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학교

권호 목록

모의 양육태도가 학령초기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문제행동과 유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이귀숙(계명대학교 교육학과) ; 정현희(계명대학교 교육학과) pp.1-1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모의 양육태도 학령초기 아동의 또래관계에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구조모델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모의 양육태도를 예언변수로, 아동의 또래관계를 결과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아동의 문제행동과 유능감을 매개변수로 설정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총 401명(남아 200명, 여아 201병, 평균연령 6.8세)의 초등학교 l학년 아동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모의 양육행동검사, 한국판-아동행동평가척도, 아동용 유능감 척도 및 긍정·부정 또래 지명 검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12.0과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이 사용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의 양육태도는 학령초기 아동의 또래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문제행동을 통하여 학령초기 아동의 또래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유능감을 통하여 학령초기 아동의 또래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학령초기 아동의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예방적 개입에서 부모를 통한 간접적인 방법 보다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적인 개입이 더 효율적일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maternal parenting attitude,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erceived competence contribute to relationship with peer in early school aged children. A total 401 first grade children(200 boys and 201 girls) in 3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mothers were surveyed. Measurements included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K-CBCL, Perceived Competence Scale for Children, and Positive and Negative Nomin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12.0 and AMOS 4.0 was performed for data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relationship with peer in early school aged children doesn't linked with maternal parenting attitude directly, but linked indirectly via children's problem behavior and perceived compete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interventions for good peer relationship in early school age need to contain the contents of reducing problem behavior and improve perceived competence.

갈등적 독립수준, 자기주장성,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살펴본 부모화의 하위 집단별 특성
김경미(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하나(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주리(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정현주(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기학(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19-3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향의 하위요인들(도구적 부모화, 정서적 부모화, 불공정성)이 부모로부터의 갈등적 독립 수준과 자기주장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 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부모화의 하위 집단 중, 불공정성을 많이 느끼는 집단의 경우 불공정성을 낮게 느끼는 집단에 비해 낮은 갈등적 수준, 낮은 자기주장성과 높은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을 나타냈다. 도구적 부모화 요인의 경우, 높은 도구적 부모화 경향성 집단은 낮은 자기주장성을 보였지만 정서적 부모화 요인은 집단 간에 아무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회귀분석 결과 불공정성과 정서적 부모화가 아버지와의 갈등적 독립을 유의하게 설명 하였지만 정서적 부모화의 설명량은 크지 않았다. 이 결과는 부모화 경험의 하위 차원에 대한 세부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대인관계적 맥락에서 이들의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접근함으로써 각각에 대한 차별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ub-factors of parentification(instrumental, emotional, unfairness) on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self-assert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3 college students on parentification,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self-assertiveness,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up perceiving high unfairness within family showed less conflictual independence from parents, lower self-assertiveness, and high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compared to the others perceiving relatively low unfairness. Highly instrumental parentification group also showed less self-assertivenes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ghly emotional parentification group and its counterpart. The implication of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ATI효과의 검토 - 남자 중학생 학습자의 적성요인과 교사특성요인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
박경자(와세다대학) pp.33-5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지정의라는 적성요인과 교사의 개인지향(I), 과제지향(T)이라는 특성요인 과의 ATI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이 두 가지 교사유형 중, 어느 유형이 어느 적성에 더 적절한 가를 알아 교육적 개입의 용이한 적성변수를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가능한 많은 적성변수를 모델에 도입하여 지금까지 단편적으로 다뤄왔던 적성변수를 총체적으로 다룸으로써 학업성적에 대한 예측력을 높이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남자 중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인과모델을 작성하여 학습자의 지정의라는 내적요인과 교사의 개인 및 과제 지향적 대응법이 어떻게 학습자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담당과목별 교사유형별로 분류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지적 요인이 교사유형으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상호작용효과는 수학과목에서만 나타났다. 즉, ① 상호 작용항이 투입된 모델이 ② 상호작용항이 투입되지 않은 모델보다 유의확율 F변화량(Sig. F Change)이 개선되었다.(②=.791→①=.103). 또한, 인과모델을 보면 국어와 영어에서는 과제지향적 특성이 약한 교사가 학습자의 의지적 요인에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학 과목에서는 과제지향과 개인지향성이 모두 높은 교사가 학습자의 의지적 요인에 높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사는 지적요인보다 의지적 요인을 개발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훈련을 고려한 수업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의지적 요인은 개인의 책임하에 통제가 가능하지만 지적 요인은 유전적 영향을 더 받을 뿐만 아니라 외부적 통제가 힘든 요인이기 때문이다.

Abstract

This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confirm ATI effects between learners' aptitude factor such as intellect, emotion, and volition and both individual and task-oriente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It was also investigated to find out which teachers' type is more appropriate to the learners' aptitude factor, and to clarify that what is the aptitude variable easy-to-encourage instructional intervention. I tried to introduce as many as possible of aptitude variables in the model, and I made to improve the predictive power to the school grades by treating aptitude variables wholly that had been treated partially up to now. The causal model was composed of 90 Korean junior high school boys in Seoul city. I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eacher for each subjects how inner variables (i.e. intellect, emotion, and volition) and substitute teacher'corresponding method (i.e. the individual-oriented and the task-oriented) affect the learners' school achievements. As a result, the volition factor was most affected by teacher's types. Bur,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was derived mathematically alone. That is, the interaction term entered model (.103) showed higher Sig. F Change than it's none entered model (.791). Moreover,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the weak task-oriented teacher more influenced on learners' volitional than the strong task-oriented teacher in the national language and English. On the other hand, in mathematics, both the strong task-oriented and individual-oriented teacher greatly affected them.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f the teacher. Teachers should lead a class in consideration of the instructional intervention program and training to develop learners' volitional factors than intellectual factors. This is because volitional factor could be controlled by the responsibility of oneself and intellectual factor influenced by inheritance and was hardly controlled for oneself.

대학생의 성역할정체감 및 진로효능감이 진로흥미에 미치는 영향
임희경(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이기학(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53-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성역할 정체감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 흥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대학생의 진로 탐색 행동과 선택에 도움을 주고 진로 상담 개입에 시사점을 얻고자 실시 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체 1131명의 대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남성성, 여성성의 특성을 구별하기 힘든 양성성, 미분화 그룹을 제외한 468명(남자 215, 여자 253)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역할 정체감의 남성성과 여성성의 이원변량 분석 결과, 남성성은 진로흥미의 현실형, 진취형에서 주효과가 유의미하였고, 여성성은 예술형, 사회형, 관습형에서 유의미하게 주효과가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진로 흥미의 관습 형에서만 주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진로 흥미에 대한 성역할 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단계적 중다희귀분석 결과, 진로 흥미의 현실형에서는 남성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가장 많은 설명량을 보였고, 관습형에서는 여성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가장 많이 설명해주었다. 진취형에서는 남성성과 여성성이, 예술형, 사회형에서는 여성성이 가장 많이 설명해주는 변인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gender-role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vocational interest. 1131 data of university students going through the important period of career decision were collected. After data screening process, 468 data(male: 215, female: 253) were used for analysis. Two-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wo-way ANOVA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masculinity of gender role identity on Realistic and Enterprise types of vocational interests was significant. The main effect of femininity of gender role identity on Artistic, Social, and Conventional types of vocational interests also appeared significant. However, the interaction of gender role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asculin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were the strongest predictors of Realistic type, and the femininity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were the most powerful ones of Conventional type of vocational interests. The effects of the masculinity and the femininity on Enterprise type, and the femininity on Artistic and Social type were greatest. Based on th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as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