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이재성(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임희정(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박희주(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이승희(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장진이(대구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pp.1-19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6.1.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 외로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여 대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외로움, SNS 중독 경향성을 설문조사하였다. 우선적으로 각 변인에서의 성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첫째, 외로움을 제외한 내현적 자기애,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SNS 중독 경향성에서 유의한 남녀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 결과,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외로움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과 외로움의 이중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원변인으로서의 성격 변인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에 개입될 수 있는 보다 근접 변인과 이들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SNS 중독 예방교육과 상담적 개입에서 초점해야 할 구체적인 변인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ediation effects of fear of intimacy and loneliness on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a cross- gender analysis was also conducted. 365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and asked for survey questionnaire which measures their covert narcissism, fear of intimacy,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tendency and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statistical analysis. According to this study, fear of intimacy did not mediate in the impact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tendency, but the loneliness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the dual mediation effect of fear of intimacy and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was significant. This study revealed a specific path that cover narcissism influences SNS addiction tendency by sequentially mediating the fear of intimacy and lonelines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중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