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권호 목록

지방사립대 남학생들의 학업중단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고학년 제적학생을 중심으로
박경은(세명대학교) ; 윤진영(세명대학교) pp.1-29 https://doi.org/10.16983/kjsp.2021.18.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고등교육기관 존립의 위협이 높아진 현 상황에서 지방사립대학 고학년 남학생들의 학업중단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지 한 대학에서 제적 학생의 명단을 받아 연구 참여에 동의한 15명 학생과의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질적 연구 분석 방법 가운데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183개의 개념과 54개의 하위 범주, 18개의 상위 범주를 도출하였고, 축코딩 매트릭스의 결과를 제시하였다. 과정 분석에서는 지방사립대 고학년 남학생의 학업중단의 과정은 총 7단계로, ‘소속감 찾기’, ‘재미 찾기’, ‘멈춰 생각하기’, ‘(바깥)세상 경험하기’, ‘진로 확정하기’, ‘몰두하기’, ‘학업 마무리 짓기’를 통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선행연구와의 비교분석을 제시하였고, 향후 지방사립대학의 존립을 위한 대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sychosocial changing process of upper grade students expelled from local private university. For this purpose,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15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unded Theory. As a result, 183 concepts, 54 sub categories, and 18 essential categories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e process analysis showed that the process of psychosocial changing is composed of seven steps Find a sense of belonging’, ‘Find fun’, ‘Stop thinking’, ‘Experience the (outside) world’, ‘Career decision’, ‘Immersion’, ‘Finish the 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es, and the newly discovered points and future research topics and points to be considered in local private university field were discussed.

대학 신입생들의 교우관계를 통한 학업유지 예측
이연주(덕성여자대학교) ; 최승원(덕성여자대학교) pp.31-48 https://doi.org/10.16983/kjsp.2021.18.1.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특정 학과에 입학한 대학 신입생들의 학과 내 교우관계가 향후 해당 학과에서의 학업유지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업유지 상태는 측정한 기간 동안 학생이 대학에 등록을 하여 재적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연구는 교우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자신과 타인의 지각을 집단에서 파악할 수 있는 사회연결망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관계를 정량화하는 방법으로 사회적 요인을 구체화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17년, 2018년, 2019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름 생성기 방식을 통하여 교우관계를 양적으로 나타내는 네트워크 변인들을 조사하였고 이를 독립변인으로 하여 2020년 1학기까지의 학업중단 경험 유무를 통해 학업유지 정도를 예측하였다. 분석 방법은 Cox 비례위험모형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내향 연결정도 중심성이 학생들의 학업유지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과 동기 사이의 교우관계가 학업유지 및 중단을 예측하여 조기선별과 학업유지를 위한 개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연구대상이 하나의 학과 신입생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일반화를 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retention of university freshmen could be predicted using their peer relationships in a specific department. In this study, retention was defined as a student staying enrolled in their universit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ocial relationships are formed through interaction between people, so both students’ self-perceptions and others’ perceptions of them must be accounted for, so we used a social network analysis that did so. We examined social networks visualizations that allowed for a rich interpretation of numerical information.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reshmen who enrolled in an undergraduate program in 2017, 2018, or 2019. We used the name generator method to determine how quantitative friendship network variables predicted the academic retention up to the first semester of 2020.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weighted indegree centrality with intimacy positively predicted re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dentify and conduct interventions for students who may be likely to disenroll. However all of the students did not participate in the department, it was difficult to examine their entire peer networks. Thus, this study’s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because the participants are students of a specific major,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produce more generalizable results.

남녀 고등학생들의 우정에 대한 개념도 연구
이은영(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 이정미(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pp.49-70 https://doi.org/10.16983/kjsp.2021.18.1.4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남녀고등학생의 우정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탐색적으로 알아보고, 귀납적으로 우정을 개념화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질적 자료를 양적으로 분석하는 개념도 방법을 사용하여 우정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과 인식을 확인하고 그 내용을 시각화하였다. 브레인스토밍 과정을 통해 남학생그룹에서 93개, 여학생그룹에서 100개의 진술문을 산출하였으며, 이를 분류하고 범주화하는 작업을 통해 최종 개념도를 완성하였다. 분석결과, 남녀 집단의 최종 개념도 모두 ‘실제적-관념적’ 측면과 ‘행동적-정서적’ 측면의 2개 차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주의 수는 4개로 동일했으나, 범주에 속한 진술문의 구체적 내용에는 남녀 집단에 있어 다소간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들은 우정을 행복의 원천이자, 일상을 공유하는 격 없는 사이, 그리고 감정을 공유하고 정서적인 유대를 나누며 서로 돕고 돌보는 관계로 개념화한 반면, 여학생들은 일상을 공유하는 격 없는 사이이자, 서로 돕고 돌보는 관계, 그리고 행복의 원천이자 정서적 연결과 헌신을 주고받는 관계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주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공감과 유대’, 그리고 ‘행복의 원천’을 더 중요시하고, 여학생은 ‘돌봄과 지원’과 ‘격 없는 사이’를 더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and perceptions of friendship and to inductively conceptualize friendship. The concept mapping method which is used to quantitatively analyze qualitative data was used to identify and visualiz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friendship. Through a brainstorming process, 93 statements were generated by boys and 100 statements were generated by girls, each set of which were sorted and categorized to generate concept maps. The final concept maps from both group equally had two dimensions: ‘Practical-Conceptual’ and ‘Behavioral-Emotional’. The number of categories was equal to four,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specifics of the statements in the category. Boys tended to conceptualize friendship as a source of happiness; a type of informal relationship through which they could share their everyday lives; and provide mutual care and engage in emotional bonding. In addition to those conceptualizations, girls also tended to conceptualize friendship as an affective alliance through which they displayed devotion to each other. Boys regarded the sympathy and bonding found in and the happiness produced by friendship as more important elements, whereas girls regarded the care and support found in and the informal nature of friendship as more important.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효과
강민정(영남대학교) ; 조현주(영남대학교) pp.71-97 https://doi.org/10.16983/kjsp.2021.18.1.7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애착외상과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 소재 대학의 대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아동기외상, 자비불안,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를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애착외상이 높은 집단(상위 25%)과 낮은 집단(하위 25%)으로 분류하여 주요 변인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애착외상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의 이중매개 효과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애착외상이 높은 집단은 애착외상이 낮은 집단에 비해 타인으로부터 받는 자비두려움, 자기자비두려움, 정서조절곤란, 대인관계문제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각각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애착외상이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을 통해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애착외상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자비두려움과 정서조절곤란이 완전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외상이 자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정서조절곤란으로 이어져 대인관계문제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상담 개입 장면에서 갖는 의의를 논의하고 한계와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fear of compassion and the difficulties of emotional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6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assessed their attachment trauma, fear of compassion,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ose with high attachment trauma had significantly more interpersonal problems, fear of compassion from others, fear of self-compa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than those with low attachment trauma. Further, fear of compassion an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were shown to fully mediate and fully dual-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trauma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ttachment trauma affects the degree to which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interpersonal problems and that fear of compa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difficulties may be the mechanism underlying that relationship.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 프로파일 분류: 성별,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차이 분석
남숙경(국민대학교) ; 최현주(울산대학교) pp.99-119 https://doi.org/10.16983/kjsp.2021.18.1.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으로 구성되는 잠재프로파일을 규명하고 이러한 프로파일에 따라 성별, 자아탄력성(자아탄력 및 자아취약),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 중학생 3학년 2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의 잠재프로파일은 4개의 집단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이 모두 낮은 ‘적응 집단’, 외톨이 성향은 낮으나 학업소진은 높은 ‘소진 집단’, 외톨이 성향은 높으나 학업소진은 낮은 ‘외톨이 집단’, 외톨이 성향과 학업소진이 모두 높은 ‘외톨이-소진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4개 집단에 대해 교차분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외톨이-소진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자아탄력, 높은 자아취약, 낮은 학교적응 수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학생 상담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rofiles of loners and those likely to suffer academic burnou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se profiles differed by gender, ego-resilience, ego-weakness, and school adapta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70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n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four main profiles of students related to their likelihood of being loners and suffering academic burnout: the adaptive group, which had a low tendency towards both loneliness and academic burnout; the burnout group, which had a high tendency towards academic burnout but a low tendency towards loneliness; the lonely group, which had a high tendency towards loneliness but a low tendency towards academic burnout; and the loner-burnout group, which had high tendencies towards both loneliness and academic burnout. Cross-tabulation and one-way ANOVA analyses of the four groups showed that the loneliness-burnout group had a statistically lower level of ego-resilience, higher level of ego-weakness, and lower level of school adaptation than the other groups.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presen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학생 자살 후 교사의 애도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어려움 및 도움 요인
서정일(연세대학교) ; 이화연(연세대학교) ; 김가연(연세대학교) ; 이동귀(연세대학교) pp.121-151 https://doi.org/10.16983/kjsp.2021.18.1.1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학생의 자살 이후,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상실에 대처하는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과 도움 요소를 경험하는지 개념도 방법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의 자살을 경험한 중․고등학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시행하였고, 진술 내용을 기초로 총 113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 문장들은 참여자들에 의해 비슷한 의미를 가진 것끼리 분류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의 애도 과정에서의 어려움 요인은 ‘자살사별자 관련 및 자살 학생 관련’ 축과 ‘외부시스템 및 내적 경험’ 축의 2차원으로 구조화되었으며, 총 4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각의 군집은 ‘자살을 예방하지 못한 후회,’ ‘자살 사건에 대한 학교의 무관심,’ ‘자살사별자 관련 무력감,’ ‘자살사별자 관련 접근-회피 갈등’으로 명명되었다. 교사들의 적응과정에서 도움 요인은 ‘직업적 활동 및 개인적 활동’ 축과 ‘상실 경험 분리 및 상실 경험 밀착’ 축의 2차원으로 구조화되었고, 총 6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군집은 ‘자살사별자 간 협조와 보살핌,’ ‘바쁜 일상과 현재에 집중,’ ‘영성 활동,’ ‘사회적 지지,’ ‘이타적 행동을 통한 애도,’ ‘고인에 대한 연민’으로 명명되었다. 본 연구는 그동안 관심을 받지 못했던 교사 집단의 학생 상실 경험을 조명하고, 이들이 애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 요인과 도움 요인의 개념적 구조를 당사자의 관점에서 생생하게 규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helped and hindered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experienced student suicide using the concept-mapping approach. Seven South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were interviewed from which 113 core statements were elicited. The participants sorted these core statements into categories by mean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he teachers’ experiences. Four hindering factor clusters emerged: (1) regret over failing to prevent the suicide, (2) an apathetic atmosphere in the school, (3) a sense of helplessness related to suicide survivors, and (4) approach-avoidance conflicts related to suicide survivors. Six helpful factor clusters emerged: (1) cooperation and care offered between suicide survivors, (2) focusing on the present, busy life, (3) spiritual activity, (4) social support, (5) overcoming grief through altruistic behaviors, and (6) sympathy for the deceased. Two dimensions were found for both the hindering and helpful factors. The hindering factor dimensions were external systeminternal experiences and related to suicide survivorsrelated to suicide decedents. The helpful factor dimensions were distancing from the lossapproaching the loss and professional activitiespersonal activities.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explored and described the underlying structure of teachers’ bereavement experiences after student suicides.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