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UV-VIS 분광광도법을 이용한 이산화우라늄 중 미량 규소 분석

Determination of Trace Silicon in Uranium Dioxide by UV-VIS Spectrophometry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08, v.21 no.5, pp.397-402
최광순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화학연구센터)
조기수 (한국원자력연구소 원자력화학연구부)
한선호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화학연구센터)
송규석 (한국원자력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산화우라늄을 질산 및 미량의 불산으로 녹인 다음 우라늄 매트릭스로부터 규소를 분리하지 않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측정할 수 있는 분석조건을 검토하였다. 분광광도계로 미량의 규소를 측정할 때 미량의 불산이 규소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불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붕산을 사용하였다. 우라늄 용액에서 미량의 불산이 존재할 경우 포화붕산 사용 유무에 따른 규소의 회수율은 각각 <TEX>$103.3{\pm}0.8$</TEX> 및 <TEX>$76.6{\pm}6.8%$</TEX>이었다. 포화붕산의 양은 규소의 회수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방법으로 이산화우라늄 분말 중의 불순물로 존재하는 미량의 규소를 분리 과정없이 바로 UV-VIS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할 수 있었다.

keywords
uranium dioxide, silicon, saturated boric acid, spectrophotometry

Abstract

이산화우라늄을 질산 및 미량의 불산으로 녹인 다음 우라늄 매트릭스로부터 규소를 분리하지 않 고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로 측정할 수 있는 분석조건을 검토하였다. 분광광도계로 미량의 규소 를 측정할 때 미량의 불산이 규소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불산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붕산을 사용하였다. 우라늄 용액에서 미량의 불산이 존재할 경우 포화붕산 사용 유무에 따른 규소의 회 수율은 각각 103.3±0.8 및 76.6±6.8%이었다. 포화붕산의 양은 규소의 회수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 다. 따라서 본 방법으로 이산화우라늄 분말 중의 불순물로 존재하는 미량의 규소를 분리 과정없이 바로 UV-VIS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할 수 있었다.

keywords
uranium dioxide, silicon, saturated boric acid, spectrophotometry


참고문헌

1

1. A. G. I. Dalvi, C. S. Deodhar and B. D. Joshi, Talanta,24, 143(1976).

2

2. E. A. Huff and E. P. Horwitz, Spectrochimica Acta,40B, 279(1985).

3

3. T. K. Seshagiri, Y. Babu, M. L. Jayanth Kumar, A. G. I.Dalvi, M. D. Sastry and B. D. Joshi, Talanta, 31, 773(1984).

4

4. 1987 Annual Book of ASTM Standards, Vol. 12.01,Nuclear Energy(1), R. A. Storer, Easton, Philadelphia,U.S.A., 1987, 350.

5

5. A. S. Al-Ammar, H. A. Hamid, B. H. Rashid and H.M. Basheer, J. Chromator., 537, 287(1991).

6

6. R. K. Malhotra and K. Satyanarayana, Talanta, 50, 601(1999).

7

7. C. H. Lee, M. Y. Suh, K. S. Choi, J. S. Kim, Y. J. Park and W. H. Kim, Anal. Chim. Acta, 475, 171(2003).

8

8. M. A. Floyd, R. W. Morrow and R. B. Farar, Spectrochimica Acta, 38B, 303(1983).

9

9. A. A. Arkegar, M. J. Kulkarni, J. N. Mathur and A. G.Page, Talanta, 56, 591(2002).

10

10. D. A. White, Fathurrachman, Hydrometallurgy, 36, 161(1994).

11

11. F. T. Birks, Anal. Chem., 23, 793(1951).

12

12. R. Guenther and R. H. Gale, Anal. Chem., 22, 1510(1950).

13

13. Z. Rajkovic, Z. Anal. Chem., 255, 190(1971).

14

14. J. D. H. Strickland, J. Am. Chem. Soc., 74, 862(1952).

15

15. S. L. Grassimo and D. N. Hume, J. Inorg. Nuc. Chem.,33, 421(1971).

16

16. F. De Smedt, G. Stevens, S. De Gendt, I. Cornelissen,S. Arnauts, M. Meuris, M. M. Heyns and C. Vinckier,J. Electrochem. Soc., 146, 1873(1999).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