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조현형 성격 성향을 가진 대학생의 정서적 공감 결함에 관한 연구

Deficits of emotional empathy in college students with schizotypal traits

초록

본 연구는 조현형 성격 성향을 가지는 대학생의 정서적 공감 능력의 결함을 정서적 반응성 과제를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수도권에 재학 중인 대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조현형 성격 질문지(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의 총점 36점 이상(상위 5%에 해당되는 점수)을 받은 학생들을 조현형 성격 성향군에, 14~23점(평균점수 ± 1SD에 해당되는 점수)을 받은 학생들을 정상통제군에 포함하였다. 이들 중 신경질환 및 정신장애의 병력을 가지고 있거나 연락두절 및 연구 참여를 거부한 학생들을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조현형 성격 성향군(n = 23)과 정상통제군(n = 22)이 선정되었다. 정서적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문제는 각각 정서적 반응성(affective responsiveness) 과제와 한국판 대인관계문제검사 단축형(Short form of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정서적 반응성(affective responsiveness) 과제의 분석 결과, 조현형 성격 성향군이 정상통제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정확률을 보였다. 또한, 조현형 성격 성향군이 정상통제군보다 대인관계문제 질문지의 총점과 하위 척도, 즉 비주장성, 냉담, 사회적 억제, 자기 중심성, 과순응성에서 정상통제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에 덧붙여 조현형 성격 특성과 대인관계 문제 간에 정서적 공감 능력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서적 공감 능력의 부분 매개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는 조현형 성격 성향군이 정서적 공감의 결함을 가지고 있고, 이 결함이 이들이 가지는 대인관계 문제 중 냉담, 즉 정서를 경험하고 표현하는 것의 어려움에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keywords
schizotypal-trait group, affective empathy, affective responsiveness task, interpersonal problem, mediation effect, 조현형 성격 성향군, 정서적 공감, 정서적 반응성 과제, 대인관계 문제, 매개 효과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ficits of emotional empathy in college students with schizotypal traits using an affective responsiveness task.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800 college students, and those with a total score higher than 36 were assigned to the schizotypal-trait group, and those with a total score between 14 and 23 were assign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s. Those who had a history of neurological or psychiatric disorder or who refus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excluded. Twenty-three and 22 college students were included in the schizotypal-trait and normal control groups, respectively. Emotional empathy was evaluated with the affective responsiveness task, and interpersonal problems were evaluated with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The results of the affective responsiveness task showed that the schizotypal-trai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total accuracy rates than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schizotypal-tra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interpersonal problems (total scores, nonassertive, cold/distant, socially inhibited, vindictive/self-centered, and overly accommodating). In addition, schizotypal trait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old/distant subscale of the Korea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and emotional empathy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ith schizotypal traits have deficits in emotional empathy, which further affects their interpersonal problems (cold/distant); their difficulty experiencing and expressing emotions is further aggravated.

keywords
schizotypal-trait group, affective empathy, affective responsiveness task, interpersonal problem, mediation effect, 조현형 성격 성향군, 정서적 공감, 정서적 반응성 과제, 대인관계 문제, 매개 효과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