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심리학회지:학교

메뉴

갈등적 독립수준, 자기주장성,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살펴본 부모화의 하위 집단별 특성

The Effect of Parentification on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Self-assert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향의 하위요인들(도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불공정성)이 부모로부터의 갈등적 독립 수준과 자기주장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부모화의 하위 집단 중, 불공정성을 많이 느끼는 집단의 경우 불공정성을 낮게 느끼는 집단에 비해 낮은 갈등적 수준, 낮은 자기주장성과 높은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을 나타냈다. 도구적 부모화 요인의 경우, 높은 도구적 부모화 경향성 집단은 낮은 자기주장성을 보였지만 정서적 부모화 요인은 집단 간에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불공정성과 정서적 부모화가 아버지와의 갈등적 독립을 유의하게 설명 하였지만 정서적 부모화의 설명량은 크지 않았다. 이 결과는 부모화 경험의 하위 차원에 대한 세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대인관계적 맥락에서 이들의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각각에 대한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keywords
부모화 갈등적 독립 자기주장성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ub-factors of parentification(instrumental, emotional, unfairness) on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self-assert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3 college students on parentification,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self-assert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up perceiving high unfairness within family showed less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lower self-assertiveness, and hig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compared to the others perceiving relatively low unfairness. Highly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group also showed less self-assertivenes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ghly emotional parentification group and its counterpart.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keywords
Parentification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self-assert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투고일Submission Date
2006-04-24
수정일Revised Date
2006-05-0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5-12-31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