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검색어: 메타데이터, 검색결과: 57
초록보기
초록

쌍방향적 정보의 교류와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기술의 발달을 배경으로 등장한 전자정부와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제정된 전자정부법은 온라인을 통해 정부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는 공공기관의 기록관리 환경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국민들이 정부정보로 접근하는 것을 더욱 확고하게 보장하였다. 공공기관이 온라인으로 정보자원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도록 하는 한편, 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정보자원 국민들이 편리하고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는 이를 지원하는 공공인프라의 구축과 함께 전자정부 메타데이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표준화된 전자정부 메타데이터는 없지만 ‘GILS Core 엘리먼트’가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고 있다. 하지만 GILS Core 엘리먼트는 기술 대상으로 기록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개발되어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정부 정보자원의 대부분을 차지할 기록의 특성을 고려하여 전자정부 메타데이터 표준을 제안하였다.

Abstract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at allows bidirectional exchange and access of information made possible the formation of e-Government. The e-Government and the E-Government Act established for its support provides a tool for online access of government information. This brought on many changes in the recordkeeping environment of public institutions, and also guarantees access of government information by the general public. The active disclosure of government information was re-confirmed through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that was amended in 2004, and through its contents that offer guidelines for administrative information disclosure and announcements (Prime Minister Orders No.422). As a result of this effort,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provide real time update of their homepages with focus on key organizational policies and records. Such changes are expected to other various public organizations. In order for public organizations to accurately and efficiently provide information sources, and in order to provide the public with easy access to such information, development of public infrastructure along with e-Government metadata are necessary. Korea does not yet have e-government metadata that has been standardized, although “GILF Core Element” has analogous functions. However, GILS Core element has been developed without recordkeeping intent, and it has not been successful in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recordkeeping metadata. Therefore, in this study, criteria for e-government metadata are proposed.

2
서지인(부산대학교) ; 노지현(부산대학교) 2022, Vol.22, No.4, pp.1-24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4.0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디지털화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디지털화 기록의 체계적 관리와 품질 유지를 위해 필요한 메타데이터 요소(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메타데이터 요소(안)의 개발에 앞서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화 기록의 정의와 특성을 확인하고, 원천 기록의 사본이자 대체물로서 디지털화 기록을 규정하여 원천 기록과의 관계를 정립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과 미국 및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디지털화 기록에 대한 메타데이터 요소 비교 및 요소 설계시 고려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디지털화 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설계방향은 첫째, 원천 기록과 디지털화 기록의 관계 정립, 둘째, 자원 유형별 특성에 따른 자동추출 메타데이터 요소 확대, 셋째, 업무과정 및 프로젝트에 대한 메타데이터 작성 등 3가지로 정리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디지털화 기록의 메타데이터를 디지털화 기록 메타데이터과 디지털화 프로세스 메타데이터로 개체를 구분하고, 해외 사례를 참조하여 각 개체별로 추가되어야 할 요소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ign the metadata elements for managing and maintaining digitized records resulting from digitization. The digitized records were first defined and characterized, then assigned as copies and surrogates for source records. Nex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metadata elements for digitized records were determined by comparing standards from different countries like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digitized records and source records, expanding the automatically extracted metadata elements following resource characteristics, and creating metadata for digitization processes and projects were set to be the key tasks of metadata design for managing digitized records. Furthermore, the metadata elements for digital records and digitization processes were designed individually, and the elements to be added for each entity were proposed by referring to standards from other counties.

3
최주호((주)세미콘네트웍스) ; 이재영((주)세미콘네트웍스) 2012, Vol.12, No.1, pp.7-32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1.007
초록보기
초록

전자기록물의 이관할 때, 전자기록물의 필수 메타데이터의 검증과 실제 문서에 있는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증도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록물에 포함된 다양한 형식의 전자파일 중에서 본문파일에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항목별로 분류한 후 이관되는 메타데이터 항목과 비교 검증을 위한 기술 개발을 연구하였다. 해외에서 개발된 추출 도구와 달리 국내 전자결재 형식을 감안하여 첨부된 본문파일에서 메타데이터를 추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기록물 문서 메타항목에 저장된 원 메타데이터와 추출 메타데이터간 비교 검증을 수행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Abstract

When migrate electronic records, the validation of the required metadata in electronic records and verified with the metadata in the document are also important.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and implements a tool to extract data from files in various formats and use them to validate metadata associated with the files in electronic records. Compared to other metadata extraction tools, especially developed in foreign countries, the standard form of documents used in Korean government is taken into account and metadata is extracted from the content of files. The tool compares the extracted data to encapsulated metadata for validation.

4
최상미(KDI국제정책대학원) ; 이상용(이화여자대학교) 2007, Vol.7, No.1, pp.39-60 https://doi.org/10.14404/JKSARM.2007.7.1.0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관리 메타데이터에 관한 국제표준인 ISO 23081과 호주와 영국의 메타데이터표준 그리고 우리나라의 공공기록물에 나타난 메타데이터요소를 분석하여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현용전자기록물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 요소는 전자기록물의 진본성, 신뢰성, 무결성, 가용성을 강화하는 기본적인 요소들이므로 행정기관뿐만 아니라 전자기록물을 생산하고 관리하여 활용하는 환경에서는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 요소는 국제표준에 입각하여 설계한 것이므로 우리나라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표준 제정시 또는 전자문서시스템 개편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is a study based on the discussion of current electronic recordkeeping Metadata Standards. These standards form the basis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s. By analyzing ISO 23081, as well as the Metadata Standards used in Australia, England, and in the public records of Korea, the following were observed. This study puts forward the Metadata elements that apply to current electronic records and recognize their relevance and importance. Those elements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a future Korean Electronic Records Metadata Standard.

5
김민지(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데이터기록전공 석사) ;  강성희(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데이터기록전공 교수) ;  이해영(명지대학교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교수) 2024, Vol.24, No.2, pp.89-112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2.089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리에서 메타데이터는 기록을 구성하는 필수 요소 중 하나로 기록물을 적절하게 관리하고 이해하도록 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록관리 업무에서 메타데이터 요소들의 자동 부여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기록전문가가 메타데이터 값을 직접 입력해야 한다. 이러한 업무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기술인 챗GPT를 활용하여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요소의 추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챗GPT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 파이썬 프로그램과 랭체인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PDF 문서를 제시하고 질문을 통해 기록물의 메타데이터를 추출해보았고, 챗GPT 온라인 서비스를 통해 여러 건의 PDF 문서를 첨부하여 기록물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추출해보았다. 그 결과 챗GPT-3.5 turbo를 사용한 랭체인에서는 보안상으로는 안전한 추출 방법이긴 하나 메타데이터의 정확한 요소를 얻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었고, 챗GPT-4 온라인 서비스에서는 보안상 중요 문서를 첨부할 수 없지만 비교적 정확한 결과를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기록관리에서의 메타데이터 추출을 위한 챗GPT 기술 활용의 가능성을 타진할 수 있었고, 챗GPT 관련 기술의 발달에 따라 좀 더 안전하고 정확한 결과 추출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러한 챗GPT의 장점을 활용함으로써 기록관에서 기록 및 메타데이터의 관리적 측면에서 업무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증대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Metadata is a crucial component of record management, playing a vital role in properly managing and understanding the record. In cases where automatic metadata assignment is not feasible, manual input by records professionals becomes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alleviate the challenges associated with manual entry by proposing a method that harnesses ChatGPT technology for extracting records management metadata elements. To employ ChatGPT technology, a Python program utilizing the LangChain library was developed.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analyze PDF documents and extract metadata from records through questions, both with a locally installed instance of ChatGPT and the ChatGPT online service. Multiple PDF documents were subjected to this process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metadata extrac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while using LangChain with ChatGPT-3.5 turbo provided a secure environment, it exhibited some limitations in accurately retrieving metadata elements. Conversely, the ChatGPT-4 online service yielded relatively accurate results despite being unable to handle sensitive documents for security reasons. This exploration underscores the potential of utilizing ChatGPT technology to extract metadata in records management. With advancements in ChatGPT-related technologies, safer and more accurat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chieved. Leveraging these advantages can significantly enhance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tasks associated with managing records and metadata in archives.

6
왕호성(국가기록원 기록연구사) ; 설문원(부산대학교) 2018, Vol.18, No.1, pp.79-99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1.079
초록보기
초록

1999년 공공기록물법이 제정된 이래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기록물 생산현황 통보제도는 기록물의 원활한 수집과 이관을 목적으로 한다. 2007년 개정된 공공기록물법은 생산현황 통보파일을 기록생산시스템에서 생성하여 기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자동화된 통보방식을 주된 운영방식으로 규정하였다. 하지만 실제로는 생산현황 통보대상 7종 중 1종만이 전자적으로 통보되고 나머지 6종의 기록물 유형은 수기방식으로 통보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그나마 작동되고 있는 현행 전자적 통보방식 역시 규격 미비 등 구조적 문제로 인한 각종 오류를 야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록시스템을 이용한 전자적 통보방식이 작동되지 못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system for reporting record production has been operated to collect and transfer the public records adequately since the enactment of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in 1999. The Act, which was revised in 2007, regulates automated reporting methods in which the production reporting files are generated in the records creation systems and transferred to the records management systems. However, only one type of record is being notified electronically among seven types, which should be notified under the Act. The remaining six types of records are laboriously reported using complicated templates. Furthermore, the current working electronic notification mechanism is also causing various errors mainly because of inadequate specific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auses of failure of the electronic notification through the electronic records systems and suggests some policies for its improvement.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은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 중 특히 맥락 관련 요소를 실행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 요소들이 국가기록원이 개발 보급한 표준 RMS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RMS 데이터 테이블, 장기보존포맷 기술규격 등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둘째, 표준 RMS를 운영 중인 4개 공공기관과 국가기록원 RMS 운영센터를 방문하여 RMS를 통한 데이터 조회와 면담을 토대로 메타데이터 축적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공공표준 측면과 RMS 기능 개선 측면으로 나누어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valuate Korean Records Management Metadata Standar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contextual elements in their implementation aspect, and to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Standard revision for improving the metadata quality of RMS developed by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present paper begins with comparing RMS data and the Standard elements, and examines the problems of current accumulation practices of contextual metadata elements in the RMS. Finally it makes some suggestions concerning the Standard revision as well as RMS function upgrade.

초록보기
초록

디지타이제이션은 문화유산기관의 소장품 보존에 탁월한 공헌을 해 왔으나, 디지타이제이션을 수행하는 상세한 세부기술전략을 표준화하여 지침으로 마련한 기관은 많지 않다. 본고는 디지타이제이션에서 중요한 두 단계인 이미지프로세스와 메타데이타기술(description)에 대한 실무가이드를 사례를 통해 설명한다. 그리고 디지타이제이션 프로젝트 진행에 관련된 중요한 쟁점들을 강조함으로 실무자들이 디지타이제이션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전략을 제공한다.

Abstract

Although digitization contributes to th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resources, detailing the necessary techniques is a lack of standardization in existing digital reposito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practical strategies to illustrate technical details of imaging processes and metadata description with examples. This paper also provides important management issues related to digitization management for project managers and practitioners.

초록보기
초록

PREMIS는 OAIS의 개념적 프레임워크의 한계를 넘어 보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지만, 각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실제 데이터와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지에 대한 사례와 지침이 명확하지 않아 디지털 아카이브에서 실제 보존 메타데이터를 설계하거나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디지털 아카이브의 환경에서 디지털 자원을 관리하고 보존의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PREMIS 3.0 기반의 보존 메타데이터 실제 사례들을 조사하고 보존 메타데이터 구현 및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PREMIS의 응용프로파일 지침에 따라 디지털 아카이브의 보존 메타데이터 설계 시 고려할 수 있는 보존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he Preservation Metadata: Implementation Strategies (PREMIS) aims to preserve practices beyond the limits of the Open Archival Information System (OAIS) conceptual framework; however, the examples and guidelines on connecting each metadata element to the actual data are unclear, making the design of preservation metadata in real digital archives difficult. Hence, this study investigates actual PREMIS 3.0-based preservation metadata management cases, preserves digital resources in various digital archive environments, and derives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preservation metadata.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proposes preservation metadata elements that can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preservation metadata for digital archives according to PREMIS 3.0 application profile guidelines.

10
백재은(University of Tsukuba) ; Shigeo Sugimoto(University of Tsukuba) 2010, Vol.10, No.2, pp.75-99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2.07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Digital resources are widely used in our modern society. However, we are facing fundamental problems to maintain and preserve digital resources over time. Several standard methods for preserving digital resources have been developed and are in use.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metadat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for digital archiving and preservation. There are many metadata standards for archiving and preservation of digital resources, where each standard has its own feature in accordance with its primary application. This means that each schema has to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tailored in accordance with a particular application. And, in some cases, those schemas are combined in a larger frame work and container metadata such as the DCMI application framework and METS. There are many metadata standards for archives of digital resources. We used the following metadata standards in this study for the feature analysis me metadata standards - AGLS Metadata which is defined to improve search of both digital resources and non-digital resources, ISAD(G) which is a commonly used standard for archives, EAD which is well used for digital archives, OAIS which defines a metadata framework for preserving digital objects, and PREMIS which is designed primarily for preservation of digital resources. In addition, we extracted attributes from the decision tree defined for digital preservation process by Digital Preservation Coalition (DPC) and compared the set of attributes with these metadata standards. This paper shows the features of these metadata standards obtained through the feature analysis based on the records lifecycle model. The features are shown in a single frame work which makes it easy to relate the tasks in the lifecycle to metadata elements of these standards. As a result of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metadata elements, we clarified the features of the standards from the viewpoint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elements and the lifecycle stages. Mapping between metadata schemas is often required in the long-term preservation process because different schemes are used in the records lifecycle. Therefore, it is crucial to build a unified framework to enhance interoperability of these schemes. This study presents a basis for the interoperability of different metadata schemas used in digital archiving and preservation.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