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수용전념치료(ACT)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우울 및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미치는 효과
하진미(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1-16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1.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가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수준이 높은 대학생의 자기통제력, 우울 및 스마트폰 중독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4년제 대학교 재학생 400여명을 대상으로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에서 고위험 사용자군 또는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에 해당하고, 우울수준이 상위 25%에 해당되는 대상자들을 수용전념 치료집단에 8명, 통제집단에 8명씩 할당 하였다. 프로그램은 한 회기를 90분으로 하여 주 2회기씩 총 4주에 걸쳐 8회기로 진행되었다. 수용전념 치료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프로그램 전, 프로그램이 종료되는 시점 및 프로그램 종결 6주 후에 각각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척도, 역학연구센터 우울 척도, 자기통제력 척도 및 수용행동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전념치료(ACT) 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수용행동이 유의하게 더 증가되었고, 스마트폰 중독 수준 및 우울 수준은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다. 자기통제력 수준은 사후 검사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나 추적조사에서 유의하게 더 증가되었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 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on Self-Control,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 level of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Four hundred university students completed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Sixteen participa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divided into an ACT group and control group (eight each).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eight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ated Smartphone Addiction Scale for Adults,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Self-Control Scale (SCS) and the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16 at pretest, posttest, and 6 weeks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martphone addiction level, depression level of treatment group decreased more than in control group, whereas acceptance and action increased in treatment group. But, self-control of treatment group was partially support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과 중독상담에의 적용가능성
김은영(동서울대학교) pp.17-30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1.1.1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의 세 가지 욕구, 즉, 자율성, 관계성, 유능감이 중독관련 상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독관련 내담자들은 상담실에 자발적으로 찾아오지 않으며, 상담실에 찾아오더라도 상담에서의 개입과 변화에 몰두하는 것에 대해서 낮은 동기를 보이고 있어서 상담성과를 경험하기가 어렵고 그 결과 조기종결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중독문제를 가진 내담자들과의 상담 초기에 무엇보다도 상담자가 갖추어야할 중요한 기술 중의 하나는 내담자의 동기와 저항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연구가 자기결정성 동기이론에 기초하여 상담자들이 실제 상담 장면에서 세 가지 욕구를 상담단계에 따라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연구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I researched how the three needs like as autonomy, relatedness and competence are applied i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in addiction-related counseling. Addiction-related clients do not have to visit voluntary in counseling center. Even visiting,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the counseling outcome because of low motivation about concentration of commitment and change in counseling. As a result, the counseling is early terminated in many cases. So one of most important skills for the counselor, who counsels addiction-related client, is understanding of motivation and resistance of client in the initial counseling.. I expect this study to be basic research for counselors to apply these three needs i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in counseling field.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도피이론(Escape Theory)' 모형을 중심으로
진미령(한동대학교 심리학과) ; 신성만(한동대학교 심리학과) pp.31-53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1.1.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과정이 Baumeister의 자기도피이론모형의 경로와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도피이론은 자기파괴적 행동이라는 최종 결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하는 방식과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이론으로 유용하게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도피이론모형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감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은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의 '중1 패널' 5차년도(2014년) 자료 중 스마트폰을 보유한 고등학교 2학년 1,851명이었으며, SPSS 19.0, Amos 18.0를 활용하여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도피이론모형의 구성 변인인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감, 스마트폰 중독 모두에서 대부분 정적,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모든 변인들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가장 높은 상관을 보여준 변인은 자기통제감이었다. 둘째, 경로분석 결과, 국내 청소년 패널자료가 도피이론모형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umeister의 이론과 일관되게, 이상과 실제 사이의 괴리에서 비롯된 낮은 자아존중감은 도피경향을 유도하는 우울 정서로 이끌어 스마트폰 중독에 이르게 했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하는 자기도피이론의 타당성을 뒷받침하며, 청소년들이 자기 자신과 현실로부터 도피하려는 시도로 스마트폰에 중독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자기도피이론 모형의 단계를 재배치한 대안모형의 적합도가 기존 모형보다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을 설명하는 도피이론모형의 단계와 순서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 청소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개입 시에는 인지적 요소에 우선하여 정서를 중점으로 다룬 예방․치료방법이 더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process of Smart phone addiction accords with Baumeister's escape from self theory among Korean adolescents. Escape theory has been made good use of accounting operating mechanism and causal link of diverse factors that lead to ultimate self-destructive behavi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ttachment trauma, self-esteem, depression, self-regu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each stage corresponds with 'Escape Theory Model'.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2014)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by the use of SPSS 19.0, Amos 18.0. Subject of analysis was 1,851 2nd 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who answered having Smart ph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mart phone addi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negative correlations with all other variables. Especially, self-regulation showed highest correlation with Smart phone addiction. Second, results of path analysis with domestic data indicated that the 'original escape theory model'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Consistent with escape theory, a path model yielded significant paths from attachment trauma to self-esteem, self-esteem to depression, depression to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to Smart phone addiction. Third, results of path analysis with domestic data indicated that the modified 'alternative model(depression precedes low self-esteem)', produced a good fit to the data than a original model. This path model yielded significant paths from attachment trauma to depression, depression to self-esteem, self-esteem to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to Smart phone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not only Smart phone addiction of Korean adolescents can be explained as self-destructive behavior by escape theory, but also the stages and orders of escape model can appear in different guises in different cultures. Therefore, emotion-focused prevention and treatment preceding cognitive factor for Smart phone addiction would be more effective for Korean adolesce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 useful and practical method for conducting interventions for the Smart phone addiction of youth.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도박중독ㆍ인터넷중독ㆍ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장효강(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강원센터) ; 최이순(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부산센터) pp.55-65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1.1.5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일반 성인의 인구특성이 도박중독·인터넷중독·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본 것이다. 중독수준의 분석에서는 문제도박 수준은 10%, 인터넷중독 수준은 2.6%의 결과를 보였다. 특히 인구특성에 따른 CPGI의 차이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았으며 월평균수입과 용돈의 상관관계에서는 소득이 많고, 용돈이 많을수록 도박중독 수준이 높았다. 인터넷 중독 수준에서도 남성의 중독 수준이 여성의 중독 수준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미혼 집단의 인터넷 중독 수준은 기혼자 집단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월평균수입에 따른 인터넷 중독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심리적 안녕감 수준의 차이는 성별과 연령, 혼인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 대상자의 CPGI와 인터넷 중독 수준, 심리적 안녕감 척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도박중독 척도인 CPGI와 인터넷 중독 수준 간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d how the demographic features of general population have affected the problems such as gambling, Internet addi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CPGI difference by the feature of population, men showed higher CPGI points than the case of women. For Gambling addiction level, the more they earned the average monthly incomes and allowances, the higher the addiction level they had comparatively. In terms of internet addiction level, men showed the tendency to be addicted easier than women and younger people had higher addiction. Unmarried people group seemed to show much higher level of Internet addiction than married people group. Also, much difference was confirmed in their internet addiction according to the average monthly income. Adult participants generally showed that their addiction level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y sociological features of population depended closely on the factors such as sex, age and marital status.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level and CPGI from the measurement of adult participants' gambling addiction level.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청소년 스마트폰 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임창우(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정구철(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p.67-84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1.1.6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 게임 중독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들을 위해 스마트폰 게임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통한 스트레스 대처 훈련과 자기생활관리 능력을 향상시켜 스마트폰 게임 중독을 예방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고등학생 41명을 선별하여, 참여를 원하는 20명을 실험군에 배정하고, 21명은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실험군에 스마트폰 게임 중독 예방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게임 중독 예방 프로그램은 스트레스 대처 훈련과 자기생활관리 능력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스마트폰 게임 중독 예방 프로그램의 수행은 캠프 형식으로 1박 2일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게임중독 예방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자기생활관리와 그 하위 요인인 생활습관관리, 학업관리, 금전관리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한 증진 효과가 있었던 반면, 실험군의 스마트폰 게임중독 수준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실험군의 스트레스 대처 능력도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폰 게임 중독 예방 프로그램이 자기생활 관리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폰 게임중독 및 스트레스 대처 양식까지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기를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rtphone gam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ho are exposed to the threat of smartphone game addiction, and to prevent the smartphone game addiction by training them to cope with stress and improving their self management ability. 41 high school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uses smartphones were selected, which 20 of them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remaining 21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smartphone gam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was conducted. Smartphone game addiction pre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programs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martphone. The program was constructed as an 8-session program at the time of development, but was held as a short overnight camp from April 11∼12 due to school's circumstances. IBM SPSS 21.0 was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lifestyle management, academic management and money manage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in smartphone game addiction and stress coping ability. This study verified the significant effect of smartphone game preven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self-management, and it can contribute in developing programs that improve smartphone game addiction and stress-coping styles.

중독자의 회복과정에서 한국적 수행법의 활용
박상규(꽃동네대학교) pp.85-104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1.1.8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중독자의 회복과정에 한국적 수행법을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유교, 불교, 도교, 그리스도교적 수행법은 중독자의 회복에 도움을 준다. 중독은 삶의 태도문제이며 중독으로부터의 회복이란 건강하고 성숙한 삶의 태도를 가지는 것이다. 유교의 구체적 실천행동, 올바른 생각과 텅 빈 마음, 마음챙김, 자비명상, 무위, 팔정도의 실천, 기독교적 영성, 예술과 체육활동을 통한 즐거움 찾기, 숲과 같은 자연환경 활용하기, 기도와 봉사 등의 한국적 수행과정은 중독자의 삶의 태도를 변화시키고 회복을 잘 유지하게 한다. 특히 마음챙김은 중독으로 부터 회복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 요소가 된다. 한국적 수행의 특성은 중독자가 중독으로부터 벗어나 행복한 삶을 살도록 돕는데 있다. 자기의 몸과 태도, 행동, 마음 조절하기, 마음챙김 등의 한국적 수행은 대뇌의 전두엽기능을 활성화 한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독 상담자가 가져야 할 치료적 태도로 마음챙김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about the Korean Self-discipline approach for the recovery of addict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Christian Self-discipline will help with the recovery of addicts. Addiction is a problem attitude of life, the recovery from addiction requires a healthy and mature attitude of life, such as self-discipline, specific practical action, the correct thinking and freedom from negative thoughts, Wuwei, mindfulness, compassion meditation, the practice of Noble Eightfold Path, Christian spirituality, found that joy through art and sports activities, action of natural environment such as the forest, praying and serving Korean self-discipline changed the attitude of the life and maintain a good recovery. In particular, mindfulness is a key element to recovery from addi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elf-discipline approach are getting away from addiction and, on to a happy life. The Korean self-discipline approach entails self-regulation attitude, behavior and mindfulness promotes the brain's frontal lobe function. Finally, suggestions were given for the counselor's attitude, such as mindfulness to addiction counselors.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