Q의 경우 위험하고 강박적인 사용, 문제를 인식함에도 조절실패, 다른 영역에의 흥미 감소, 금단/내성으로 명명되었다. 이들은 모두 행동중독이나 충동조절장애의 주요 특징들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며, 내적 합치도 역시 .880–.915로 우수한 편이었다. 이어서 고위험군을 선별하기 위한 절단점을 탐색하고자 잠재프로파일분석과 ROC 분석을 실시하였고, IOS-Q 30.5점, GOS-Q 31.5점, SOS-Q는 36.5점이 최적 절단점으로 제안되었다. 끝으로 연구 의의와 한계점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ternet (IOS-Q), Game (GOS-Q), and Smartphone (SOS-Q) Overuse Screening Questionnaires in a large community sample of adolescents. To achieve this goal, data from 9,336 middle school students (male: 4,796, female: 4,540)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nalyzed by conduct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pectively. We conducted anoth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a separate sample of data from 4,536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le: 2,260 male, female: 2,276) and 6,551 middle school students (male: 3,013, female: 3,538) from other population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IOS-Q was consisted of 17 items, GOS-Q was consisted of 19 items, and SOS-Q was consisted of 18 items. The IOS-Q and GOS-Q factors were psychological dependence, failure to control use despite recognizing problems, dangerous use, and reduced interest in other areas while the SOS-Q factors were dangerous and obsessive use, failure to control use despite recognizing problems, reduced interest in other areas, and withdrawal/tolerance. Each factor reflected the major facets of behavioral addiction or impulse control disorder, and the questionnaires had good internal consistencies of .880–.915. Latent profile and ROC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cutoff points for screening high-risk groups. Last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우정관계 질투의 매개효과
김주혜(대구가톨릭대학교) ; 박은영(대구가톨릭대학교) pp.351-370 https://doi.org/10.16983/kjsp.2021.18.3.35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우정관계 질투가 매개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대구⋅경북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556명(여학생 318명, 남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 자녀의 관계적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우정관계 질투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로 확립된 자녀의 거부민감성이 우정관계 질투를 증가시킴으로써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성별에 따른 경로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서 거부민감성으로 가는 경로, 부모의 심리적 통제에서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 우정관계 질투에서 관계적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중학생 자녀의 관계적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성별을 비교하여 차별화된 결과를 통해 관계적 공격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치료적 개입방향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relational agg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friendship jealousy, an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se variables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gender and family form. Data of 554 middle school students living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re were two major results. The first major result was what rejection sensitivity and friendship jealous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relational aggression. The second major result was gender differences which was shown by a multi-group analysis to examine in the path from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rejection sensitivity, the path from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relational aggression, and the path from friendship jealousy to relational aggress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relational aggression and identified direction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s.

대학 졸업을 앞둔 학생선수의 진로준비과정을 위한 진로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태림(고려대학교) ; 이보라(고려대학교) ; 박송주(고려대학교) ; 김경민(고려대학교) pp.371-398 https://doi.org/10.16983/kjsp.2021.18.3.3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A 대학 4학년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3회기에 걸친 진로프로그램을 시행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Super와 Ginsberg의 진로발달이론과 Holland의 직업선택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진로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90분씩 3주에 걸쳐 진행됐다. 연구에 참여한 학생선수는 총 13명이며 운동 종목은 야구, 럭비, 하키, 피겨이다. 학생선수는 운동을 그만두었을 때 운동선수 이외의 다른 직업에 대한 준비가 쉽지 않다는 문제점에 기반하여 본 프로그램은 학생선수들이 졸업 후 가질 수 있는 직업들은 무엇인지 탐색할 수 있게 하고 그를 통해 진로준비의 효능감을 높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선수들의 자기 이해가 향상되었으며 진로 태도 성숙의 준비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학생선수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프로그램 시행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진로 스트레스는 프로그램 전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줄어들지 않았다. 비교적 단기간의 진로프로그램이지만 학생선수들이 학령기 동안 경험하기 힘들었던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정보에 대한 탐색은 그들의 진로준비에 효과적으로 도움이 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생선수들을 위한 진로프로그램의 개발과 시행의 필요성과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등이 논의되었다.

Abstract

Student-athletes identify themselves as athletes first and students second and experience identity foreclosure in which they rarely consider other possibilities for their career besides professional athletes. There is a gap between the career education that college student-athletes and regular students get, so we conducted this stud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education program. The propos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based on Super and Ginsberg’s career development theory and Holland’s career choice theory. Data were collected from 13 college student-athletes using a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and analyzed using a t-test.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90-minute weekly sessions over 3 weeks. The program’s effectiveness was measured in terms of participants’ stress from a lack of career information, career preparedness,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variable, except stress from a lack of career inform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program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 indicating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career education for student-athlete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업소진의 관계: 욕구지지적 교수행위와 기본심리욕구 만족의 순차적 매개효과
박상우(연세대학교) ; 박희웅(연세대학교) ; 이수란(경남대학교) pp.399-423 https://doi.org/10.16983/kjsp.2021.18.3.3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진 소명의식이 타인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학생 인식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교사의 소명의식이 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및 그러한 영향의 기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한민국 고등학생 298명을 대상으로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학업소진 간의 관계가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 및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에 의해 매개되는지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과 학생의 학업소진의 직접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를 매개로 학생의 학업소진과 부적인 간접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소명의식은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욕구지지적 교수행위(매개변인 1) 및 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매개변인 2)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학생의 학업소진과 부적인 간접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하였다.

Abstract

We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nalyze data from 298 high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perceived teachers’ calling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perceived need-supportive teaching and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perceived teachers’ calling was not directly related to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that student-perceived need-supportive teaching mediated the indirec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perceived teachers’ calling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Furthermore, student-perceived need-supportive teaching and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indirec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perceived teachers’ calling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