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1%, 2%, 5% 및 10%의 가교도를 가진 스타이렌(제4류 위험물중 제2석유류)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2-crown-4 거대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수지들을 합성하였다. 이들 수지의 합성은 염소 함량, 원소 분석, 열중량 분석, 비표면적(BET) 그리고 IR-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수지 흡착제에 의한 금속 이온들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금속 이온들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시간 정도였다. 한편, 에탄올 용매에서 수지에 대한 금속 이온의 흡착 선택성은 <TEX>${UO_2}^{2+}$</TEX> > <TEX>$Ca^{2+}$</TEX> > <TEX>$Sm^{3+}$</TEX> 이온이었고, 우라늄 이온의 흡착력은 1%, 2%, 5% 및 10%의 가교도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초록 1%, 2%, 5% 및 10%의 가교도를 가진 스타이렌(제4류 위험물중 제2석유류)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2-crown-4 거대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수지들을 합성하였다. 이들 수지의 합성은 염소 함량, 원소 분석, 열중량 분석, 비표면적(BET) 그리고 IR-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수지 흡착제에 의한 금속 이온들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수지의 가교도 그리고 용매의 유전상수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하였다. 금속 이온들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시간 정도였다. 한편, 에탄올 용매에서 수지에 대한 금속 이온의 흡착 선택성은 UO₂<SUP>2+</SUP>>Ca<SUP>2+</SUP>>Sm<SUP>3+</SUP> 이온이었고, 우라늄 이온의 흡착력은 1%, 2%, 5% 및 10%의 가교도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용매의 유전상수 크기에 반비례하였다
1. L. F. Lindoy, K. R. Adam, D. S. Bladwine, A. Bashall, M. McPartlin and H. R. Powell, J. Chem. Soc., Dalton Trans., 237-246(1994).
2. M. A. Ahearn, J. Kim, A. J. Leong, L. F. Lindoy, G. V. Meehan and O. A. Mattews, J. Chem. Soc., Dalton Trans., 3591-3599(1996).
3. P. G. Grimslery, L. F. Lindoy, H. C. Lip, R. J. Smith and J. T. Baker, Aust. J. Chem., 30, 2095-2100(1977).
4. J. Kim. T. H. Ahn, M. R. Lee, M. H. Cho and S. J. Kim, J. Kor. Chem. Soc., 43(2), 167-171(1999).
5. K. W. Chi, Y. S. Ahn, K. T. Shim, H. Huh and J. S. Ahn, Bull. Kor. Chem. Soc., 23(5), 688-694(2002).
6. H. K. Frensdorff, J. Am. Chem. Soc., 93(3), 4684-4692 (1971).
7. H. C. Lip, L. F. Lindoy, J. H. Rea, R. J. Smith, K. Henrick, M. Mcpartin and P. A. Tasker, Inorg. Chem. 19(11), 3360-3365(1980).
8. K. S. Huh and S. G. Sin, J. Korean. Ind. Eng. Chem., 9(5), 680-687(1998).
9. Y. J. Park, K. K. Park, M. Y. Suh, S. K. Yoon, K. S. Choi, K. Y. Jee and W. H. Kim, J. Kor. Chem. Soc., 44(4), 305-311(2000).
10. J. S. Lee and B. S. Choi, Analy. Sci & Tech., 21(4), 272-278(2008).
11. G. Bombieri and G. Depaoli, Inorg. Chem. Acta., 18, 123-129(1976).
12. T. Hayashita, J. H. Lee, S. Chem and R. A. Bartsch, Anal. Chem., 63(17), 1844-1851(1991).
13. E. Blasius and K. P. Janzen, Pure & Appl. Chem., 54, 2115-2122(1982).
14. E. Blasius and P. G. Maurer, Makromol. Chem., 178, 649-657(1977).
15. H. Otsuka, H. Najima, M. Takagi and K. Ueno, Anal. Chim. Acta, 147, 227-233(1983).
16. H. B. Yang, J. G. Lim, E. H. Lee and J. H. Yoo, J. Korean. Ind. Eng. Chem., 10(1), 143-147(1999).
17. H. Egawa, T. Nonaka and M. Ikari, J. Appl. Poly. Sci., 29, 2045-2053(1984).
18. S. K. Park and J. T. Kim, J. Korean. Ind. Eng. Chem., 13(8), 765-771(2002).
19. S. H. Lee, K. R. Kim, J. S. Shon, J. H. Yoo and H. S. Chung, J. Ind. Eng. Chem., 5(4), 296-301(1999).
20. J. G. Oh, J. Kor. Chem. Soc., 48(2), 215-219(2004).
21. K. B. Chung, H. H. Kim and S. H. Chang, J. Ind. Eng. Chem., 6(1), 8-12 (2000).
22. S. M. Howdle, K. Jerabek, V. Leocorbo, P. C. Marr and D. C. Sherrington, Polymer, 41, 7272-7279 (2000).
23. M. Y. Suh, T. Y. Eom, I. S. Suh and S. J. Kim, Bull. Kor. Chem. Soc., 8(5), 366-371 (1987).
24. Y. Marcus, “Introduction to liquid state chemistry”, John Wiley & Sons, London, (1977).
25. C. J. Pederson, J. Am. Chem. Soc., 92(2), 386-391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