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무쾌감성 우울 및 정서자극에 대한 접근-회피 동기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nhedonic Depression and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towards Emotional Stimuli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무쾌감증이 우울 장애를 불안 장애로부터 구분짓는 핵심적인 특성임을 규명하는 것이며, 실험 연구를 통해 무쾌감증과 정서 자극에 대한 접근-회피 동기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판 불안-우울-고통 척도의 점수를 기준으로 무쾌감성 우울 집단(n=17)과 불안 집단(n=16) 및 통제 집단(n=19)을 모집하여 접근-회피 과제(Approach-Avoidance Task; AAT)를 실시했으며, 정서 자극의 정서가 및 각성가에 따른 개인의 접근-회피 경향성을 측정했다. 통계 분석 결과, 무쾌감성 우울 집단은 불안 집단 및 통제 집단에 비해 긍정 정서 자극에 대한 접근 동기가 유의미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또한 긍정 정서 자극의 각성가 변화에 따른 접근-회피 동기의 변화에 있어 무쾌감성 우울 집단은 불안 및 통제집단보다 덜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긍정적 정서에 대한 접근 동기의 감소, 즉 무쾌감증이 우울 장애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특성임을 시사하며, AAT 과제를 통해 보다 암묵적인 접근-회피 동기를 수정 및 훈련할 수 있도록 개입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keywords
무쾌감성 우울, 불안, 접근-회피 과제(AAT), anhedonic depression, anxiety, approach-avoidance task

Abstract

The study aimed to identify anhedonia as a significant feature of depressive disorder. As a part of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anhedonic depression and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towards emotional stimuli was examined through experiments. Participants with anhedonic depression and anxiety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ores of Anxiety Depression Distress Inventory-27(ADDI-27). A total of 52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hedonic Depression (n=17), Anxiety (n=16) and Healthy Control (n=19). These groups were made to complete an approach-avoidance task. Consequently, approach motivation for positive emotional stimuli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Anhedonic Depression group. Additionally, the Anhedonic Depression group reacted less sensitively to changes in arousal of positive stimuli than the Anxiety and Healthy Control groups. This study suggests that anhedonia is a critical factor that distinguishes depressive disorder from anxiety disorder and provides a basis for intervention using approach-avoidance tasks to modify the implicit approach-avoidance tendencies.

keywords
무쾌감성 우울, 불안, 접근-회피 과제(AAT), anhedonic depression, anxiety, approach-avoidance task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