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본 연구에서는 LC/ESI/MS 및 GC/MS로 superdrol을 인체에 경구투여 한 후 채취한 요시료 중에 함유된 superdrol 및 그 대사체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이들의 체내 배설형태를 조사하였다. 액체-액체 추출에서 최적 추출 pH는 6.5 이고 최적 추출 용매는 diethly ether이였다. GC/MSD를 이용하여 superdrol과 그 대사체의 분석법에 대한 유효성을 점검한 결과, intra-day의 회수율은 89.7-113.2%, 정확도 91.8-113.8%, 재현성은 0.2-6.8%로 나타났고 inter-day의 회수율은 89.3-104.1%, 정확도는 95.2-103.0%, 재현성은 0.7-7.8%로 나타났다. LC/ESI/MS을 통해 얻은 blank urine과 dosed urine의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 superdrol의 대사체를 검출하였으며 Superdrol과 그 대사체를 유도체화 시켜 GC/TOF-MS로 확인하였다. 확보된 질량스펙트럼으로부터 superdrol M1의 경우 superdrol의 3-C 위치의 케톤기가 하이드록시기로 환원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고 M2의 경우 superdrol의 D-ring에 하이드록시기가 첨가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효소가수분해과정을 비교해 본 결과 superdrol과 그 대사체들은 대부분 글루쿠론산 포합체를 형성하여 체외로 배설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uperdrol 경구투여 후 채취한 요시료로부터 superdrol과 그 대사체의 배설양상을 조사한 결과, 모두 4.3 시간에서 최대배설량을 보였고 superdrol과 superdrol M1은 48시간까지도 미량검출 되어 체내 잔류성이 높은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LC/ESI/MS 및 GC/MS로 superdrol을 인체에 경구투여 한 후 채취한 요시료 중에함유된 superdrol 및 그 대사체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이들의 체내 배설형태를 조사하였다. 액체-액체 추출에서 최적 추출 pH는 6.5 이고 최적 추출 용매는 diethly ether이였다. GC/MSD를 이용하여 superdrol 과 그 대사체의 분석법에 대한 유효성을 점검한 결과, intra-day의 회수율은 89.7-113.2%, 정확도 91.8-113.8%, 재현성은 0.2-6.8%로 나타났고 inter-day의 회수율은 89.3-104.1%, 정확도는 95.2-103.0%, 재현성은 0.7-7.8%로 나타났다. LC/ESI/MS을 통해 얻은 blank urine과 dosed urine의 크로마토그램을 비교하여superdrol의 대사체를 검출하였으며 Superdrol과 그 대사체를 유도체화 시켜 GC/TOF-MS로 확인하였다. 확보된 질량스펙트럼으로부터 superdrol M1의 경우 superdrol의 3-C 위치의 케톤기가 하이드록시기로 환원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고 M2의 경우 superdrol의 D-ring에 하이드록시기가 첨가된 것으로 추정할수 있었다. 또한, 효소가수분해과정을 비교해 본 결과 superdrol과 그 대사체들은 대부분 글루쿠론산 포합체를 형성하여 체외로 배설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uperdrol 경구투여 후 채취한 요시료로부터 superdrol 과 그 대사체의 배설양상을 조사한 결과, 모두 4.3 시간에서 최대배설량을 보였고 superdrol과 superdrol M1은 48시간까지도 미량검출 되어 체내 잔류성이 높은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A. G. Fragkaki, Y. S. Angelis, A. Tsantili-Kakoulidou, M. Koupparis and C. Georgakopoulos, J. Steroid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115, 44-61 (2009).
2. N. T. Sahhidi, Clinical Therapeutics, 23(9), 1355-1390(2001).
3. K. Pascal, Legal Medicine, 5, 29-33 (2003).
4. C. Manho, C. Bongchul, K. Myungsoo, C. Jeongeun and K. yunje, Rapid Communications In Mass Spectrometry, 12, 1749-1755 (1998).
5. N. A. Wade, Science, 176, 1399-1401 (1972).
6. G. Julie, G. Danielle, P. Donald and A. Christiane, Steroids, 74, 306-314 (2009).
7. B. R. Jaya, W. David, C. Richard, Z. Lixian and N. Abdul, Ameriacan J. Gastroenterology, 101, 1-4 (2006).
8. N. John, A. Jawad, Dig. Dis. Sci., 54, 1144-1146 (2009).
9. B. R. Jaya, W. David, C. Richard, Z. Lixian and N. Abdul, Ameriacan J. Gastroenterology, 101, 1-4 (2006).
10. E. V. Peter and D. T. Frans, J. Steroid Biochemistry & Molecular Biology, 101, 161-178 (2006).
11. Kai Fang, Xuejun Pan, Bin Huang, Jingliang Liu, Yu Wang and Jianpei Gao, Chromatographia, 72, November (No. 9/10) 949-956 (2010).
12. O. J. Pozo, P. Van Eenoo, K. Deventer and F. T. Delbeke, TrAC Trend Analytical Chemistry, 27(8), 657-671 (2008).
13. G. Julie, G. Danielle, P. Donald and A. Christiane, Steroids, 74, 306-314 (2009).
14. S. P. James, C. D. Adam, T. Philip and P. M. Clive, Steroids, 75, 643-652 (2010).
15. S. Willi and D. Manfred, Anal. Chim. Acta, 275, 23-48(1993).
16. P. K. Maria, Z. Josef, B. Michael, O. Georg, B. Ulrike and S. Wilhelm, Steroids, 72, 545-551 (2007).
17. G. Julie, G. Danielle, P. Donald and A. Christiane, Steroids, 74, 306-314 (2009).
18. S. Willi and D. Manfred, Anal. Chim. Acta, 275, 23-48(1993).
19. B. L. Bruno, C. Frederique, G. Isabelle, B. Emanuelle, D. Blandine, S. Robert, D. Rosa, M. Fabrice and A. Francois, Steroids, 71, 1078-1087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