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본 연구의 목적은 Rorschach 카드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 애착 간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및 대학원생 69명을 대상으로 애착 검사(ECR-R)를 실시하였고 Rorschach 카드에 대한 정서적 반응 중 쾌-불쾌 차원을 얼굴 표정 정서가로, 활성화 차원을 심박수로, 의식적 수준의 평정을 자기보고식 선호도 검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애착 불안 차원은 I, II, III, IV, VI, VII, VIII, X번 카드에서의 표정 정서가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기저선의 효과를 통제한 결과에서는 I, II, III, VI, VII, VIII, X번 카드와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애착 불안과 Rorschach 카드 자극 제시 시의 심박수 간 관계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애착 불안과 모든 Rorschach 카드에 대한 자기보고식 선호도 사이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애착 회피 차원과 III, VII번 카드 제시 시의 표정 정서가 사이에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확인되었으며, 기저선의 효과를 통제한 결과도 같았다. 다섯째, 애착 회피 차원과 모든 Rorschach 카드에서의 심박수 사이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기저선의 효과를 통제하고 나서는 I, VII번 카드에서 유의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여섯째, 애착 회피 차원과 VIII번 카드의 선호도 사이에서 유의미한 부적 관계가 성립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reactions to Rorschach cards and attachment. For this purpos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N = 69) took the Revised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scale(ECR-R), during which their facial expression valence for the pleasure-displeasure dimension of emotional reaction to Rorschach cards, heart rates for activation dimension, and self-reported preference scale for conscious level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ed that attachment anxiety levels and valence at Cards I, II, III, IV, VI, VII, VIII and X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valence score at baselin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valence score at Cards I, II, III, VI, VII, VIII and X was found. Second, attachment anxiety and measured heart rate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for any card.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when conduct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at controlled the heart rate of steady states. In addi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self-reported preferences for all cards,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avoidance attachment level and the valence score at presentation of Cards III and VII.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heart rate for all cards.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for the card I and VII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the baseline. Lastly,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the avoidance attachment level and preference for Card VIII.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