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기록관리현황, 검색결과: 122
111
최성연(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2021, Vol.21, No.2, pp.93-113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2.093
초록보기
초록

시민의 자발적 동기로 조직된 NGO가 생산하는 기록은 시민 사회의 기억이며, 단순한 행정의 산물을 넘어 조직의 존립을 위한 증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NGO의 체계적 기록관리를 위한 토대가 되고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참고자료로 기능하여 시민 사회 활동을 보존하고 기록 이용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UN 경제사회이사회의 협의적 지위를 부여받은 국내외 5,725개의 NGO를 대상으로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이 중 10개의 NGO를 선정하여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심층 분석하였다. 조사의 결과 실물 및 디지털 아카이브를 제공하는 NGO는 모두 75개로 NGO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는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 분석 결과 국내 NGO는 실물 기록의 접근, 기록물 이용 지침을 보완하고 1:1 문의, Q&A, 연구 및 교육 지원 등의 서비스를 운영하여 적극적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 NGO는 온라인 전문 열람 서비스를 확대하고 기록물을 활용한 확장 서비스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체 기록정보서비스가 어려운 NGO는 기록의 이관 및 활동 분야별 통합 기록정보서비스 운영의 고려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Beyond being mere administrative products for their functional running, records produc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and arranged voluntarily by citizens are memories of civil society.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re expanding in the archives sector, but it is not easy to provide services with a limited budget from activist NGOs. Besides, there has never been a case study of information services for NGOs, resulting in a lack of basic data.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the status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of 5,725 NGOs that have a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 (ECOSOC) consultative status. Furthermore, it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10 selected NGOs to contribute to preserving civil society activities and promoting the use of their rec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5 out of 5,725 NGOs had physical and digital archives. Second, domestic NGOs must supplement their policy of accessing and using physical records and operate 1:1 inquiries and Q&A services to provide active record information services. Overseas NGOs must consider expanding online full-text and outreach services using records. Third and last, NGOs that have difficulty providing records information services should consider the services from an integrated standpoint according to the field of activities and transfer.

112
배성중(전주교육대학교 기록연구사) ; 배삼열(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4, Vol.14, No.4, pp.63-97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4.06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대학교에서 대학도서관, 대학기록관, 대학박물관의 설치 및 운영을 할 수 있도록 라키비움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라키비움에 대한 문헌조사, 우리나라 대학교의 현황 조사 및 분석하고 각 기관 담당자와의 면담을 수행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도서관, 기록관 및 박물관을 하나의 기관으로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통합기관으로써 라키비움은 소규모대학교에 있어서 효과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대학교에서 모든 정보의 관리, 보존 및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간 구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nstall and operate a larchiveum for the integrated organization of a library, an archive, and a museum in a small university.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and analyzed the circumstances and cases of various universities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several institutional staffs. With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to integrate a library, an archive, and a museum for an efficient larchiveum. This study also proposes an effective space design to provide management, conservation, and services in a small university.

초록보기
초록

최근 각국은 정부 데이터 개방을 위한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행정정보데이터세트 등 다양한 데이터를 민간에서 웹을 통해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오픈 데이터 플랫폼인 소크라타와 CKAN의 기능을 분석하고, 각국의 활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서울시의 데이터세트 서비스 현황을 사례로 검토하여, 오픈 데이터 플랫폼을 적용한 지방자치단체의 데이터세트 관리 및 서비스 방안을 개념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기록으로서의 데이터세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장기적인 보존과 관리체제 방안을 제도적 측면과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 측면, 서비스 측면 및 플랫폼의 선택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Abstract

Recently many countries have established data platforms to disclose government-owned data that include administrative data-sets and provide free access to the public via Web. This research analyzes the “Socrata" and “CKAN", the most popular representative open data platforms in the world, and reviews functions and their practical cases in operation in several cities of various nations. It also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he data-set services in the City of Seoul to provide conceptual bases for management and service of the local governments’ data-sets using open data platform. Then it suggests measures that ensure the long-term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data-sets as archives for services, which includes the aspects of preparing systems, creating and managing data, providing services, and selecting platforms.

114
백제연(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성신(경북대학교) 2021, Vol.21, No.2, pp.1-21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 나라기록넷띠 서포터즈 활동 현황을 분석하여 서포터즈 활동을 통한 국가기록원 홍보라는 궁극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나라기록넷띠 운영 및 활동 전반에 대한 제언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국가기록원 홈페이지, 나라기록넷띠 네이버 공식 카페 등을 통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서포터즈 활동 및 운영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미국 NARA의 시민 아카비스트 대시보드와 호주 NAA의 하이브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나라기록넷띠의 온⋅오프라인 활동과 국가기록원의 서포터즈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1) 서포터즈가 게시하는 글의 차별성을 담보할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2) 적절한 태그의 활용과 태그를 다양하게 지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3) 관리자에 의한 그리고 서포터즈 상호간의 적극적 피드백이 필요하다. 4) 창의적인 홍보물 창작을 독려할 방안이 필요하다. 5) 오리엔테이션 등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6) 세분화되고 명확한 기준에 의한 평가를 통한 인센티브 제공이 필요하다. 7) 서포터즈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8) 국가기록원 홈페이지를 통한 홍보가 필요하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ggestions on the activities and operation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NAK) Nara Archives Netti supporters, whose ultimate objective is to promote NAK. Data were collected about supporters’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through the NAK website and supporters’ official Naver Cafe entries from 2016 to 2020. Furthermore, the cases of the U.S.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s (NARA) Citizen Archivist Dashboard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s (NAA) Hive were also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on the necessary changes or additions to the online/off-line activities of operations by NAK were made as follows: 1) ensuring the differentiation of posts, 2) using appropriate tags and selecting various ones, 3) giving active feedback from managers and other supporters, 4) encouraging creative promotional materials, 5) operating educational programs, 6) giving incentives based on detailed and clear criteria, 7) promoting to raise awareness of supporters, and 8) promoting through the NAK website. By adopting the above suggestions made by this study, the promotional purpose of NAK’s supporters will be achieved.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은 용인 수지에 위치한 느티나무도서관의 아카이브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쓰여졌다. 느티나무도서관은 2000년 개관 이후 지역 커뮤니티의 거점 역할을 해오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민간 도서관운동의 맥을 이어오고 있으며, 도서관문화 발전을 위해 2003년 느티나무도서관재단을 설립하여 여러 기관들과 협력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교류와 활동으로 느티나무도서관은 많은 자료들을 생산, 수집하게 되었고. 지금까지 모여진 생산 기록과 수집 기록들이 활용될 수 있도록 2013년 아카이브를 구축하였다. 이 글을 통해 느티나무도서관의 아카이브 조성 과정과 관리 현황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Neutinamu Library in Suji, Yongin, has been serving as a hub for local communities since its opening in 2000. In 2003, Neutinamu Library Foundation was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library culture, continuing the wave of the library movement in the third sector and carrying out cooperative projects with various institutions. Through these exchanges and activities, numerous records and materials were produced and collected at the library. In 2012 and 2013, Neutinamu Library Archive was built so that the records that have been collected could be utilized. As such, this article will introduce and discuss the processes in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Neutinamu Library Archive.

116
홍명화(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2023, Vol.23, No.2, pp.69-94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3.2.0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한 지역 기록화 사업의 제도 및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 것이다.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 이슈를 배경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도시‧문화 관계 부서는 도시‧문화 정책의 일환으로 지역 기록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각 지자체는 경관 조례, 도시역사문화 아카이브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고,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조례 또는 정책에 근거하여 도시경관 기록화, 도시역사문화 아카이브, 도시재생사업 기록화가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는 총 55개 사례를 대상으로 조례 제정 유무, 예산, 기록의 수집, 관리, 활용 항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지자체에서 수행하는 지역 기록화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중요한 기반은 법령이었으며, 예산의 지속적인 확보를 위해 사업성과 평가, 지역민의 참여 활성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활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이나 사례가 아닌 지자체 도시·문화 관계 부서에서 도시‧문화 정책의 일환으로 수행한 지역 기록화 사업 전반을 조사‧분석하고, 지속가능성을 위한 보다 객관적이고 일반적인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ystem and operational status of regional documentation programs conducted by local governments and aims to propose considerations for the sustainability of regional documentation programs. With the government’s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the city or culture departments of local governments promoted regional documentation programs as part of their urban and cultural policies. Each local government enacted landscape ordinances and the ordinance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urban historical and cultural archives and promote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ased on this, local governments performed urban landscape documentation, urban historical and cultural archives, and urban regeneration project document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ordinance enactment, budget, acquisi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cords for a total of 55 cases. The study has found that legislation is an essential factor in the sustainability of local governments’ regional documentation programs. In addition, it suggested that regional documentation programs shoul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programs, ensur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reate digital archives to secure the budget continuously.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valuates the overall regional documentation cases of local government city or culture departments as part of the city or culture policy rather than a specific region or case and presents more objective and general considerations for sustainability

117
정회명(충남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학과 박사과정, 국토연구원 행정원) ; 김순희(충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3, Vol.23, No.2, pp.1-26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2.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미권 국립보존기록관 인스타그램의 기록정보콘텐츠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 기록물관리기관에서의 기록정보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 대상 인스타그램의 개설일, 콘텐츠 수, 팔로워 및 팔로잉 수 등 기본현황을 조사하였으며, 팔로워와 해시태그, 이용자 호응도가 높은 콘텐츠의 내용과 상호작용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스타그램을 활용한 기록정보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모바일 기반 SNS라는 인스타그램의 특성에 맞게 모바일 화면을 통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미지와 숏폼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고, 주 이용자층의 관심을 끌고 다른 이용자와 공유하며 관계를 형성할 만한 정보적 소통 목적의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또한 웹사이트, 유튜브, 블로그 등 기관이 보유한 기존 온라인 자원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해시태그의 활용, 유관기관 계정에 대한 팔로잉, 팔로워와 콘텐츠 댓글에 대한 피드백 등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여 기관 인스타그램 계정의 노출 및 검색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콘텐츠 사례를 연구하고 적용 사항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으며, 기록 문화 확산을 위한 기록정보콘텐츠의 기획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 of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in Korea by analyzing cases of the archival content on Instagram of the national archives in the Anglosphere.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research target’s Instagram account, including the creation date, content, and the number of followers, was investigated, and the posts’ contents and interaction types with high user respons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o spread the records information service using Instagram, producing images and short-form content that can be intuitively checked through mobile screens and creating content that will attract the attention of primary users are required.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 for informative communications that can be shared with other users. There is also a need to enhance the exposure and searchability of the institution’s Instagram account by strengthening connections with the institution’s existing online resources and enabling communications, such as using hashtags, following related institutional accounts, and providing feedback on the contents’ comments with follow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d cases of archival content for Instagram and suggested their applications,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help plan archival contents to spread the archival culture.

118
오세라(네모아이씨티(주)) ; 정미리(한국국가기록연구원) ; 임진희(명지대학교) 2016, Vol.16, No.4, pp.79-120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4.079
초록보기
초록

변화하는 컴퓨팅 환경에 따라 공문서 생산 환경이 G-클라우드 및 클라우드 온-나라 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있다. 더불어 공문서 포맷도 독자 포맷인 HWP을 대신하여 개방형 규격인 ODF가 정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공문서 장기보존 전략을 재검토 하고, ODF 생산 문서 보존에 적합한 문서보존포맷과 장기보존포맷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산 포맷이 ODF인 기록은 문서보존포맷으로의 변환 없이 기록관리 메타데이터를 추가한 확장 ODF 포맷을 제안하고자 하며 독자포맷의 보존에도 ODF를 검토하였다. 장기보존포맷, 즉 NEO 포맷 변환 현황을 알아보고 BagIt 규격 패키지를 ISO21320으로 제정된 ZIP을 적용하여 장기보존포맷을 설계하였다.

Abstract

Along with the changing computing environment, the production of public documents is moving to G-Cloud and On-nara System, which are re-engineered on G-Cloud. In this process, it is predicted that the Open Document Format (ODF) will replace the proprietary document format, HWP, and will become widely used in the near future. To preserve digital records produced in ODF,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ies and identified considerations for new formats. For ODF source files, it is suggested to eliminate the conversion to PDF/A-1 and preserve the documents in the extended ODF with added metadata of records management. Moreover, ODF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format for preserving proprietary formats. Finally, this study reviewed the current long-term preservation format, i.e., NEO, and suggests a zipped BagIt package, which has an ISO 21320 specification.

초록보기
초록

최근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가 급변하고 있다. 평창올림픽 개최 전까지만 해도 경색 국면이었던 남북관계가 해빙무드로 전환되어 사회 전반에 걸쳐 통일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으나 한편으로 북한의 전통적인 화전양면(和戰兩面) 전술을 경계해야 한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공존하고 있다. 최근 조사에서 드러난 대학생과 청소년층의 낮은 안보의식은 국민들의 확고한 안보의식과 국가관 확립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국가안보의 핵심기관인 육군이 소장한 각종 기록(Army Records)을 온라인 콘텐츠로 재창출하여 제공하는 것이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방국이자 기록관리 선진국으로 평가받는 미 육군 아카이브즈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군 기록의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International conditions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recently undergoing a sudden change. The South-North relations have been defined by severe tensions for many years; however, since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relations between the two nations began to thaw, and expectations of unification have been rising. Nevertheless, some still warn that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utilizing a “carrot and stick” tactic. With this, recent research revealed that there is a low sense of national security among college students and teenagers in Korea, which magnifi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strong sense of national security and having a national viewpoint. A way to achieve this is for the army, a core institution of national security, to release army records as online contents. This paper takes an in-depth look into the US Army’s online contents service, a leading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seeks to provide development plans for the Republic of Korea Army’s online contents service.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외 기록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을 대상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전사를 수행하는 사례를 분석함에 있어 이와 관련된 개념적 논의를 조사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운영현황 및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념적 논의에서는 시민 아키비스트, 참여형 아카이브, 크라우드소싱의 세 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시민 참여 전사 프로그램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사례분석을 위해 미국과 영국, 호주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사 프로그램 5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기관 및 목적, 전사 대상 기록, 참여 관리, 인프라, 정책 및 가이드라인, 평가의 6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전사 프로그램들은 역사기록의 접근 향상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기관의 조율에 의해 운영되므로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운영되는 공동체 아카이브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시민들의 지속적인 참여 유도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의 유사한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으로 전사 프로그램의 목적을 명확히 서술하고 전사 대상 기록 선정 시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주제, 기록생산자, 기록 유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여도가 높은 소수의 참여자들과 파트너십을 형성할 것과 참여자 요구에 부합하는 전사 인터페이스 및 과업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간결하고 효과적인 가이드라인 및 전사 결과물 활용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고 전사 결과물을 기록 검색 및 접근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참여자들의 기여를 가시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onceptual discussions in transcription programs based on citizens’ contribution and to discuss the oper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transcription program by investigating cases on transcribing records held in overseas archival institutions. With regard to conceptual discussions, the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transcription programs predicated on the notions of citizen archivists, participatory archives, and crowdsourcing. For case analysis, the study selected five transcrip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which are known to be managed successful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six criteria, including institution and goals, records for transcription, management of participation, infrastructure, policies and guidelines, and evaluation. The transcription programs were differentiated from community archives based on self-directed participation as the programs had a specific goal to improve access to historical records moderated by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trategies be built to attract the sustainabl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this respect,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domestic services similar to the cases. The purpose of a program needs to be described, and the topics, creators, and record types that could induce interests have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transcription records. It is also important that a partnership is made with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who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program and to provide interface and tasks for the transcription, which meet the participants’ need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simple and effective guidelines for transcription and policies be provided for use in transcription results, and that visible participants’ contribution is recognized by applying the transcription results actively to search and access record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