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52권 12호

잇몸의 국소 증식 질환
유미현(부산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 pp.712-719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1
초록보기
초록

잇몸의 국소 증식은 치과 임상에서 비교적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병소이다. 이러한 병변은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며 임상 소견만으로 이들 병소를 감별하는 것은 어려울 수 있으므로, 임상가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정확한 진단을 내려 적절한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다. 잇몸의 증식은 전신질환(systemic disease), 약물, 국소적인 의원성 요소(local iatrogenic factor)나 치태/치석과 연관이 있다. 잇몸의 국소적증식 병소는 진성 종양성 병소라기보다는 반응성 증식병소인 경우가 많아 조직생검에서 분석된 예의 90%이상을 차지한다. 이 경우 감별 진단으로 화농성육아종(pyogenic granuloma), 치은종(epulis),주변성 골화 섬유종(peripheral ossifyingfibroma), 주변성 거대세포 육아종(peripheralgiant cell tumor) 등을 포함하여야 한다 . 이들 반응성 병소는 단독 병소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치태, 치석, 잘 맞지 않는 보철물 등의 국소적자극 인자(local irritant)와 연관되어 생기는 경우가많다. 드물게는 치성 종양, 낭종, 악성 종양 등의병소가 잇몸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구강에서 흔하게 나타날 수 있는 잇몸의 국소 증식 질환을 소개하고, 감별 진단과 치료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Abstract

Localized gingival enlargement is a common finding and tends to be reactive hyperplasia. Gingival reactive lesions are usually asymptomatic and respond to conservative treatment. However, a small entity of localized gingival enlargement is distinct from non-neoplastic growth, including developmental and neoplastic lesions. Since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are similar with other lesions of gingiva, it can cause diagnostic dilemma, and is recommended to submit biopsy and confirm pathologic diagnosis. Their incidence of recurrence are different, therefore method of treatment should vary depending on the diagnosis. This review explains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localized gingival lesions.

잇몸의 전반적인 증식을 초래하는 질환
안미영(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대전치과병원 구강병리과) ; 윤정훈(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대전치과병원 구강병리과) pp.720-725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2
초록보기
초록

잇몸의 전반적인 증식을 초래하는 질환은 원인에 따라 유전성, 약물유도형, 염증성, 면역 또는 종양성 전신질환에 의한 것 등,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반적인 잇몸 비대를 초래하는 질환의 원인은 다양하나, 대부분은 과도한 결합조직 형성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대개는 정상 잇몸 조직과 유사하게 보인다. 그러나 구강위생 불량으로 치태에 의해 이차적으로 염증반응이 동반하는 경우나 전신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는 잇몸의 발적을 보이므로 감별진단을 할때 주의를 요한다. 일반적으로 전반적인 잇몸 비대를 초래하는 질환으로는 치은 섬유종증, 약물에 의한 치은비대증, 증식성 치은염, 웨게너 육아종증, 백혈병에 의한 치은비대 등이다. 이중 웨게너 육아종증과 백혈병은 치명적인 질환이며 잇몸에 조기에 나타나는 질환으로 치과의사가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대표적 전신 질환이다. 이 글에서는 전반적인 잇몸 비대의 임상적 특징과 감별진단, 그리고 임상적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여 일선 치과의사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Generalized gingival enlargement, also known as gingival hyperplasia or hypertrophy, is defined as an abnormal diffuse overgrowth of gingival tissues. There are several causes of generalized gingival enlargement and they can b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hereditary gingival fibromatosis, medication-induced, inflammatory, and systemic or neoplastic causes of gingival enlargement. This paper reviews the clinical featur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significance of generalized gingival enlargements.

잇몸이 벗겨지는 질환
장현선(조선대학교) pp.726-733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3
초록보기
초록

잇몸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치주조직, 즉 치은, 치주인대, 백악질, 치조골 중의 하나이다. 임상적으로 가장 외부에서 관찰되는 치은을 통상적으로 잇몸이라고 한다. 정상적인 건강한 잇몸은 일정한 형태, 색상, 질감 등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일정한 형태, 색상, 질감 등에서 변화가 있을 경우 여러 가지 잇몸질환 들을 생각해볼수있다. 잇몸(치은)은 육안적인 형태상변연치은, 치간유두, 부착치은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잇몸은 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크게 상피조직,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잇몸을 구성하고 있는 상피조직은 중층편편상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세포들은 3~4가지 종류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상피조직을 결합조직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부터 표층에 위치한 상피세포 순으로 구분하면 기저층 세포, 극세포층 세포, 과립층 세포, 각질층 세포로 구분할 수 있다.

Abstract

The gingiva consists of an epithelial layer and an underlying connective tissue layer. The oral epithelium is a keratiniz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The epithelium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ell layer: basal layer, prickle cell layer, granular cell layer and keratinized cell layer. The desquamative disease of gingiva means exfoliative diseases of epithelial layer on the gingiva. The chronic desqumative gingivitis is usually related to the dematologic disorders that produce cutaneous and mucous membrane blisters. The cicatricial pemphigoid and lichen planus are representative diseases of the dermatologic cases. Patients may be asymptomatic or symptomatic. When symptomatic, their complaints range from a mild burning sentation to an severe pain. The clinical examination must be considered with a thorough history, and routine histologic and immunofluorescence studies. A systemic approach needs to achiev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gingival desquamative diseases.

왕복운동 및 회전운동 근관성형용 전동모터 간의 진동 양상 비교
전영주(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 김진우(강릉원주대학교) ; 조경모(강릉원주대학교) ; 박세희(강릉원주대학교) ; 장훈상(전남대학교) pp.734-743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Objectives: By introduced reciprocation motion file in dentistry, dentists benefit simple canal shaping procedure and timesaving. But, reciprocation motion generates uncomfortable vibration to doctors and patients. Because there was no study about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compared vibration pattern and power generated from reciprocation motion motor and conventional rotary motor. Materials & Methods: One conventional rotary motor; X-Smart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and two reciprocating motors; WaveOne Motor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and X-SMART PLUS (Dentsply Maillefer, Ballaigues, Switzerland); were used in this study. Triaxial ICP Accelerometer (Model 356A12, PCB piezotronics, New York, USA) was attached on motor’s handpiece head, and was measured tri-axial vibratory acceleration with NI Sound and Vibration Assistant 2009 software (National Instruments, Texas, USA). Mean vibratory acceleration and maximum vibratory acceleration was measured on fixed position and handed position. The results of vibratory accelera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ANOVA and multiple comparisons are made using Turkey’s test at p<0.05 level. Results: Reciprocating motors showed higher mean vibratory acceleration and maximum vibratory acceleration than conventional rotary motor (p<0.05). Between reciprocating motors, X-SMART PLUS had lower mean vibratory acceleration and maximum vibratory acceleration than WaveOne Motor (p<0.05). Conclusion: Reciprocating motors generate more vibration than conventional rotary motor. Further study about effect of vibration to dentist and patient is needed. And it seems to be necessary to make a standard about vibration level in endodontic motors.

구강점막질환 환자의 행동패턴 연구
옥수민(부산대학교) ; 김경희(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 허준영(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 안용우(부산대학교) ; 정성희(부산대학교) pp.744-752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5
초록보기
초록

구강은 외상 및 미세외상이 잦은 부위이다. 기능적 활동량이 많고, 경조직과 연조직이 근접해 있으며, 치열의 형태도 다양하다. 또한 저작력이 가해지고, 음식물의 조각들이 구강 내 조직들과 접촉한다. 이러한 특징들은 구강 내 연조직이 외상에 취약할 수 밖에 없는 원인이다. 기능적 또는 비기능적 활동 동안 외상성 손상에 의해 표층 표피조직 및 심한 경우 더 하방의 결합조직까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표피는 몸의 최초의 방어벽으로 수분의 소실을 막고각종 독성물질, 화학물질, 감염성 미생물 등으로부터보호한다. 어떠한 원인으로 이러한 표피가 소실되거나 제 기능을 못할 경우 개체는 탈수, hypersensitivity, 감염, 지속적인 염증반응 등의 위험에 노출되게된다. 구강 내 연조직의 손상을 유발하는 비교적 유병률이높은 질환으로는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RAS), 헤르페스성 구내염(Herpetic Stomatitis), 구강 편평태선(Oral Lichen Planus, OLP), 캔디다증(Candidosis), 세균감염성 구강점막 질환, 외상성궤양질환, 구강건조증(Xerostomia) 설염(Glossitis)등 이 있 고 신경변병성 질환(Neuropathic disorder)의일환으로 볼 수 있는 구강 작열감 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BMS) 같은 질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질환들은 각기 다른 병인과 병리학적 질환의 진행을 보이나 어떤단계에 이르러서는 질환의 합병증으로서 또는 질환의임상소견으로서 점막의 궤양이나 위축, 약화소견을 보일 수 있다는 공통점이 존재한다.

Abstract

There are many causes of oral mucosal diseases, so accordingly, there are various treatments available. The most commonly used agents include adrenocortical hormones, antifungals, antivirals, antibacterials, and immunosuppressants. However, it must also be noted that improving oral hygiene and nutrition, and reducing stress are effective in symptom relief. Furthermore, patients with existing diseases of the oral mucosa should avoid behavior that may cause an increase in pain. Unfortunately, many patients are unaware of the activities that may lead to increased pain and therefore do not avoid these activiti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behavior of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with regard to activities that led to increase pain.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on a sample of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 selected from the Oral Medicine Clinic of the Pusan National Hospital during March to August 2013. Thes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a total of 479 patients, 116 patients with mucosal disease were selected and 73 fully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completed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ean score of Question 13 (Not smoking) is 2.47 1.11. Mean score of Question 11 (Not drinking alcohol or not using mouthwash containing alcohol) is 2.22 1.15. The other questions resulted in scores lower than 1.5. The answers to the questions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assigned numerical values: not keeping = score of 0; little keeping = score of 1; often keeping = score of 2; always keeping = score of 3. In conclusion, patients with oral mucosal diseases unknowingly engage in activities that result in an increase in pain. Therefore, they need to be educated about how to behave to protect oral mucosal lesion.

콘빔 CT를 이용한 하악 제3대구치부의 부하악관 평가
조봉혜(부산대학교) ; 정연화(부산대학교) pp.753-761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6
초록보기
초록

하악관은 하악공에서 이부로 하치조 신경혈관다발이 주행하는 구조물로 일반적으로 단일구조물로 알려져 있으나 이열 혹은 삼열하악관 등 부하악관이 꾸준히 보고되어 왔다. 부하악관은 하악 제3대구치 발치, 이식 골 채취, 시상골절단술 등 하악골을 포함하는 외과적 술식과 관련하여 과다 출혈이나 감각이상 등의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으며 하치조 신경마취에 어려움을 줄 수 있으므로 존재여부와 경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야 한다. 과거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연구에서는 이열하악관의 발생빈도가 1% 미만으로 보고되었으나 최근 콘빔 CT를 이용한 연구에서는 환자의 0.2~65%에서 이열 혹은 삼열하악관이 관찰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되어 부하악관이 상당히 흔히 나타나는 해부학적 변이임을 말해준다. 콘빔 CT는 고해상도의 3차원 및 2차원 다면상이 가능하고 이미지 뷰어상에서 판독자가 원하는 단면상을 실시간으로 재구성할 수 있으므로 하악관의 분지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대부분의 부하악관은 하악 제3대구치 후방에서 분지되며 한국인의 평균 길이가14.97㎜로 보고 된 바와 같이 주로 제3대구치부에서 끝나므로 제3대구치의 발치나 이식골 채취 등 제3대구치 포함된 술식을 시행할 때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콘빔 CT를 이용하여 한국인에 있어서 하악 제3대구치부에서의 부하악관의 발생빈도와 특성을 파악하고자 함에 있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distribution of accessory mandibular canal and its characteristics in mandibular third mola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51 subjects (166 males and 85 females) having mandibular third molars bilaterally were included in the study. Cone-beam computed tomographic images were reviewed for bifid or trifid accessory mandibular canal. The prevalence of accessory mandibular canal was evaluated according to gender, side and its branching type. Proximity and crosssectional position of accessory mandibular canal to mandibular third molar was analyzed. Results: Accessory mandibular canals were found in 66 (26.3%) of 251 patients and 86 (17.1%) of 502 hemi-mandibles. Gender and sid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valence. Retromolar canal (46.1%) was the most common branching type. Proximity of accessory canal to mandibular third molars showed mean distance of 2.8 mm from third molar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ypes of accessory canal. Dental canal was the closest to tooth among branching types and closer to tooth than main canal. On cross-sectional view, accessory canal was generally located on buccal side of mandibular third molar. Conclusion: Accessory mandibular canal was common and well detected with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Their localization is significant in all anesthetic and surgical procedures involving mandibular third molars.

다발성 외골증을 가진 치주염 환자의 삭제형 골수술에 대한 증례 보고
이인경(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주과학교실) ; 임현창(연세대학교) ; 이중석(연세대학교) ; 최성호(연세대학교) ; 채중규(연세대학교) ; 정의원(연세대학교) pp.762-770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7
초록보기
초록

외골증은 골이 국소적으로 증식한 양성의 상태로, 구강 내에서는 하악 설측과 구개측 정중앙부에 가장 호발하여 각각 하악융기(torus mandibularis)와 구개융기(torus palatinus)로 명명한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유전적 요인과 과도한 교합력에 의한 환경적 요소를 그 요인으로 추정하 고있다. 구강내 외골증은 병적인 현상이 아니며 양성이므로 외과적인 제거가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발음에 방해가 되거나 보철적으로 의치 제작에 방해가 되는 경우, 암공포증(cancerphobia)이 있거나 외상에 의한 만성 통증이 있는 경우, 그리고 골처치를 동반한 치주치료를 하는 경우 외과적인 제거를 고려하게 된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외골증을 관찰할 경우, 올바른 진단과 제거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Bony exostosis, one of the osseous deformities, could act as a contributing factor of periodontal disease since it makes proper tooth brushing difficult and causes traumatic ulcer.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is to show improvement of periodontal health by removal of bony exostoses and creation of physiologic osseous form. A 58 year-old female patient with recurrent ulcer and pain on bony exostoses located on left maxillary palatal area and both mandibular buccal areas was treated. Exostoses were removed and physiologically positive osseous form was created following vertical grooving, radicular blending, flattening interproximal bone and gradualizing marginal bone. The patient showed no further recurring traumatic ulcer and bone exposure. Moreover, periodontal pocket was eliminated and food impaction was decreased. In conclusion, periodontal health could be achieved through removal of multiple bony exostoses and development of ideal osseous form.

완전 무치악에서 즉시 부하시와 표준 부하시 임플란트 생존율에 대한 비교 분석: 후향적 연구
서현수(한림대학교 의과대학) ; 박준우(한림대학교) ; 홍순민(한림대학교) ; 이석련(원광대학교) pp.771-782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8
초록보기
초록

치근형 티타늄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는 결손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해 다양한 증례에 성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따라서 이제는 표준적인 치과 치료 방법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1, 2). 1981년 Branemark등1) 은 임플란트 골유착의 성공을 위해서는 치유 기간 중 미세 동요를 줄임으로써 일차 안정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하였으며, 이를 위해 임플란트 식립 후 3~6개월간 부하를 가하지 말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부하의 프로토콜을 표준 부하라고 하는데, 이 때 환자들은 식립 후 부하를 가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치아가 결손된 채로 지내거나 임시 가철성 보철물을 장착해야만 하기 때문에 저작 기능, 발음, 심미 등의 관점에서 많은 불편을 감수해야만 한다. 더구나 완전 무치악, 그 중에서도 하악의 완전 무치악 수복 환자에서는 저작이 가능한 자연치가 존재하지 않으며 가철성 임시 보철물은 부족한 유지 및 지지력으로 인해 잘 기능하지 못한다.

Abstract

Introduction: This study researched the clinical application of immediate functional loading technique about implant survival rate in the completely edentulous and suggested our protocol about surgical & prosthetic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32 consecutiv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total of 242 implants were inserted. In test group, 144 implants were inserted in 19 patients with immediate functional loading with occlusal contact. In control group, 98 implants were inserted in 13 patients and conventional loading was done after 4~6 months. Result: In the immediately loaded implants group,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98.6%.

상온 대기압 플라즈마의 치의학적 응용
엄수혁(연세대학교) ; 권재성(연세대학교) ; 이정환(연세대학교) ; 이은정(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 ; 김경남(연세대학교) pp.783-794 https://doi.org/10.22974/jkda.2014.52.12.009
초록보기
초록

물질의 제3상인 기체가 고온의 에너지를 얻으면 그 물질이 물리학적으로 상태변화하여 제4상이 되며, 우주의 대부분이 이러한 제4상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음에 대한 과학적 증명이 1879년 Crook 등에 의하여 밝혀졌다. 1850년에 Simens가 오존을 생성시키기 위하여 최초로 기체를 이온 단위로 분해한 전기적 방전을 선보였으며 1929년, 이러한 전기적 방전현상이 Langmuir에의하여 ‘Plasma(플라즈마)’ 로 명명되었다. 이러한 플라즈마 현상은 현재 빠른 속도로 생물의학, 환경, 우주항공, 농업 및 군사분야로 확장되어 연구되고 있다. 플라즈마 현상의 치의학의 응용은 두 가지의 중요한 관점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한 가지는, 직집적으로 인체 내 구강조직에 플라즈마 조사(irradiation 또는 treatment)를 통한 치료목적의 응용방법이며, 다른 한가지는 소독이나 표면개질(surface modification)을 위한 치과의료기기 및 치과생체재료의 표면처리 응용이다.

Abstract

Since the introduction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in the field of the dentistry, numerous applications have been investigated. Especially with its advantages over existing vacuum plasma in terms of portability, low cost, and non-thermal damage, it can be directly applied in the oral cavity, giving number of potentials for dental application. First, possible application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in the field of dentistry is relation to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s. Teeth and alveolar bones are one of the strongest bony structures in our body, but it cannot be regenerated when they are damaged by dental caries or periodontal disease. Hence many studies to prevent such diseases have been carried out, though no perfect solution has been found yet. With recent studies of modifying surfaces through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application that can prevent attachment of bacteria, or studies on bactericidal effects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can be applied here to prevent oral pathogen and ‘biofilm’ attachment to the surface of teeth or directly eliminate the dental caries/periodontal disease causing germs. Secondly,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application will be useful on the surface of dental implant. It is well known that the success of dental implant surgery depends on the process known as ‘osseointegration’ that result from osteoblast attachmen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As the application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on the surface of dental implant just before its introduction by the chair-side of dental surgery. Despite its long history, the generation of non-thermal atmospheric pressure plasma has been greatly increased with its application in dentistry.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