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52권 10호

컴퓨터 기반 악골 종양의 절제 및 재건술
문성용(조선대학교) ; 임성훈(조선대학교) pp.596-601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0.001
초록보기
초록

최근 컴퓨터 기반 수술이 구강악안면 영역의 수술에자주 이용되고 있으며, 고도의 정확성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기에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수술의 모든 과정에서 술전에 정확한 계획을 하는 것은 술중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술후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3차원의 이미지를 이용하는 virtual plainning을 사용하기 이전에 2차원의 이미지를 이용했던 과거의 경우에 많은 수술적 오차를 발생시켰다. 최근 악안면 영역에서 특히 임프란트 수술의 경우 다양한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실제적 가상의 임프란트를 식립하여 수술용 가이드를 제작하여 실제 수술에 응용하는방법은 많은 임상가들이 이용하고 있으며, 또한 술전계획과 실제 수술과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컴퓨터 기반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활용은 악안면 영역의 수술에서 실시간으로 기구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기에, 최근 더더욱 각광을 받는 수술방법이라 할 수 있다.

Abstract

Computer-aided surgery is popular and useful in the field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simulation with a high accuracy. In all aspects of surgery, proper planning facilitates more predictable operative results, however before the use of virtual planning, much of this relied on 2-dimensional (2-D) imaging for treatment planning on a 3-dimensional (3-D) object and surgical trial and error. With real-time instrument positioning and clear anatomic identification, a computerassisted navigation system (CANS) is exceptionally helpful in maxillofacial surgery. These techniques enable performing precise bony ablation and reconstruction, and also decrease surgical time and donor site defect.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외과적 치료: 최신 경향
송승일(아주대학교) ; 이호경(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치과학교실 구강악안면외과) pp.602-614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0.002
초록보기
초록

현재까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obstructive sleepapnea syndrom:OSAS) 치료를 위한 수많은 방법(treatment modalities)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 치료 방법들은 비침습적(non-invasive)인 행동 조절(behavior modification)과 야간에 사용하는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continuous positive airwaypressure:CPAP)등에서부터 기도의 해부학적 구조를 바꾸는 침습적인(invasive) 치료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다. 외과적 치료 방법을 결정하기까지는 개개 환자의 해부학적 형태나 생리학적 요소 등을 고려해야 하기에“복잡한 선택 및 배제의 연속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즉 임상적 평가(clinical assessment), 환자의선호도(patient preference), 질환의 심각성(disease severity) 등을 고려하여 사용 가능한 치료방법들의 효용성(effectiveness)을 따져, 보다 나은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한편 이는 바꾸어 말하면 너무도 많은 치료 방법(treatmentoption)과 지침(guideline)이 있기에 술자와 환자는치료 방법을 결정하는데 있어 확신을 갖기 어렵고, 혼동을 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1). 본 연구에서는 이렇듯 다양한 수술적 방법들에 대해서 소개하고 각치 료 방 법 들 의 적 응 증 (indication), 예 후(prognosis), 합병증(complication), 고려할 점(perioperative consideration) 등에 대해서 문헌고찰과 함께 논의하여 보다 더 나은 치료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Abstract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OSAS) is defined by total or partial collapse of the upper airway during sleep. In the presence of specific anatomic features, OSAS is potentially amenable to surgical treatment. Initially, the only treatment available for these patients was a tracheotomy that bypassed the obstruction and resulted in a 100% cure. However, this was not readily accepted by most patients, and surgical methods other than tracheotomy were developed to successfully maintain adequate upper airway patency during sleep by comparing to postoperative polysomnography(AHI,RDI etc).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vide an overview of some of the multilevel surgical techniques available for treating OSAS as well as the necessary preoperative considerations.

심미-기능적인 구강암 수술과 재건
안강민(울산대학교) pp.615-622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0.003
초록보기
초록

구강암은 치사율이 높은 질환으로서 최근에 발생률이 증가 하고 있다. 구강암의 발견에 있어서 치과의사의 역할은 아주 중요하며 2주 이상 궤양이 낫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자라나는 종물이 보이면 조직검사를 통하여 확진 하여야 한다. 구강암은 흡연과 음주와 깊은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며 특히 인도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데 이는 인도에서 널리 사용되는 씹는 담배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최근 국내의 구강암의 발생율은 차이가 있는데, 매년 흡연율은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구강암의 빈도는 증가하고있다. 근래에 와서는 비흡연자이면서 여자 환자에게서 구강암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볼수 있다.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유두종 바이러스(papillomavirus type16, 18)와 같은 바이러스의 연관성이 의심되고 있어서 조직 검사시 바이러스 검출을 위한 검사를 추가로 시행하고 있는 추세이다. 3, 4기 구강암은 수술적 치료 뿐만 아니라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수술 후에 시행하기도 하지만 아직은 5년 생존률이50% 이하이다. 1, 2기의 초기 구강암은 방사선 치료로도 완치가 가능하나 방사선 치료의 합병증인 구강건조증이나 방사선치아 우식증(radiation caries) 발생의 합병증이 있어서 수술적 치료법이 가장 유용하며널리 사용된다. 하지만 수술적 치료 방법은 원발부의절제와 재건을 요하여 수술 초기에 환자의 이환율(morbidity) 와 불편감이 높은 편이다.

Abstract

Oral cancer ablation surgery results in tissue defects with functional loss. Accompanying neck dissection results in facial nerve weakness and dysmorphic changes. To minimize the complications after oral cancer surgery, accurate dissection without damaging facial nerve and vital structures are mandatory. Marginal mandibular branch of facial nerve should be dissected or contained in the superficial layer of deep cervical fascia to minimized facial palsy after operation. Reconstruction after cancer ablations is routine procedures and free flap reconstruction is the most commonly used. Radial forearm free flap is the most versatile flap to reconstruct soft tissue defects and it is easy to design according to the defect size and shape. However, donor site scar and secondary skin graft from thigh result in unesthetic and cumbersome wounds. Double layered collagen graft in the donor site could reduce secondary donor site for skin graft. In conclusio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 should know the exact anatomy of the face and neck during neck dissection. Radial forearm free flap is most versatile flap for soft tissue reconstruction and double collagen graft can reduce postoperative scar and there is no need for secondary skin graft.

안면비대칭의 외과적 교정
홍종락(성균관대학교) pp.623-632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0.0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안면비대칭의 빈도는 21~85%이며, 상당수는 상안모 보다는 하안모의 비대칭이 나타난다. ‘대칭’이라는 용어는 사물의 좌측과 우측이 거울상(mirrorimage)과 같이 수학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그렇지만, 인간의 두개안면부에서 이러한 수학적인 대칭은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Ferrario 등5)은 디지털 사진을 이용하여 건강한 정상인의 교합면 경사를 측정한결과, 2.15°에서 2.90°정도의 기울기가 관찰되었다. 비대칭이 있다고 해서 일반인이 곧바로 인식하기는 어려울 수 있으며, Haraguchi 등의 menton의 변이(deviation) 연구에서 두부규격 방사선사진과 비교할 때 사진으로 판단 시에는 55.6%만 검출되었다. 직관적인 판단에 의해 인식되는 안면비대칭은 치아의 부정교합과 연조직의 보상적 부피 변화 및 두부 자세 등으로도 가려질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사람의 비대칭에 대한 인식역이 존재하여 어느 정도의 범위를 벗어나야‘비대칭’을 인식할 수 있다. 교합면의 경사에대해서는 3°가 기울면 관찰자의 50%정도가 비대칭을인식하고, 4°가 기울었을 때, 90% 정도가 비대칭을인식한다고 한다.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