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경훈(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 전영민(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 이길전(서울고등법원) pp.1-18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3.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관련 변화촉진활동척도(POCS, Freyer et. al., 2006)를 한국어로 번역하고 문항내용을 도박행동에 맞게 수정하여 한국어판 단도박변화촉진활동척도(Korean-version Processes of Change Scale for Gambling: 이하 K-POCS-G)를 구성한 후, 치료기관을 방문하는 문제도박자 2,429명(남: 2,358, 여: 71)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단도박변화촉진활동척도(K-POCS-G)의 요인구조, 신뢰도와 타당도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 K-POCS-G의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여 적합도를 확인하였고, 분석결과 원척도와는 달리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6요인 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신뢰도 역시 우수하였다. 연구 2에서는 연구 1에서 확인된 K-POCS-G의 요인구조에 대해 다른 표본을 대상으로 교차타당화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석결과, 적합수준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제도박자들이 도박행동을 중단하는 과정에서 변화단계와 변화촉진활동에 대한 초이론적 변화모델의 가정과 일치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도박변화단계의 초기에 있는 사람들은 인지정서적 과정들을 더 많이 사용하고, 후기에 있는 사람들은 행동적 과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K-POCS-G가 단도박변화촉진활동을 측정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이며, 도박중독치료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훌륭한 도구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추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factorial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Processes of Change Scale for Gambling(K-POCS-G). K-POCS-G is translated into Korean, with the processes of change scale for alcohol misuse(POCS, Freyer, et. al, 2006) revised into a scale consisting of gambling-related items. A total of 2,429 problem gamblers(male: 2,358, female: 71) seeking treatment completed K-POCS-G. To verify the factorial structure of K-POCS-G, an explanatory factor analysis(EFA)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ere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382 gamblers in study 1. According to the results, K-POCS-G consisted of 6 factors including 15 items and indicated excellent reliability. In study 2, to investigate the cross-validation of K-POCS-G's factorial structure as identified in study 1,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was conduct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 different sample of gamblers. The results showed that K-POCS-G was a reliable, valid scal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discontinuing the gambling habits of problem gamblers, an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 stage of changes and processes of change match the transtheoretical model of change.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in early stages mainly use cognitive-affective processes while individuals in later stages use more behavioral processes. In conclusion, the results imply that K-POCS-G is a reliable, valid scale in evaluating the activities of discontinuing gambling habits and can be utilized as a useful tool in gambling addiction treatment sites. Finally, th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ing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조요한(한동대학교 심리학과) ; 고은정(한동대학교 심리학과) ; 오준성(한동대학교 심리학과) ; 신성만(한동대학교 심리학과) pp.19-39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3.1.1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과도한 웹툰 이용 현상에 주목하여 청소년 웹툰중독의 가능성을 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연구들의 개관과 함께 웹툰 이용 현황 조사 결과를 제시하여 근거를 더하였다. 웹툰 사용자의 49%를 차지하는 청소년들은 심리적 스트레스, 낮은 자기통제력, 충동성 등의 심리적 취약성을 가진다. 이는 청소년들이 다른 미디어처럼 웹툰에 중독될 수 있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정보 및 사회적 상호작용 동기, 즐거움/편리성 동기, 현실도피/긴장해소 동기 등의 웹툰 이용 동기 또한 마찬가지로 청소년들이 웹툰에 중독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의 불만족과 동기간의 불균형을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다. 웹툰중독이 행동중독의 하위요인으로 개념화될 것을 고려하여 기존 행동중독의 개념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웹툰중독 연구의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웹툰 이용 현황 조사를 통하여 웹툰중독 위험군 청소년과 일반 이용자군 청소년 사이의 차이를 교차분석을 이용해 밝혔다. 그 결과, 성별, 웹툰 이용 기간, 일평균 웹툰 이용시간, 웹툰 결제 여부, 웹툰 이용 만족도, 주위사람으로부터 중독이라는 충고를 들은 경험, 웹툰 이용으로 관계에서의 갈등 경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추후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adolescent webtoon addic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of excessive use of webtoon by young people. To this end, we have added the basis by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use of webtoon along with the overview of existing studies. Young people, who account for 49% of webtoon users, have psychological vulnerability such as psychological stress, low self-control, and impulsiveness. This is a factor that makes young people addict to webtoons like other media. The motivations for using webtoons such as information and social interaction motivation, pleasure/convenience motivation, and motivation to escape/relieve tension are also the basis for adolescents to be addicted to webtoons. To explain this, the dissatisfaction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motivational imbalance of the youth was mad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Considering that webtoon addiction will be conceptualized as a subfactor of behavioral addiction, we have presented the future direction of webtoon addiction research by examining the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existing behavioral addiction. In addition, through the survey on the use of webtoo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youth of the risk group of the webtoon addiction and the youth of the general user group was analyzed using cross analysis.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duration of webtoon use, daily average webtoon usage time, whether to pay for webtoons, satisfaction with using webtoons, experience of advice about addiction from people around them, and conflict experience in relationships through using webtoon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김성희(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김예나(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p.41-56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3.1.4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DSM-5(APA, 2013)의 물질사용장애와 도박장애 준거, 그리고 Section-III에 제시된 인터넷 게임 장애의 진단준거를 참고하여 성중독 척도를 개발하고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세 개의 기존 중독 관련 장애에 공통으로 포함되어 있는 5개의 준거(금단, 내성, 집착, 조절실패, 일상생활 장애)와 적어도 두 개의 장애에 공통으로 포함된 3개의 준거(회피, 계속적인 사용, 흥미상실)를 반영하고, 최근 물질사용장애 준거에 추가된 '갈망'을 포함하여 총 9개의 준거를 최종 선정한 후, 일상생활장애를 측정하는 문항을 2개로 구성한 총 10문항의 도구를 개발했다. 인터넷 조사업체가 보유한 온라인 패널을 활용하여, 지난 1년 간 성적 욕구 해소를 위해 월 2~3회 이상 성적 대상을 활용했다고 응답한 성인 남성 71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심리측정적 속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성중독 척도는 안정적인 1요인 구조를 보였고 신뢰도 또한 높았으며(Cronbach's α=.93), 성행동 빈도 및 성인지, 온라인 성중독 수준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수렴타당도가 적절한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척도가 성중독 수준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Sex Addiction Scale(SAS) based on Substance Use Disorder criteria, Gambling Disorder criteria, and Internet Gaming Disorder criteria in the DSM-5. There are five criteria('Withdrawal', 'Tolerance', 'Preoccupation', 'Unsuccessful efforts to control', 'Jeopardizing relationship/ job/education') that are common criteria to three existing addiction-related disorders and three criteria('Use for escape or relieve from negative mood', 'Loss of interests/hobbies/entertainment', 'Continued use despite negative results') that are common criteria to at least two disorders. In addition, we included 'craving' criterion in Substance use disorder, and finally developed SAS consisting of 10 items in 9 criteria. SAS was developed with one item per criterion, but only the criterion of "Jeopardizing relationship, job, or education" was developed as two items. Using an online panel of Internet researchers, we collected data on 712 adult males who answered that they used their sexual object more than two or three times a month in order to solve their sexual craving over the past yea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ex Addiction Scale showed a stable one-factor structure and high reliability(Cronbach's α=.93),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Sexual behavior frequency scale', 'Irrational sexual beliefs scale', and 'Online addiction scale'. This suggests that this scale can reliably and adequately assess the level of sex addic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detail in the discussion.

한국심리학회지: 중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