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생태순간평가를 사용한 알코올 연구에 대한 고찰 및 중독 연구에 대한 제언

A review of alcohol studies using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초록

생태순간평가는 실험 연구나 회고적 연구와 달리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음주 경험에 대해 실시간에 가깝게 측정하기 좋은 방법이다. 국외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 연구에 대한 자료 수집 방법으로 생태순간평가가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생태순간평가를 사용한 알코올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순간평가를 활용한 국외 알코올 사용 연구들의 주제 및 결과들을 살펴보고, 생태순간평가 방법을 각 연구에서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고찰하였다. 이전 연구들을 알코올 사용과 정서, 음주동기, 갈망, 환경적 요인, 생체지표에 관한 연구 주제들로 묶어서 소개하였다. 알코올 사용과 정서 연구는 부정정서, 긍정정서, 정서적 불안정성에 대한 연구를, 음주동기 연구는 4가지 알코올 사용 동기 모델을 기반으로 한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갈망에 관한 연구는 알코올 관련 단서 후의 갈망 수준 및 갈망의 일주기 리듬에 관한 생태순간평가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알코올 사용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는 음주 위치와 동반자, 동반자의 음주여부에 관한 연구를 제시하였다. 끝으로, 생체지표에 관한 연구에서는 체내 알코올 농도, 피부전도도, 심박변이도 등을 측정한 생태순간평가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국내 연구자들의 향후 연구를 위해 국내의 음주 문화 및 특성을 고려한 생태순간평가의 필요성 및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keywords
생태순간평가, 알코올 사용, 문헌고찰

Abstract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 allows subjects to report on their drinking experiences in a natural environment and may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alcohol use more than experimental or retrospective studies can. EMA has been widely used in studies of alcohol use in other countries, but few EMA studies in the alcohol field exist in Korea.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and examine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opics and findings and how EMA was used in each study. Recent research has used EMA to examine alcohol-related variables, such as affect, drinking motivation, alcohol cravings, environmental factors, and biomarkers for alcohol use. The studies on affect have focused on negative affect, positive affect, and affective instability, and studies on drinking motivation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theory of the four motivational models of alcohol use. The studies on alcohol cravings observed participants’ drinking behaviors after being exposed to alcohol-related cues and examined the 24-hour rhythm of alcohol cravings. The studies on environmental factors concerned the location of drinking and the presence of drinking companions. Finally, studies on biomarkers related to alcohol use have used estimated blood alcohol concentration, electrodermal activity, and heart rate var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cessity and future directions of EMA considering domestic drinking culture and characteristics have been suggested.

keywords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alcohol use, review study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12-01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12-31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