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권호 목록

우식위험도평가에 근거한 한국형 치아우식증 관리 모델
김백일(연세대학교) pp.456-463 https://doi.org/10.22974/jkda.2014.52.8.001
초록보기
초록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치의학은 의학과는 전혀 다른흐름으로 발전해왔다. 중세 시대 이발사들이 아픈 치아를 발치하는 치료에서부터 출발했던 치의학은 21세기에 이르러 임플란트에 이르는 첨단 치과치료 기술로발전해왔다. 그러나 지난 수백 년간 치의학을 지탱해온 공통의 패러다임은 진행된 구강질환을 치과의사의 눈으로 확인하고 이를 외과적으로 제거하고 충전하는“외과적 모형(surgical model)”이었다. 그러나 우리의 인접 분야인 의학의 경우, 의사의 육안이나 청각에의존하여 질병을 진단하던 시대는 이미 19세기 이전에 끝났다. 대부분의 질병의 자연사(naturalhistory) 과정을 살펴보면 육안으로 질병을 파악할수 있는 단계는 전체 과정 중 말기에 해당되는 경우가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의과학에서는 질병을 육안으로탐지할 수 있는 수준보다 훨씬 이전의 초기 단계에서발견하기 위해서 다양한 영상 및 이화학적 진단기술을 개발해왔다.

Abstract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 (CAMBRA), published by California Dental Association in 2003, is a customized caries care system that classifies individuals’ caries risk into 4 risk groups based on objective evidences and provides chemical treatments targeted for each caries risk level. However, this system was not only developed but also optimized for situation in the United States, resulting into many limitations to be used in Korea, and thus Korean CAMBRA (K-CAMBRA) that considers the clinical situation in Korea needs to be developed. K-CAMBRA includes various techniques that are newly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irst, Q-ray, a new optical technology, is utilized in order to avoid the subjectivity of visual inspection during assessment of disease indicators and risk factors. Moreover, Cariview‚ that reflects the paradigm shift in cariology as a new form of caries assessment kit is use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Korea, where it is impossible to use high concentration fluoride product, Oral pack with a customized tray is added to increase the contact time of chemical substance. CAMBRA is believed to be the key clinical tool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paradigm of the conventional restorationbased surgical model of dentistry. Furthermore, it can be expected that Korean dentists can act as oral physicians who are able to control and care individuals’ caries risk rather than operative experts who only care about the outcome of caries.

우식위험도 평가에 근거한 치아우식증 관리(CAMBRA)의 이론적 배경 및 발전 과정
조영식(남서울대학교) pp.464-471 https://doi.org/10.22974/jkda.2014.52.8.002
초록보기
초록

보건학에서는 건강한 상태에서 질병에 이환되어 사망 또는 재활에 이르는 건강과 질병의 연속성을‘질병의 자연사’라는 모형을 통해 설명한다. 구강보건학에서도 건강한 치아가 전구병원성기, 조기질환기, 진전질환기를 거쳐 발거되는 과정을 1차, 2차, 3차 예방의 개념으로 도식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에작은 와동이 생겨 아말감 충전을 한 치아는 몇 년이지나 와동은 더 넓어 지고, 깊어 지고 더 큰 수복물로충전이 되고 보존치료와 근관치료와 보철치료 과정을연속적으로 거치면서 최악의 경우에는 발거에 도달하게 된다.

Abstract

This article reviewed theological background and historicak development in dental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 Dental caries prevention and treatment according to CAMBRA model is patient-centered, risk-based, evidence-based practice. Team approach is necessary and clinician need to integrate science, practice and product. Dental hygienist take a important role in implementing CAMBRA. CAMBRA model could be incorporated into dental and dental hygiene education. Dentist and dental hygienist able to provide scientific and ethical care managing dental caries by risk assessment.

우식위험도 평가에 근거한 치아우식증 관리의 임상적용 사례 및 활성화 방안
윤홍철(강남베스트덴치과의원) ; 최연희(경북대학교) pp.472-477 https://doi.org/10.22974/jkda.2014.52.8.003
초록보기
초록

치아우식증은 구강내 세균에 의해 매개되는 감염성질환으로 이를 예방하려는 노력이 오래전부터 있어왔다1). 그 결과 유병률이 급격하게 감소였으나 일정수준에서 정체되고 있어 현재까지도 중요한 구강문제로 남아있다. 치아우식증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감소추세를 가속화시키기 위해서는 개인별 구강 위생 평가를통한 적절한 대응과 조기 진단을 통한 치료 및 적절한 예방프로그램이 필요하다.

Abstract

The new paradigm of dentistry require the detection of caries in their earlier stages. To achieve this, a high technology detection device and systematic and organized caries management system are needed. Caries management by risk assessment (CAMBRA) model is representative caries management system that satisfied new paradigm. Dental caries prevention and treatment according to CAMBRA model is patient-centered, risk-based, evidence-based practice. Therefore, individual caries management such as CAMBRA should be performed through accurate assessment of caries disease indicators and comprehensive assessment of caries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Based on the CAMBRA better effectiveness of comprehensive dental caries management including non-surgical treatment will be accomplished.

치의학 분야에서의 메타 분석
임회정(전남대학교) pp.478-490 https://doi.org/10.22974/jkda.2014.52.8.004
초록보기
초록

1976년 Glass에 의해 메타분석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고,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의학 분야에서, 2000년도 이후부터는 치의학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메타분석 연구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Fig. 1). 메타분석은 각 연구들의 상반된 결론이나 논쟁이 야기되었을 때 혹은 짧은 기간에 적은 예산으로 문제의 해결을 요구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요즘 치의학 분야에서도 비슷한 주제를 가진 연구가 계속 증가하여 기존의 문헌 연구로는 경향을 파악하기 힘들고 관련 정보가 많아져 메타 분석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Abstract

Recently, importance of meta-analysis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dentistry, since it is not easy to settle controversies arising from conflicting studies. Meta-analysis is the statistical method of combining results from two or more individual studies that have been done on the same topic. Merits of meta-analysis include an increase in power, an improvement in precision, and the ability to address solution not provided by individual studies. However, it might mislead researchers when variation across studies and publication bias are not care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 meta-analysis by making use of individual results in dental research paper.

임플란트 보철물의 식편압입: 교합적 원인분석과 대처
조리라(강릉원주대학교) pp.491-505 https://doi.org/10.22974/jkda.2014.52.8.005
초록보기
초록

임플란트 보철물 장착 후 가장 흔한 문제점이 인접치의 이동으로 인한 식편압입 현상이다. 특히 임플란트 보철물의 근심면에서 빈발하며 인접치의 생활력이나 대합치의 종류와 같은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이상적인 인접면접촉의 형태나 강도를 가진 임플란트 보철물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음식물저류를 유발하지 않도록 지대주나 보철물의 출현윤곽을 만들어 준다. 발치 후 임플란트 보철까지 상당한 기간이 소요되므로 인접치나 대합치의 교합조기접촉이 있을 가능성이 증가한다. 이러한 치아 동요도가 있으면 인접접촉강도와 관계 없이 식편압입이 발생하기도 한다. 인접치의 교합조기접촉을 조정해 주는 것은 인접면접촉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한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Food impaction between the implant prostheses and adjacent teeth i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problem. It may be caused by the migration of the adjacent teeth. This symptom may be observed at the mesial aspect of implant prostheses especially, and related with the multiple contributing factors including teeth vitality and antagonist. Idal proximal contact with optimal strength and shape should be made for preventing the food impaction. Shape of customized abutment and prosthesis should have optimal emergence profile. Long duration from the extraction to the delivery of implant prostheses, the adjacent teeth and antagonist teeth may have possibility of occlusal interferences. Remained teeth mobility can induce the food impaction regardless of interproximal contact strength. Occlusal adjustment to remove occlusal interferences can be a method for enhancing the stability of interproximal contact.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