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잇몸이 벗겨지는 질환

Desquamative Diseases of Gingiva

초록

잇몸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치주조직, 즉 치은, 치주인대, 백악질, 치조골 중의 하나이다. 임상적으로 가장 외부에서 관찰되는 치은을 통상적으로 잇몸이라고 한다. 정상적인 건강한 잇몸은 일정한 형태, 색상, 질감 등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일정한 형태, 색상, 질감 등에서 변화가 있을 경우 여러 가지 잇몸질환 들을 생각해볼수있다. 잇몸(치은)은 육안적인 형태상변연치은, 치간유두, 부착치은으로 구분한다. 이러한 잇몸은 현미경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크게 상피조직, 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잇몸을 구성하고 있는 상피조직은 중층편편상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세포들은 3~4가지 종류로 다시 구분할 수 있다. 상피조직을 결합조직과 가장 가까운 곳에서부터 표층에 위치한 상피세포 순으로 구분하면 기저층 세포, 극세포층 세포, 과립층 세포, 각질층 세포로 구분할 수 있다.

keywords
Gingiva, Desquamative gingivitis, Cicatricial pemphigoid

Abstract

The gingiva consists of an epithelial layer and an underlying connective tissue layer. The oral epithelium is a keratiniz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The epithelium can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ell layer: basal layer, prickle cell layer, granular cell layer and keratinized cell layer. The desquamative disease of gingiva means exfoliative diseases of epithelial layer on the gingiva. The chronic desqumative gingivitis is usually related to the dematologic disorders that produce cutaneous and mucous membrane blisters. The cicatricial pemphigoid and lichen planus are representative diseases of the dermatologic cases. Patients may be asymptomatic or symptomatic. When symptomatic, their complaints range from a mild burning sentation to an severe pain. The clinical examination must be considered with a thorough history, and routine histologic and immunofluorescence studies. A systemic approach needs to achiev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gingival desquamative diseases.

keywords
Gingiva, Desquamative gingivitis, Cicatricial pemphigoid

참고문헌

1.

1. Lindhe J, Lang NP, Karring T. Clinical Periodontology and Implant Dentistry. Fifth ed. Blackwell Munksgaard. 2008:5-26.

2.

2. 대한치주과학회. 치주과학. 5판. 군자출판사. 2010:101-104.

3.

3.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구강악안면병리학. 군자출판사. 2002:121-147, 411-435.

4.

4. Eversole LR. Clinical outline of oral pathology. Fourth ed. PMPH-USA. 2011: 161-170.

5.

5. Neville BW, Damm DD, Allen CM, Bouquot JE. Oral and Maxillofacial Pathology. Third ed. Sounders. 2009:154-163, 741-815.

6.

6. Newman MG, Takei HH, Klokkevold PR, Carranza FA. Carranza's Clinical Periodontology. 11th. ed. Elsevier. 2012:111-126.

7.

7.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역. 최신구강악안면병리학. 2판. 대한나래출판사. 2005:264-293.

8.

8. Regezi JA. Sciubba JJ. Jordan RCK. Oral Pathology:Clinical pathologic correlations. Sixth ed. Elsevier. 2012:1-21.

9.

9. 박경한 외 역. 새의학용어(The Language of Medicine). 9판. 범문에듀케이션. 2011:473-500.

10.

10. Kumar V, Abbas Ak, Aster JC. Robbins Basic Pathology. Ninth ed. Elsevier. 2013:857-862.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