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 P-ISSN1225-0163
  • E-ISSN2288-8985
  • SCOPUS, ESCI, KCI

논문 상세

Home > 논문 상세
  •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열분해/GC/MS를 이용한 열화 호박(amber)의 성분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composition of amber with ageing using pyrolysis/GC/MS

분석과학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P)1225-0163; (E)2288-8985
2013, v.26 no.3, pp.190-198
https://doi.org/10.5806/AST.2013.26.3.190
박종서 (국립문화재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호박은 오래전부터 장식품, 공예품, 부장품 등으로 사용되어 매장문화재 형태로 발굴되고 있다. 발굴 당시 호박은 풍화가 많이 진행되어 표면의 균열, 박락 등이 관찰된다. 풍화에 따른 호박의 성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보존상태를 진단하고, 적절한 보존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GC/MS로 호박의 열분해 산물을 분석하여 호박을 구성하는 성분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열과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 60일 동안 인공열화하여 호박의 열분해 산물의 구성비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호박의 주요 열분해 산물로 abietic acid가 검출되었고, monoterpene류, alkene류, aromatic hydrocarbon류가 검출되었다. 주요한 23개의 성분에 대해 열화에 따른 상대적인 면적비를 비교하여 열화에 따른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주성분인 abietic acid는 산소와 열이 있는 조건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열만 있는 조건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산소가 호박의 열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풍화된 호박 원석의 표면에 대해 열화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열화상태를 파악하는 시도도 하였다.

keywords
amber, py/GC/MS, artificial ageing, composition

Abstract

호박은 오래전부터 장식품, 공예품, 부장품 등으로 사용되어 매장문화재 형태로 발굴되고 있다. 발굴 당시 호박은 풍화가 많이 진행되어 표면의 균열, 박락 등이 관찰된다. 풍화에 따른 호박의 성분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보존상태를 진단하고, 적절한 보존방법을 적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분해/GC/MS로 호박의 열분해 산물을 분석하여 호박을 구성하는 성분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열과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 60일 동안 인공열화하여 호박의 열분해 산물의 구성비가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호박의 주요 열분해 산물로 abietic acid가 검출되었고, monoterpene류, alkene류,aromatic hydrocarbon류가 검출되었다. 주요한 23개의 성분에 대해 열화에 따른 상대적인 면적비를 비교하여 열화에 따른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주성분인 abietic acid는 산소와 열이 있는 조건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지만, 열만 있는 조건에서는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산소가 호박의 열화에 중요한 역할을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풍화된 호박 원석의 표면에 대해 열화실험 결과를 적용하여 열화상태를 파악하는 시도도 하였다.

keywords
amber, py/GC/MS, artificial ageing, composition


참고문헌

1

 J. Park and Y. Lim, J. Conserv. Sci., 28(3), 247-256 (2012).

2

 E. Barletta and K. Wandelt, J. Non-cryst. Solids, 357, 1473-1478 (2011).

3

 D. Grimaldi, Sci., 326, 51-52 (2009).

4

 D. Scalarone and O. Chiantore, In ‘Organic mass spectrometry in art and archaeology’, M. P. Colombini and F. Modugno Eds., p327, Wiley, West Sussex, 2009.

5

 Y. Shashoua, ‘Degradation and inhibitive conservation of Baltic amber in museum collections', The National Museum of Denmark, 2002.

6

 K. L. Sobeih, M. Maron and J. Gonzalez-Rodriguez, J. Chromatogr. A, 1186, 51-66 (2008).

7

 L. Osete-Cortina and M. T. Doménech-Carbó, J. Chromatogr. A, 1065, 265-278 (2005).

8

 L. Osete-Cortina and M. T. Doménech-Carbó, J. Chromatogr. A, 1127, 228-236 (2006).

9

 H. Ling, N. Maiqian, G. Chiavari and R. Mazzeo, Microchem. J., 85, 347-353 (2007).

10

 M. J. Casas-Catalán and M. T. Doménech-Carbó, Anal. Bioanal. Chem., 382, 259-268 (2005).

11

 I. Bonaduce and M. P. Colombini, J. Chromatogr. A, 1028, 297-306 (2004).

12

 M. Guiliano, L. Asia, G. Onoratini and G. Mille, Spectrochimica Acta Part A, 67, 1407-1411 (2007).

13

 R. H. Brody, H. G. M. Edwards and A. M. Pollard, Spectrochimica Acta Part A, 57, 1325-1338 (2001).

14

 J. Park, Y. Lim,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rchaeological amb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15

 J. Park and Y. Lim, Anal. Sci. Technol., 24(4), 256-265 (2011).

16

 J. P. Lewicki, R. L. F. Albo, C. T. Alviso and R. S. Maxwell, J. Anal. Appl. Pyrol., 99, 85-91 (2013).

17

 D. W. Page, J. A. van Leeuwen, K. M. Spark and D. E. Mulcahy, J. Anal. Appl. Pyrol., 67, 247-262 (2003).

18

 D. Scalarone, M. Lazzari and O. Chiantore, J. Anal. Appl. Pyrol., 58-59, 503-512 (2001).

19

 R. C. A. Rottlaender, Archaeometry, 12, 35-52 (1970).

상단으로 이동

분석과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