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 및 상태 통제소재와 불안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개인 내적 특질인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상황에 따라 가변하는 상태 통제소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또 상호작용하여 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159명(남성 88명, 여성 7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상태불안은 자기보고 질문지를 통해 측정하였고, 연구참가자들을 두 집단으로 무선할당 한 후 상황을 조작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상태불안에 대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상태 통제소재의 주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참가자는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상태불안을 높게 보고하였으며, 내부 통제소재 조건보다 불분명한 통제소재 조건에서 상태불안을 높게 보고하였다. 그러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상태 통제소재의 상호작용이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tate locus of control on state anxiety. Of particular interest was the possibility of whether state locus of control might moderate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state anxiety. A total of 159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on maladaptive perfectionism, trait locus of control, and state anxiety were included. State locus of control was manipulated in a laboratory setting.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in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tate locus of control on state anxiety were significant. Specifically, participants who had higher level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reported higher levels of state anxiety, and those who were placed in the uncertain state locus of control condition reported higher levels of state anxiety. However, the interactiv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state locus of control on state anxiety was not significa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