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508-3082
김에스더(대전광역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 김예나(침례신학대학교 학생상담센터)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p.1-23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4.2.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실제자기 자각촉진 개입이 대학생의 폭식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지역의 대학생 중 1) 일주일에 2회 이상 표적행동을 보고하며 2) 불규칙한 식습관 때문이 아닌 심리적 이유로 표적행동이 나타나고 3) 연구 참여에 동의한 2인을 선별한 후, 이들을 대상으로 단일대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개입의 효과를 검증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실제자기 자각 촉진 개입 질문지는 스트레스 상황에서 실제자기가 그 당시 경험한 정서와 욕구를 탐색하고 자각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ABAB설계를 이용하였다. A에 해당하는 1차 기초선, 2차 기초선은 각각 7일 동안 특별한 개입 없이 매일 저녁 온라인 설문측정 하였다. B에 해당하는 1차 개입, 2차 개입은 각각 18일, 13일 동안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실제자기 자각촉진 개입을 총 31회(대면개입 9회, 간편형 온라인 개입 22회) 실시하였으며, 기초선과 마찬가지로 매일 저녁 폭식행동에 대한 온라인 설문측정 하였다. 시각적 분석 결과, 두 명의 연구 참여자 모두 1,2차 개입을 진행하는 동안 폭식행동 빈도와 조절실패, 폭식의도, 폭식갈망, 그리고 부적 정서 수준이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또한 각 변인의 평균점수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폭식행동 '빈도' 각각 63%, 16% 감소, '조절실패' 각각 64%, 23% 감소, '의도' 각각 28%, 24% 감소, '갈망' 각각 69%, 14% 감소, '부적 정서' 각각 74%, 42% 감소. 본 연구는 실제 상담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제자기 자각촉진 개입 질문지를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이는 실제자기 자각촉진 개입이 폭식행동을 비롯한 조절실패 문제와 정신건강문제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ctual self awareness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decreasing binge ea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two university students. They were selected by three criteria: 1) Report target behavior more than twice a week; 2) Targeted behavior appears for psychological reasons rather than irregular eating habits; 3) Agree to participate in research. The intervention of the actual self awareness promotion used 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and recognize the actual self in the aspect of emotion and need experienced at that time. The research design is based on the ABAB design. During the baseline A1 and A2 were measured online survey every evening without any special intervention for 7 days each. B1 and B2 were conducted 31 times(9 times in face-to-face interventions and 22 times in simple online interventions) for the actual self awareness promotion intervention developed in this study for 18 days and 13 days respectively and the online survey was measured every evening. Visual analysis, both participan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frequency of binge eating behavior, loss of control, intention, craving, and negative emotion level during the interventions. The average score changes of each variable were as follows: binge eating behavior 'frequency' decreased by 63% and 16%, 'loss of control' decreased by 64% and 23%, 'intention' decreased by 28%, 24%, 'craving' decreased by 69% and 14%, and 'negative emotion' decreased by 74% and 42%,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the Actual self awareness promotion intervention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field, which suggests that it can help improve the problem of the loss of control including binge eating behavior and various mental health problem.

우정애(제주한라대학교 보건행정과) pp.25-46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4.2.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 중독 성향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심리적 강인성과 긍정심리 요인과의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강인성과 관련된 긍정심리성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심리적 안녕감, 주관적 안녕감, 적응유연성, 낙관성, 희망성향 등의 변인들을 선정하여 심리적 강인성과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성향 중 심리적 강인성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변인은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자아수용', '삶의 목적'과 주관적 안녕감, 적응유연성, 낙관성의 하위요인 중 '긍정적 기대', 희망성향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논의에서는 5개의 긍정심리성향들이 미디어중독성향 자녀어머니들의 심리적 강인성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 프로그램 내용요소로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toughness and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for mothers who got a media addicted children. Based on theoretical basis of positive psychological tendencies associated with mental toughness, select variables such as the tendency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 resilience, optimism, and hope, examined the correlation and influe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in promoting mental toughness were 'subjective welfare', 'positive expectations', 'self-acceptance', 'life purpose', 'hope' and 'resilience'. In this discussion, we discussed how five positive psychological tendencies can be used as a positive psychological program contents element to enhance the mental toughness for mothers of media addicted children.

한국심리학회지: 중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