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대학생의 사회불안 감소를 위한 비대면 집단인지행동 치료의 개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to reduce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초록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언택트 삶을 살아가는 상황에서 심리적인 어려움에 대한 비대면 개입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대학생을 대상로 비대면 집단 인지행동치료를 진행하면서 외부전환 주의집중 기법과 비디오 피드백을 통해 그들이 가지고 있는 사회불안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적 회피 및 불편감 척도 점수에서 절단점 이상으로 나타난 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집단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하고, 사회 불안 증상, 회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및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를 치료 전, 치료 후, 2개월 추후 평가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집단 인지행동치료동안 사회불안 증상, 회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성향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런 치료효과는 종결 후 2개월 추후 평가에서도 동일하게 유지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사회불안 대학생 대상의 집단인지행동치료는 비대면적 개입에서도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social anxiety, non-face-to-face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video feedback, 사회불안, 비대면 집단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비디오피드백

Abstract

The spread of Covid-19 has increased the need for non-face-to-face(non-FTF) intervention for psychological difficulties has increased, especially with social distancing. This study aim to inspect the effect of non-FTF group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n reducing social anxiety in university students through external conversion attention techniques and video feedback. The intervention changed th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al disposition through decentralization and video feedback. The non-FTF group CBT program was provided to 14 university students who showed social avoidance and discomfort scale scores higher than the cut-off point, social anxiety symptoms, avoidanc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maladaptive self-focus. Assessments were performed before, after, and two months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anxiety symptoms, avoidance, fear of negative evaluations, and maladaptive self-focusing tendencie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 the non-FTF group. This treatment effect was maintained two months after termination at the same level as at the evaluation. These results verified that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socially anxious university students is effective even in non-FTF interventions. Basis of the research result,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keywords
social anxiety, non-face-to-face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video feedback, 사회불안, 비대면 집단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비디오피드백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