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정서조절곤란이 흡연동기와 니코틴의존에 미치는 영향:청소년 흡연자를 중심으로

Effect of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on Nicotine Dependence and Smoking Motivation: Focused on Adolescent Smokers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과 니코틴의존간의 관계에서 흡연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흡연 동기는 측정도구의 5가지 하위요인을 모두 매개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현재 흡연하고 있는 청소년 195명을 대상으로 정서조절곤란, 흡연동기, 니코틴의존을 평가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흡연동기의 5가지 하위요인 중 휴식 및 지루, 습관적 흡연 등 2가지 하위요인은 정서조절곤란과 니코틴의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부적 정서통제, 지적 자극, 사회적 매력 등의 하위요인들은 정서조절곤란과 니코틴의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서조절곤란이 휴식 및 지루, 습관적 흡연의 흡연동기에 의해서 니코틴의존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청소년, 정서조절곤란, 흡연동기, 니코틴의존, Adolescents,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moking Motivation, Nicotine Dependence

Abstract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moking Motivation played a mediating role in the association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Nicotine Dependence to adolescent smokers. All 5 sub factors of Smoking Motivation Questionnaire(SMQ) used as a mediating factors. For this study, a total of 195 adolescent smokers completed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o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moking Motivation, Nicotine Depende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Need for Pleasurable Relaxation and Habitual Smok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Nicotine Dependence. However, Need for Negative Affect Control, Need for Mental Activity, Need for Social Appeal didn’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Nicotine Depend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ffect Nicotine Dependence indirect, through Need for Pleasurable Relaxation and Habitual Smoking.

keywords
청소년, 정서조절곤란, 흡연동기, 니코틴의존, Adolescents,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moking Motivation, Nicotine Dependence

참고문헌

1.

곽금주, 문은영 (1993).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 및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6(2), 29-43.

2.

김명식, 권정혜 (2004). 청소년 흡연행동에 대한 인지매개 모델의 검증.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3(2), 297-312.

3.

김민아, 권경인 (2008). 적응유연한 청소년의 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6(1), 15-32.

4.

김재엽, 이근영 (2010). 청소년의 음주 및 흡연 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2(2), 53-74.

5.

김지희, 이영호 (2014). 흡연갈망과 금단증상이 금연유지에 미치는 영향: 대처와 금연효과지각의 중재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253-269.

6.

김진곤, 서지영, 김선미, 이소진, 이철순, 차보석,... 박철수 (2012). 군인들의 스트레스와 기분증상이 니코틴 의존에 미치는 영향. 생물치료정신의학, 18(2), 111-119.

7.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2008). 우리나라 청소년의 흡연실태: 청소년 건강 행태 온라인조사 결과

8.

문영주, 좌현숙 (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있어 정서적 조절 능력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38, 353-379.

9.

박순길, 조증열, 박영호 (2003). 또래비행동조, 신체적 성숙 및 스트레스가 중학생의 흡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473-486.

10.

보건복지부 (2017. 12월).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통계정보보고서. http://meta.narastat. kr/metasvc/svc/SvcMetaDcDtaPopup.do?orgId=117&confmNo=117058&kosisYn=Y 에서 인출.

11.

서경현, 서정열 (2013). 흡연 청소년의 흡연 유형 및 흡연의존 경향성 관련 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3), 567-578.

12.

서경현, 유제민 (2004). 장기적 금연유지 요인 탐색: 입원 금연 프로그램 참여자 2년 간 추적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03-922.

13.

송태민, 이주열, 안지영 (2010). 금연 실천과 니코틴 의존도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7(4), 123-129.

14.

신주연, 이윤아, 이기학 (2005). 삶의 의미와 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35-1057.

15.

안희경, 이화진, 정도식, 이선영, 김성원, 강재언 (2002). 한국어판 니코틴 의존도 설문도구(FTQ와 FTND)의 신뢰도와 타당도. 가정의학회지. 23(8), 999-1008

16.

연미영 (1996). 정신병적 경향성과 흡연 행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51- 158.

17.

오순영, 김세인, 윤방부 (1993). 흡연자의 우울성향과 니코틴 의존도. 가정의학회지, 14(2), 79-87.

18.

유찬우, 김근향 (2014). 고등학생의 우울 및 불안이 음주동기 및 흡연동기에 미치는 영향-걱정과 반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5(2), 47-77.

19.

이기학, 한종철 (1996). 대학생 흡연자의 각성 수준과 상황에 따른 흡연 욕구 및 심리적 특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14-127.

20.

이상균 (2001). 청소년 흡연행위의 결정요인. 사회복지리뷰, 6(1), 77-94.

21.

이원화, 이지영 (2011).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수준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연구. 인간이해, 32(2), 195-212.

22.

이현주, 하은혜 (2016). 중학생의 정서강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9(1), 35-51.

23.

이혜순, 송미령 (2013). 금연준비단계 대학생의 니코틴의존도 영향요인. 기본간호학회지, 20(4), 429-437.

24.

임영식, 이장한, 김선일, 함진선 (2003). 청소년의 흡연행동: 성격유형, 흡연동기, 갈망, 니코틴의존. 청소년학연구, 10(3), 461-479.

25.

임진현, 이훈진 (2006). 우울⋅품행장애성향 청소년의 정서인식 및 정서조절.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 (4), 1141-1151.

26.

장영순 (2002). 고등학생의 흡연동기와 담배에 대한 심리적 의존도와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장휘숙 (2009). 청년심리학(제14판). 서울: 박영사.

28.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 (4), 1015-1038.

29.

채정화, 최연희 (2015). 흡연중학생의 니코틴 의존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6(3), 2109-2116.

30.

최성환, 최해연 (2014). 청소년 정서조절의 이해: 측정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4), 833-852.

31.

한선화, 현온강 (2006). 청소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전략 및 자기통제력. 아동학회지, 27(6), 1-11.

32.

한종철, 오정자, 이기학 (1995). 한국인의 연령과 사회⋅심리적 요인에 따른 흡연 행동 분석. 흡연위생연구, 110-198.

33.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2). 청소년흡연실태조사 결과.

34.

황성현 (2012). 청소년 흡연⋅음주행위의 원인에 대한 비행이론적 접근-일반긴장이론과 사회학습이론을 중심으로. 보건과 사회과학, 32, 19-38.

35.

홍경화, 홍혜영 (201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5), 291-319.

36.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243-264.

3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 1182.

38.

Edwards, J. A., & Warburton, D. M. (1983). Smoking, Nicotine, and Electrodermal Activity. Pharmacology Therapy, 19, 147-164.

39.

Ernst, M., Pine, D. S., & Hardin, M. (2006). Triadic model of the neurobiology of motivated behavior in adolescence. Psychological Medicine, 36(3), 299-312.

40.

Eysenck, H. J. (1980). The Causes and Effects of Smoking. London: Maurice Temple Smith. 334-358.

41.

Eysenck, H. J. (1981). A model for personality. New York: Springer.

42.

Fagerström, K. O. (1978). Measuring degree of physical dependency to tobacco smoking with reference to individualization of treatment. Addictive Behavior, 3, 235-241.

43.

Frith, C. D. (1971). Smoking behavior and its relation to the smoker’s immediate experience.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0, 73-78.

44.

Garber, J. & Dodfe, K. (1991).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Garnefski, N., Kraaij, V., & Etten, M. (2005). Specificity of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sychopathology. Journal of Adolescence, 28, 619-631.

46.

Gladwin, T. E., Figner, B., Crone, E. A., & Wiers, R. W. (2011). Addiction, adolescence, and the integration of control and motivation.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1(4), 364- 376.

47.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 41-54.

48.

Greenberg, J. J. (2002).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feelings.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9.

Gross, J. J. (1999). Emotion regulation: past, present, future. Cognition and Emotion, 13(5), 551-573.

50.

Heatherton, T. F., Kozlowski, L. T., Frecker, R. C., & Fagerström, K. O. (1991). The Fagerströ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A revision of the Fagerström tolerance questionnaire. British Journal of Addiction, 86, 1119-1127.

51.

Hu, L.,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edeling, 6(1), 1-55.

52.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53.

Kring, A. M., & Werner, K. H. (2004).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pathology. In P. Philippot, & R. S. Feldman(Ed). The regulation of emotion. 359-385.

54.

McLaughlin, K. A., Hatzenbuehler, M. L., Mennin, D. S., & Nolen-Hoeksema, S. (2011). Emotion dysregulation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A prospective study.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49, 544-554.

55.

Papakyriazi, E., & Joseph, S. (1998).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among smoker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moking motivation, social skill deficit, and self-efficacy to qui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 621-626.

56.

Silk, J. S., Steinberg, L., & Morris, A. S. (2003).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in Daily Life: Links to Depressive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4(6), 1869-1880.

57.

Spielberger, C. D., Jacobs, G. A. (1982). Personality smoking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6, 396-403.

58.

Spielberger, C. D., Jacobs, G. A., Crane, R. S., & Russell, S. F. (1983). On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moking habits and the smok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Psychology, 32, 53-69.

59.

Tollins, R. D. (1986). Smoking and society: Toward a more balanced assessment. D. C. Helath & Company/Lexington, Massachusetts.

60.

Torabi, M. R & Bailey, W. J (1993). Cigarette smoking as a predictor of alcohol and other drug use by children and adolescents: Evidence of the gateway drug effect, Journal of School Health, 63(7), 302-30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