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tail

Home > Article Detail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A study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unidentified particulate components in an urban area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2, v.25 no.2, pp.133-145
https://doi.org/10.5806/AST.2012.25.2.133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대기 중의 총부유먼지(total suspended particulate, TSP)를 구성하는 성분들 중 organic carbon (OC),element carbon (EC), 금속성분은 양적으로 중요한 구성인자에 해당한다.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아직까지 정성 및 정량분석이 취약한 미지 물질(ΣX)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강서 지역에서 2009년 2-12월 기간동안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TSP의 주요 성분들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TSP의 거동을 다양한 각도에서 해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전체 연구기간 동안, TSP를 이루는 주요인자로서 미지의 영역이 평균적으로 48.6%를 차지할 정도로 더 지배적이란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TSP에 대한 그 구성 성분들간의 관계를 검토하였을 때, 미지 물질들은 이온성분들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일뿐 아니라 TSP의 함량과 정비례 관계임을 확인하였다. 반면, 양자를 TSP의농도로 표준화(normalization)를 하였을 경우, 뚜렷한 반비례 관계에(강한 역상관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ΣX가 이온성분과는 달리 수용성이 떨어지는 특성을 지닌 것을 반영한 것으로 사료된다. TSP의 거동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도시 대기질 관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ΣX의 조성이나 거동을 명확하게 규정하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TSP), unknown compounds (<TEX>${\Sigma}X$</TEX>), correlation, TSP-normalization


Reference

1

1. Y.-H. An, Master’s Thesis of Hallym University in Korea, 1-3 (2004).

2

2. P. R. Buseck, Jacob, D. J., Posfai, M., Li, J. and J. R. Anderson, Int. Geol. Rev., 42, 577-593 (2000).

3

3. Y. Rudich, O. Khersonsky and D. Rosenfeld, Geophys. Res. Lett, 29(22), doi:10.1029/2002GL016055 (2002).

4

4. D. Rosenfeld, T. Rudich and R. Lahav, Proc. Natl. Acad. Sci. U. S. A., 98(11), 5975-5980 (2001).

5

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r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r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2001).

6

6. H. J. Lim, B. J. Turpin, L. M. Russell and T. S. Bates, Environ. Sci. Technol., 37(14), 3055-3061 (2003).

7

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Statistical Yearbook, Periodical report, 438-444 (2010).

8

8. H. T. Nguyen, C. G. Park, J. A. Kim, J. S. Lee, J. H. Lee and K.-H. Kim, THE SCIENTIFIC WORLD., 10, 742-759 (2010).

9

9. Z.-H. Shon, K.-H. Kim, S. K. Song, K. Jung, N. J. Kim and J. B. Lee, Fractionation of secondary organic carbon in aerosol in the megacity of Seoul, Korea, 50, 225-233 (2012).

10

10. A. Anthwal, K. Jung, H. J. Kim, I.-S. Bae and K.-H. Kim, Fresenius Environ. Bull., 19(7), 1356-1368 (2010).

11

1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09 (2010).

12

12. S.-D. Kim and C.-H. Kim, Seoul development institute, 9(3), 23-33 (2008).

13

13. B. J. Kong, S. K. Kim, J. S. Park, S. D. Lee, J. C. Kim, J. S. Kim, D. W. Lee and S. J. Lee, J. Korean Atmos. Environ, 16(2), 97-105 (2010).

상단으로 이동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