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ISSN 1225-0163
- E-ISSN 2288-8985
질소산화물(NOx)은 인위적 배출원(화석연료 연소, 이동오염원, 산업배출원 등)과 자연배출원(번개, 생물기원 토양, 산불 등)으로부터 배출된다. 질소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분석 기법은 배출원의 기여도 및 추적 인자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NOx의 특성을 보기 위하여 <TEX>${\delta}^{15}N-NO_2$</TEX>를 측정하였으며 배출원의 동위원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료채취가 용이한 Ogawa PAS를 이용하여 대기 중 가스상 질소를 포집하여 안정동위원소를 분석하였다. 도심지역 터널내부의 평균 <TEX>$NO_2$</TEX> 농도는 <TEX>$3808.8{\pm}2656.5ppbv$</TEX>이며, <TEX>${\delta}^{15}N-NO_2$</TEX> 값은 <TEX>$7.7{\pm}1.8$</TEX>‰를 나타내며 일반적인 이동오염원의 값을 나타냈다. 고속도로의 이동오염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결과, 고속도로와 인접한 지점의 <TEX>$NO_2$</TEX> 농도는 <TEX>$965.4{\pm}125.2ppbv$</TEX>이며 <TEX>${\delta}^{15}N-NO_2$</TEX>는 <TEX>$5.9{\pm}1.4$</TEX>‰이었고, 1.1 km 떨어진 지점의 <TEX>$NO_2$</TEX> 농도는 <TEX>$372.5{\pm}95.9ppbv$</TEX>이며 <TEX>${\delta}^{15}N-NO_2$</TEX>는 <TEX>$-11.5{\pm}2.9$</TEX>‰로 고속도로인근의 값이 높게 나타내었다. 고속도로부터 이동오염원 기여율을 보기 위하여 binary mixing model을 수행하였으며 고속도로와 근접할수록 기여율, 농도 및 동위원소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질소산화물(NOx)은 인위적 배출원(화석연료 연소, 이동오염원, 산업배출원 등)과 자연배출원(번개, 생물기원 토양, 산불 등)으로부터 배출된다. 질소안정동위원소를 이용한 분석 기법은 배출원의 기여도 및 추적 인자로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NOx의 특성을 보기 위하여 δ15N-NO2를 측정하였으며 배출원의 동위원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료채취가 용이한 Ogawa PAS를 이용하여 대기중 가스상 질소를 포집하여 안정동위원소를 분석하였다. 도심지역 터널내부의 평균 NO2 농도는3808.8±2656.5 ppbv이며, δ15N-NO2 값은 7.7±1.8‰를 나타내며 일반적인 이동오염원의 값을 나타냈다. 고속도로의 이동오염원으로부터 거리에 따른 결과, 고속도로와 인접한 지점의 NO2 농도는 965.4±125.2 ppbv이며 δ15N-NO2는 5.9±1.4‰이었고, 1.1 km 떨어진 지점의 NO2 농도는 372.5±95.9 ppbv이며 δ15NNO2 는 -11.5±2.9‰로 고속도로인근의 값이 높게 나타내었다. 고속도로부터 이동오염원 기여율을 보기 위하여 binary mixing model을 수행하였으며 고속도로와 근접할수록 기여율, 농도 및 동위원소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나타냈다.
1. E. M. Elliott, C. Kendall, S. D. Wankel, E. W. Boyer, D. A. Burns, G. G. Learm, H. E. Golden, K. Harlin, A. Bytnerowicz, T. J. Butler, and R. Glatz, J. Geophys. Res., 114, 148-227 (2009).
2. C. Kendall, E. M. Elliot, and S. D. Wankel, ‘Stable Isotopes in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 2nd Ed., 375-449, Blackwell publishing, 2007.
3. J. D. Felix and E. M. Elliott, Atmos. Environ., 92, 359-366 (2014).
4. W. W. Walters, S. R. Goodwin, and G. M. Michalski, Environ. Sci. Technol., 49, 2278-2285 (2015).
5. J. D. Felix, E. M. Elliott, and S. L. Shaw, Environ. Sci. Technol., 46, 3528-3535 (2012).
6. 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cation No. 2017-51(2017.11.17), Republic of Korea.
7.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ancy, ‘Determinations of Nitrogen Oxide Emissions from Stationary Sources’, 2017.
8. J. G. Coughlin, Z. Yu, and E. M. Elliott, Rapid Commun. Mass Spectrom., 31, 1211-1220 (2007).
9. I. S. Kim, K. S. Lee, Y. S. Bong, J. K. Ryu, and K. G. Kim, J. Geol. Soc. Korea, 48(4), 351-356 (2012).
10. Y, H. Kim, K. S. Seok, Y. M. Park, J. Y. Kim, M. S. Kim, J. J. Park, S. M. Yu, K. S. Park, M. J. Kim, J. S. Park, J. S. Kim, and H. M. Yoo, ‘Building data library of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for anthropogenic emissions’, 2nd Ed., Annual report of NIER. 2015 (unpublished data).
11. E. M. Elliott, C. Kendall, S. D. Wankel, D. A. Burns, E. W. Boyer, K. Harlin, D. J. Bain, and T. J. Butler, Environ. Sci. Technol., 41, 7661-7667 (2007).
12. K. D. Kim, H. K. Ko, T. J. Lee, and D. S. Kim, J. Korea Soc. Atmos. Environ., 27(4), 405-415 (2011).
13. G. Y. Kim, K. H. So, H. C. Jeong, K. M. Shim, S. B. Lee, and D. B. Lee, J. Anal. Sci. Technol., 43(6), 880-885(2010).
14. G. Bird, Envion. Inter., 37, 802-819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