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508-3082
신성만(한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p.1-12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2.1.1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중독행동의 이해를 돕는 동기균형적 관점을 제안하는 데 있다. 동기 이론에 대한 이전 연구들은 동기 요소들에 대한 소개에만 집중하여 각 동기들 간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내적동기 요인과 각 동기요인 간의 관계 및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동기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 중독행동의 이해를 돕는 동기균형적 관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항상성 개념을 통해 동기의 기본 상태가 항상성과 긴장성의 관계임을 밝혔다. 또한, 기본심리욕구인 자율감, 소속감, 유능감, 그리고 유능감의 근간이 되는 목표감을 동기균형이론의 핵심 동기로 상정하였다. 다음으로 동기균형이론의 두 축에 대한 역동, 그 역동이 만성적 불균형 상태일 때 나타날 수 있는 문제 행동에 대한 설명을 덧붙였다. 끝으로, 동기균형이론의 심리상담 및 중독 분야에서의 적용에 대해 고찰하면서 동기균형이론의 전망에 대해 서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otivational balancing perspective that helps to understand the addictive behaviors. Previous studies on motivation has mainly focused on introducing motivational factors and few studies explained dynamic associations between each motivations.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motivation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ivation factors and to suggest a motivational balancing perspective that helps to understand addictive behaviors. The author first explained that the basic state of motivation indicates the dynamics between homeostasis and tension. The author also introduced that autonomy, belonging, competence, and sense of goal which is generating competence are the key motives of motivational balancing theory. Next, the author discussed the dynamics between two axes of the motivational balancing theory and the problematic behaviors that may arise when the motivational factors are in a chronically unbalanced state. Finally, the author described the implications of motivational balancing theory i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addiction area and future direction of the theory.

이승희(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대전센터) pp.13-26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2.1.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신경증적 경향성, 내면화된 수치심과 알코올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면화된 수치심이 신경증적 경향성과 알코올중독 간 관계를 매개하는가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신경증적 경향성이 내면화된 수치심과 알코올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경증적 경향성과 알코올 중독과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이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신경증적 경향성은 알코올 중독을 정적으로 예측하고 있었는데, 알코올중독자가 성격특성 중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을수록 알코올 중독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에 대한 신경증적 경향성의 예측관계를 살펴본 결과,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을수록 정서맥락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을 갖게 되어 부적 정서를 더욱 심각하게 경험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신경증적 경향성이 알코올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신경증적 경향성이 알코올 중독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완전매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개인의 성격특성 중 신경증적 경향성이 높을수록 내면화된 수치심 경향성이 높게 나타나며 이러한 내면화된 수치심은 병리적인 알코올 사용으로 이어져 알코올 중독에 이르게 된다고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알코올 중독의 예방과 치료를 위해서는 근원적인 성격특성으로 분류되는 신경증적 경향성에 대한 이해와 함께 병리적으로 고착된 정서반응인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련한 치료와 회복 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한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 tendency, internalized shame and alcohol addiction, and to test whether internalized sham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 tendency and alcohol addiction. This study showed that neurotic tend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lized shame and alcohol addiction, and internalized shame was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 tendency and alcohol addict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eurotic tendency was statistically predicting alcoholism. The higher the neurotic tendency of personality traits, the more the alcoholic addiction was affect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dictive relationship of neurotic tendency to internalized shame, the higher the neurotic tendency, the more internalized emotions are experienced and the more negative emotions are experienced. Third, the neurotic tendenc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alcohol addiction, and neurotic tendency was found to be a mediating role of internalized shame in predicting alcohol addiction. The higher the neurotic tendency of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internalized tendency to internalize the shame. This internalized shame leads to the use of pathological alcohol, leading to alcoholism. As a result,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lcoholism requires an understanding of neurotic tendencies classified as fundamental personality traits and efforts to develop treatment and recovery programs related to internalized shame, which are pathologically fixed emotional responses.

최정빈(계명대학교 예술치료학과) ; 이에스더(계명대학교 예술치료학과) ; 윤혜영(계명대학교 심리학과) pp.27-46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2.1.2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박중독자 가족의 심리적 적응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박문제관련 상담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도박중독자 가족과 단도박가족모임(GAM-ANON; 이하 GA)에 참여하고 있는 도박중독자 가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n=9)은 8회기의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n=10)은 도박문제관련 상담센터의 8회기 개인상담을 받도록 하였다.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긍정정서 부정정서 척도(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ale; 이하 PANAS), 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이하 CES-D),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Perceived Stress Scale; 이하 PSS), 긍정적 사고 척도(Positive Thinking Scale; 이하 PTS)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긍정정서, 긍정적 사고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부정정서, 우울, 지각된 스트레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긍정심리기반 음악치료가 도박중독자 가족의 심리적 적응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develop and prove the effect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music therapy program for the emotional adaptation of gambling addicts' famili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gambling addicts' families who were visiting a counselling center for gambling related problems as well as members of a GA family support group. The experimental group(n=9) received a 90- minute weekly session of positive psychology-based music therapy 8 times, while the control group(n=10) received 8 sessions of personal counselling at a counselling center for gambling-related problems. The measurement tools included PANAS(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ale),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PSS(Perceived Stress Scale), and PTS(Positive Thinking Scale). To analyze the maintenance of the therapy's eff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a repeated measure ANOVA and a paired samples t-test were performed with the pre-post, pre-maintenance, and post-maintenance variables of psychological adaptatio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decreased negative emotion, de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condi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 positive emotion and thinking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result suggests that positive psychology-based music therapy may have clinical utility in the emotional adaptation of gambling addicts' families.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pp.47-59 https://doi.org/10.23147/ADDICTPSY.PUB.2.1.4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간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5판의 도박중독 진단준거 개정내용 및 방향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DSM-5 개정 위원회의 주장과 같이 '불법행위' 준거의 삭제와 기준 점수 하향조정(5점->4점)이 유병률 추정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주장이 타당한지 국내 자료를 활용하여 검토했다. 이를 위해 김교헌 등 (2005)의 성인 유병률 자료 일부(n=1,323)와 김예나 등(2016)의 청소년 자료 일부(n=211)를 활용하여, '불법행위' 준거의 충족 비율을 분석하고 성별이나 표집장소 별로 DSM-IV와 DSM-5의 진단기준을 비교해 보았다. 먼저 '불법행위' 준거 충족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성인의 경우 2.9%(10위)로 매우 낮게 나타났는데, 도박문제의 심각성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인 남성과 이용객 집단에서 각각 4.5%와 7.3%로 4배에서 7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소년의 경우 26.6%(2위)로 성인과 달리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단체계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여자 청소년 집단을 제외하고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DSM-5의 진단체계는, 개편에 참여했던 전문가 집단의 주장과는 달리, 도박문제가 심각한 집단일수록 DSM-IV에 비해 더 많은 사람들을 중독자로 분류하는 불안정한 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도박중독 진단체계의 한계와 제한적 활용의 관점에서 논의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amendment contents and directions of the Gambling Disorder diagnosis criteria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DSM-5)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Specifically, we examined using domestic data whether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the deletion of the 'legal problems' criterion and the lowering of the cut-off score (5 -> 4) did not affect the prevalence estimate as in the DSM-5 revision committee. To do this, we analyze the satisfactory proportion of 'legal problems' criterion using a part of the adult prevalence data(n=1,323) of Kim et al.(2005) and a part of youth data(n=211) of Kim et al.(2016), and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IV and DSM-5 were compared for each gender and sampling loc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atisfactory proportion of 'Illegal Act' criteria, adults reported a very low score of 2.9%(10th place), males who have a relatively high level of seriousness reported 4.5%, and gamblers reported 7.3%.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adolescents reported a higher score of 26.6%(2nd place) than the adults. Second,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diagnostic syste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groups except for the female adolescent group. The diagnostic criteria of DSM-5 showed that unlike the claims of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reorganization, the severe group of gambling problems had more unstable characteristics than the DSM-IV to classify more people as addi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limitations of the gambling problem diagnosis criteria and its limited application.

한국심리학회지: 중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