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LC-MS/MS를 이용한 소변 중 크레아티닌 분석의 측정불확도 평가

Uncertainty evaluation for the determination of creatinine in urine by LC-MS/M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2, v.25 no.1, pp.83-90
https://doi.org/10.5806/AST.2012.25.1.083
김진영 (대검찰청)
권운용 (대검찰청)
서승일 (대검찰청)
인문교 (대검찰청)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소변 중 크레아티닌의 정상적인 농도범위는 30 - 300 mg/dL로 마약류 감정에 앞서 크레아티닌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소변 시료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다. 크레아티닌 농도 측정을 위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량분석법(LC-MS/MS,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을 사용하였다. 우선 소변 시료를 고속으로 원심분리한 후 10 <TEX>${\mu}L$</TEX>를 분취하여 증류수 390 <TEX>${\mu}L$</TEX>와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희석된 시료 20 <TEX>${\mu}L$</TEX>에 내부표준물질(5 <TEX>${\mu}g/mL$</TEX>) 30 <TEX>${\mu}L$</TEX>와 acetonitrile 10 <TEX>${\mu}L$</TEX>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한 시료를 LC-MS/MS에 주입하였다. 크레아티닌은 multi-mode ODS column (Scherzo SM-C18, 75 <TEX>${\times}$</TEX> 2.0 mm, I.D. 3 <TEX>${\mu}m$</TEX>)을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이동상은 0.2% formic acid와 acetonitrile로 구성되었으며 유속은 150 <TEX>${\mu}L$</TEX>/min으로 하였다. 크레아티닌과 내부표준물질은 [M+H]<TEX>$^+$</TEX> precursor ion과 특징적인 product ion을 한 쌍으로 m/z 114.0<TEX>${\rightarrow}$</TEX> 86.0과 m/z 117.0<TEX>${\rightarrow}$</TEX> 89.1에서 모니터링하여 정량에 적합한 크로마토그램을 얻을 수 있었다. 측정불확도 평가에 앞서 정량분석시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찾아내고 각각의 요소들이 측정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시료 희석, 검정 곡선, 재현성, 표준물질의 인자 순으로 측정불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제 사람의 소변에서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한 결과, 측정값에 대한 오차 범위의 상대불확도는 14.2%로 산출되었다.

keywords
Measurement uncertainty, urine analysis, creatinine, LC-MS/MS

Abstract

소변 중 크레아티닌의 정상적인 농도범위는 30 - 300 mg/dL로 마약류 감정에 앞서 크레아티닌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소변 시료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있다. 크레아티닌 농도 측정을 위해 액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량분석법(LC-MS/MS,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을 사용하였다. 우선소변 시료를 고속으로 원심분리한 후 10 μL를 분취하여 증류수 390 μL와 혼합하여 희석하였다. 희석된시료 20 μL에 내부표준물질(5 μg/mL) 30 μL와 acetonitrile 10 μL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여과한 시료를LC-MS/MS에 주입하였다. 크레아티닌은 multi-mode ODS column (Scherzo SM-C18, 75 × 2.0 mm, I.D. 3 μm)을 이용하여 분리하였고, 이동상은 0.2% formic acid와 acetonitrile로 구성되었으며 유속은 150 μL/min으로 하였다. 크레아티닌과 내부표준물질은 [M+H]+ precursor ion과 특징적인 product ion을 한 쌍으로 m/z 114.0→ 86.0과 m/z 117.0→ 89.1에서 모니터링하여 정량에 적합한 크로마토그램을 얻을 수 있었다. 측정불확도 평가에 앞서 정량분석시 측정값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찾아내고 각각의 요소들이 측정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았다. 시료 희석, 검정 곡선, 재현성, 표준물질의 인자 순으로 측정불확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제 사람의 소변에서 크레아티닌 농도를 측정한 결과, 측정값에 대한 오차 범위의 상대불확도는 14.2%로 산출되었다.

keywords
Measurement uncertainty, urine analysis, creatinine, LC-MS/MS


참고문헌

1

1. D. Vearrier, J. A. Curtis and M. I. Greenberg, EXS, 100, 489-517 (2010).

2

2. D. B. Barr, L. C. Wilder, S. P. Caudill, A. J. Gonzalez, L. L. Needham and J. L. Pirkle, Environ. Health Persp., 113, 192-200 (2005).

3

3. J. To-Figueras, M. Sala, R. Otero, C. Barrot, M. Santiag-Siva, M. Rodamilans, C. Herrero, J. Grimalt and J. Sunyer, Environ. Health Persp., 105, 78-83 (1997).

4

4. J.-H. Lee and R.-M. Ahn, J. Env. Hlth. Sci., 36, 215-221 (2010).

5

5. M. L. Smith, A. J. Barnes and M. A. Heustis, J. Anal. Toxicol., 33, 185-189 (2009).

6

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Fed. Regist., 69, 19644-19673 (2004).

7

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Biological Monitoring of Chemical Exposure in the Workplace: guidelines’, Vol. 1, Geneva, 1996.

8

9. Y. Zuo, Y. Yang, Z. Zhu, W. He and Z. Aydin, Talanta, 83, 1707-1710 (2011).

9

10. T. Seki, K. Yamaji, Y. Orita, S. Moriguchi and A. Shinoda, J. Chromatogr. A, 730, 139-145 (1996).

10

11. X. B. Chen, A. G. Calder, P. Prasitkusol, D. J. Kyle and M. C. Jayasuriya, J. Mass Spectrom., 33, 130-137 (1998).

11

12. D. Tsikas, A. Wolf, A. Mitschke, F. M. Gutzki, W. Will and M. Bader, J. Chromatogr. B, 878, 2582-2592 (2010).

12

13. R. Husková, P. Chrastina, T. Adam and P. Schneiderka, Clin. Chim. Acta., 350, 99-106 (2004).

13

14. N. Takahashi, G. Boysen, F. Li, Y. Li and J. A. Swenberg, Kidney Int., 71, 266-271 (2007).

14

15. E. K. Park, T. Watanabe, S. J. Gee, M. B. Schenker and B. D. Hammock, J. Agric. Food Chem., 56, 333-336 (2008).

15

16.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KRISS),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1998.

16

17.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 (KOLAS),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KOLAS-G-002)’, 2007.

17

18.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ISO, Geneva, Switzerland, 1993.

18

19. EURACHEM/CITAC, ‘Quantifying Uncertainty in Analytical Measurement’, 2nd Ed., EURACHEM/CITAC Guide CG 4, 2000.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