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정서장애가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집단치료와 개인치료의 효과 비교

Unified, Transdiagnostic Treatment Protocol (UP) for Undergraduate Students with Emotional Disorders: Comparing the Effects of Group and Individual Treatments

초록

본 연구는 정서장애가 있는 한국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집단 형태의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프로토콜(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 UP)의 효과를 UP의 개인치료와 비교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 진단이 사회불안장애, 주요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 또는 강박장애인 진단적으로 이질적인 임상 표본 중에서 21명과 22명이 각각 8회기로 구성된 UP 집단치료와 UP 개인치료를 제공받았으며, 이들은 모두 치료 전 및 치료 후 평가와 3개월 추후 평가를 완료하였다. UP 집단 및 개인치료 조건 모두 사회불안증상, 범불안증상, 공황장애 심각도, 우울증상, 임상적 불안증상, 부적 정서, 일상적 기능의 손상 및 임상적 심각도 평정의 측정치들이 치료 전과 치료 후 간에, 치료 전과 추후 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정적 정서 측정치 상에서 UP 치료 포맷 간 차이는 세 시기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인치료 조건 참가자들은, 집단치료 조건과 달리, 치료 전에 비해 치료 후 및 추후에 정적 정서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상적 유의성 검증 결과, UP 집단치료와 개인치료 조건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총 8회기의 집단 UP가 국내 정서장애 대학생들에게 정적 정서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종속측정치들에서 개인치료와 비견될 정도로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keywords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정서장애, 집단치료, 개인치료, unified transdiagnostic treatment, emotional disorders, group treatment, individual treatment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group and individual formats of the unified protocol for transdiagnostic treatment of emotional disorders(UP). A diagnostically heterogeneous clinical sample of 43 undergraduates with a principal diagnosis of social anxiety disorder, major depressive disorder, persistent depressive disorder, 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21 and 22 participants received an 8-session UP group and individual treatments, respectively. All of them completed outcome assessments at pre- and posttreatment and at 3-month follow-up. The UP group and individual treatments produced significant improvements on several outcome measures including clinical severity rating of the principal diagnosis at both posttreatment and follow-up. Participants in the individual treatment conditio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ositive affect from baseline to post-treatment and follow-up, whereas those in the group treatment condition did not. On any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 indices, the UP group treatm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UP individual treatment.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the effects of the UP group treatment are comparable to the UP individual treatment for Korean undergraduates with emotional disorders on almost all outcome measures, except for positive affect.

keywords
단일화된 범진단적 치료, 정서장애, 집단치료, 개인치료, unified transdiagnostic treatment, emotional disorders, group treatment, individual treatmen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