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착체중합법과 sol-gel법에 의한 ZnO@TiO2 나노코아쉘 구조의 제조

Preparation of ZnO@TiO2 nano coreshell structure by the polymerized complex and sol-gel method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08, v.21 no.3, pp.237-243
임창성 (한서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착체중합법과 sol-gel법을 이용하여 ZnO 나노입자 표면상에 <TEX>$TiO_2$</TEX> 입자를 코팅한 나노 코아쉘 구조를 제조하였다. 착체중합법으로 제조된 ZnO 입자는 평균입도가 약 100 nm, sol-gel법으로 제조된 <TEX>$TiO_2$</TEX> 입자는 10 nm 이하의 크기로 각각 구성되었다. <TEX>$ZnO@TiO_2$</TEX> 나노 코아쉘 구조의 평균입도는 약 150 nm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착체중합법으로 제조된 구형의 ZnO 나노 입자는 콜로이드상의 <TEX>$TiO_2$</TEX> 입자의 균일한 표면흡착으로 인해 착체중합법으로 제조된 ZnO 입자의 입자간 응집이 크게 제어되었다. ZnO와 <TEX>$TiO_2$</TEX>의 이종 입자간의 표면전하는 pH 7 근처의 중성 영역에서 iso-electric point (IEP)의 차이로 인하여 - 로 대전된 <TEX>$TiO_2$</TEX>와 + 로 대전된 ZnO 나노입자의 이종의 입자들이 쿨롱의 인력에 의해 서로간의 결합을 하게 되고, 결합을 이룬 <TEX>$ZnO@TiO_2$</TEX> 나노 코아쉘 구조가 표면 전하가 zero가 되어 발생하게 된다.

keywords
ZnO@TiO2, nano coreshell structure, polymerized complex, sol-gel method

Abstract

착체중합법과 sol-gel법을 이용하여 ZnO 나노입자 표면상에 TiO2 입자를 코팅한 나노 코아쉘 구 조를 제조하였다. 착체중합법으로 제조된 ZnO 입자는 평균입도가 약 100 nm, sol-gel법으로 제조된 TiO2 입자는 10 nm 이하의 크기로 각각 구성되었다. ZnO@TiO2 나노 코아쉘 구조의 평균입도는 약 150 nm 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착체중합법으로 제조된 구형의 ZnO 나노 입자는 콜로이드상의 TiO2 입자의 균일 한 표면흡착으로 인해 착체중합법으로 제조된 ZnO 입자의 입자간 응집이 크게 제어되었다. ZnO와 TiO2 의 이종 입자간의 표면전하는 pH 7 근처의 중성 영역에서 iso-electric point (IEP)의 차이로 인하여 − 로 대전된 TiO2와 + 로 대전된 ZnO 나노입자의 이종의 입자들이 쿨롱의 인력에 의해 서로간의 결합을 하 게 되고, 결합을 이룬 ZnO@TiO2 나노 코아쉘 구조가 표면 전하가 zero가 되어 발생하게 된다.

keywords
<TEX>$ZnO@TiO_2$</TEX>, nano coreshell structure, polymerized complex, sol-gel method


참고문헌

1

1. B. Zhu, X. T. Yang, J. Xu, Z. G. Zhu, S. J. Ji, M. T. Sun,and J. C. Sun, J. Power Sources, 118, 1-2, 47(2003).

2

2. Y. Han, S. H. Hong and K. Xu, Materials Letters, 56,5, 744-747(2002).

3

3. H. K. Lonsdale, J. Membrane. Sci. 23, 1, 111(1985).

4

4. H. B. Hopfenberg, H. Strathmann, and A. S. Michaels,J. Membrane. Sci. 15, 3, 317(1983).

5

5. R. Li, S. Yabe, M. Yamashita, S. Momose, S. Yoshida,S. Yin, T. Sato,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75,39(2002).

6

6. H. Jiang, L. Gao,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77,878(2002).

7

7. A. salvador, M. C. Pascual-Marti, J. R. Adell, A. Requeni,J. G. March, J. Pharmaceutical and Biomedical Analysis,22, 301(2000).

8

8. A. V. Diken, E. A. Meulenkamp, D. Vanmaekelbergh,A. Meijerink, J. Luminescence, 87-89, 454(2000).

9

9. F. Rancan, S. Rosan, K. Boehm, E. Fernndez, M. E.Hidalgo, W. Quihot, C. Rubio, F. Boehm, H. Piazena, U. Oltmanns, J. Photochemistry and photobiology B, 68,133(2002).

10

10. M. P. Pechini, United States Patent Office, 3, 33, 697,Patented by July 11, 1967.

11

11. S. W. Yun, Y. Shin and S. G. Cho, J. Korean Ceramic Society, 35, 5, 498(1998).

12

12. Y. J. Kwon, K. H. Kim, C. S. Lim and K. B. Shim, J.Ceramic Process Research, 3, 3, 146(2002).

13

13. C. J. Brinker and G. W. Scherer, Sol-gel Science, Academic Press, San Diego, 1990.

14

14. D. W. Schaefer, J. E. Martin, P. Wiltzius, D. S. Cannell,In kinetics of Aggregation and Gelation, page 71, Elsevier Science Publishers B.V. 1984.

15

15. R. G. Avery and J. D. F. Ramsay, In Adsorption and Catalysis on Oxides, page 149, 1985.

16

16. W. B. Russel, D. A. Savile, W. R. Schowalter, Colloidal Dispers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17

17. S. Kim, C. F. Zukoski, J. Colloid Interface Sci. 139,198(1990).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