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중학생의 소속감 지향성이 심리적 적응 및 친구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단기-종단적 분석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Belongingness Orientation on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Friend Networks: A Short-term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초록

친밀한 친구 관계를 맺고 소속감을 느끼는 것은 청소년의 심리ㆍ사회적 발달 및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소속감 지향성은 소속감을 추구하는 동기로, 성장 지향성과 결핍감소 지향성으로 구분된다. 성장 지향성과 결핍감소 지향성은 심리적 적응 및 대인관계 특성에 서로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소속감 지향성이 심리적 적응과 친구 네트워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 중학교의 2학년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학기 초와 학기 말에 검사를 실시했다. 친구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수신 중심성 분석을 통해 측정했다. 다층 회귀모형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첫째, 학기 초의 외로움과 스트레스에 대한 성장 지향성의 효과는 학기 초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을 분석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으나, 결핍감소 지향성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성장 지향성은 학기 말의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을 유의하게 예측했다. 이러한 효과는 학기 초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과 학기 말 심리적 적응 수준을 분석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다. 셋째,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학기 말의 친구 네트워크 중심성의 효과는 학기 초 및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을 모형에 함께 투입해도 유의했다. 본 연구는 단기-종단적 설계를 통해 소속감 지향성이 청소년의 학기 초와 학기 말의 심리적 적응과 친구 네트워크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했다.

keywords
growth orientation, deficiency reduction orientation, loneliness, perceived stress, network centrality analysis, 성장 지향성, 결핍감소 지향성, 외로움, 지각된 스트레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Abstract

Intimate friendships and a sense of belonging have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adaptation. Belongingness orientation is the motivation to belong. It is divided into growth orientation and deficit-reduction orientation, both of which have different effects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 adolescents’ belongingness orientation affected their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friend networks. Students in their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were surveyed both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pring semester. Friend networks were measured through network centrality analysis.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produced three major results. The first major result was that the correlations between growth orientation and loneliness and between growth orientation and stress at the beginning of the spring semest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when friend network centrality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model, but the correlation between deficit-reduction orientation and loneliness and between deficit-reduction orientation and stres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econd major result was that growth orient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friend network centrality at the end of the spring semester. This effect was significant even when friend network centrality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at the end of the spring semester were added to the analysis model. The third major result was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friend network centrality at the end of the semester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when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s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semest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d a short-term longitudinal design and empirically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elongingness orientation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level of adolescents and between belongingness orientation and the development of friend networks. Lastly, we discuss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성장 지향성, 결핍감소 지향성, 외로움, 지각된 스트레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투고일Submission Date
2021-02-10
수정일Revised Date
2021-06-23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1-08-11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