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자기애와 공격적 운전 간의 관계: 분노반추의 매개효과와 공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Aggressive Driv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nger Rumination and Moderating Effects of Empathy

초록

본 연구는 공격적 운전자의 심리적 요인에 주목하여 이들의 동기와 심리적 특성이 운전행태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1년 이상 운전 경험이 있는 만 20~만 60세 미만의 성인 남성 255명을 대상으로 자기애 척도, 운전분노표현 척도, 한국판 분노반추 척도, 공감척도로 구성된 자료를 수집하여 자기애와 공격적 운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와 공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과 운전경력에 따른 공격적 운전의 차이가 있었으며 연령대에서는 만 30~39세가, 운전경력에서는 2년~5년 미만의 운전자가 공격적 운전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의존적 자기애와 공격적 운전의 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분노반추의 하위요인 중 보복반추가 타인의존적 자기애와 공격적 운전 사이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공감이 타인의존적 자기애와 공격적 운전의 수준을 조절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인의존적 자기애가 높으면서 인지공감이 낮을 경우 공격적 운전의 행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및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keywords
Self-Initiative narcissism, other-dependent narcissism, anger rumination, empathy, aggressive driving, 자기주도적 자기애, 타인의존적 자기애, 분노반추, 공감, 공격적 운전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aggressive driving by confirming that motiv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driv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mpathy were examin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aggressive driving. The study included 255 male drivers aged between 20 and 60 years, who had more than 1 year of driving experience in the country.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two dimensional Narcissistic tendency, the Driving Anger Expression Inventory, the K-Anger Rumination Scale, and an empathy scale. The results showed higher levels of aggressive driving in the group of drivers who were 30-39 years of age and those who had 2-5 years of driving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other-dependent narcissism and aggressive driving was mediated by anger rumination. Specifically, it was found that retaliation rumin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anger rumination is partially mediated between other-dependent narcissism and aggressive driving. It was also found that cognitive empathy moderated the level of other-dependent narcissism and aggressive driving. Aggressive driving behavior increased when other-dependent narcissism was high and cognitive empathy was low.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keywords
Self-Initiative narcissism, other-dependent narcissism, anger rumination, empathy, aggressive driving, 자기주도적 자기애, 타인의존적 자기애, 분노반추, 공감, 공격적 운전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