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 검색결과: 479
초록보기
초록

전통적으로 부산 일대에서 전통적인 정치․행정의 중심지는 정주공간인 동래이고, 부산은 동래부 동평현 부산포라는 어촌이었다. 개항 이후 일본과의 연이은 조약으로 일본인의 조선 내에서의 활동범위가 넓어지고 조선에서 일본인의 상업행위가 허용됨에 따라 일본인의 이주가 급증하였다. 일본은 조차나 임대, 매입 또는 매축을 통해 전관거류지와 서쪽 방면 일대, 북항 일대의 부지를 확보하고, 북항 일대에 공공시설과 상공업시설, 철도․항만시설을 구비하여 경부철도와 관부연락선이 바로 연결되도록 하였다. 이처럼 부산이 한일간 교통의 요충지가 되자 부산은 통상 중심의 상업이 발달하고, 부산항은 조선 최대의 무역항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조선이 일본에 병합된 이후 조선총독부는 토지조사사업을 통해 조선의 임야와 거대한 농지를 확보하고, 소작농이 도시 임금노동자로 전락하게 되었다. 회사령을 통해 조선 자본의 성장을 억제하고 일본 자본이 침투하여 일본인 기업이 대거 설립되었다. 1914년에 시가지는 부(府)로, 농촌은 군(郡)으로 지방행정조직이 개편됨에 따라 부산포 일대의 일본인이 개발한 지역은 부산부로, 그 외의 농촌지역은 동래군으로 바뀌었다. 새로 신설되는 공공시설과 상공업시설, 철도․항만시설은 부산부에 집중적으로 들어섬에 따라 변방이었던 이곳이 정치․행정의 중심지로 탈바꿈하였다. 부산이 교통과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함에 따라 경상남도의 도청이 진주에서 부산으로 이전하였다. 이로써 부산이 경상남도의 정치와 행정의 중심지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토지조사사업으로 대규모 노동력을 확보하고, 회사령 철폐로 일본이 대자본이 식민지로 진출하였다. 부산진 방면의 매립으로 조선방직 등 대규모 공업시설이 설립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부산의 도시 정체성, 즉 로컬리티도 어촌에서 통상 위주의 상업도시로, 나아가 상공업 도시로 변모하게 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growth of Busan from a fishing village to the capital city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the central city of transportation and commerce, and an industry with recor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fter the port opened in 1876, there has been a decline in settlement spaces in Dongnae;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migration spaces around the port of Busan. Waegwan(倭館) nearby Yongdusan Mountain(龍頭山) was changed to the Japanese concession; thus, the number of Japanese moving into Busan had rapidly increased. As a result, the Japanese government carried out reclamation work for securing available lands for the construction of port facilities and other facilities. The Japanese government built public offices and houses, as well as production facilities for daily necessities around the port of Busan. The opening of the Seoul Busan railway(京釜線) and the cross-channel liner between Busan and Shimonoseki(釜關連絡船) led to the growth of Busan and the development of its status. At this time, as the main industry of Busan was trade, Busan had grown as a commercial city. As Busan had grown as a central city of transportation and commerce,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of Gyeongsangnam-do(慶尙南道) moved to Busan. Thus, Busan became the central city of local politics and administration. After the Land Survey Project, a large scale of farmers were recruited for low-wage work in the new port. Because of the abolition of the corporation law, Japanese capitalists moved into their colony in Busan. There, large-scale factories, such as the Joseon cotton textile factory, were established. Through this process, the locality of Busan was changed from a fishing village to a commercial city and, finally, to a city of commerce and industry.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과는 차별화하여, 전자결재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기록관리 보조도구로 인공지능, 챗봇 등의 지능형서비스를 접목한 한국중부발전의 기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준비과정을 소개함을 목적으로 한다. 기록관리 전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것은 물론이고, 현용기록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실시간 이관 및 기능분류체계 활용에 대해 심도있게 검토하여 설계하였으며, 폭증하는 전자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하여 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도입하였다. 기록관리행위의 첫 단추이자 가장 중요한 시작인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기계학습을 통한 기록물분류를 추천하여 처리과에서의 무분별한 오분류를 사전에 차단했으며, 업무관련 규정 및 기록의 활용을 위하여 챗봇을 도입하는 등 기록관리 분야에서 신기술을 적극 도입하였다. 또한 시스템 간 이관에 따라 생기는 열람권한 문제를 전자결재시스템 및 기록관리시스템의 열람권한을 모두 확인하여 권한을 부여하는 등 기록물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case of operating electronic document system and record management system as one system called i-Works at Korea Midland Power Company. i-Works combines intelligent servic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chatbot, as a supplementary tool for record management. As such, the preparation process and progress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cord management system is introduced, an in-depth review of real-time transfer and utilization of the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the current records is presented, and new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for an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ncreasing number of electronic records, are established.

194
김민지((주)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 이언숙((주)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 최영남((주)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 최영신((주)바이오미스트테크놀로지) 2015, Vol.15, No.2, pp.165-1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2.165
초록보기
초록

역사적 학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고문서와 기록물들은 현재는 물론 후세에도 주요한 정보자원의 보고로서 대대로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값진 문화유산이다. 그런 이유로 각종 고문서 등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보존시설의 표준화와 서고 수장고의 보존환경에 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록물의 종이, 접착제, 전분, 섬유 등의 화합물들은 곰팡이나 세균, 해충 등의 영양원으로 생물학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생물학적 피해는 기록물 표면과 내부까지 번식하여 변․퇴색을 촉진하거나 갉아 먹어 복구마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중동의 오만과 말레이시아는 고온 다습한 기후로 인해 기록물이 생물학적 피해를 입기 쉬우며, 한번 피해를 입은 기록물들은 전이속도가 빠르고 광범위하여 소독작업은 일반화 된 실정이다. 하지만 그 동안 소독에 사용해온 MB(메틸브로마이드)와 ETO(에틸렌옥사이드)는 살충효과는 뛰어나나 살균효과는 미미하고, 오존층파괴문제와 1급 발암물질의 유독성문제 그리고 가죽이나 고무재질에 대한 재질약화 초래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친환경 소독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주)바이오미스트 테크놀로지는 1990년대 말부터 몬트리올협정에 따른 기존소독제의 사용금지 및 약제의 유독성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질소와 식물추출성분 등을 이용하는 친환경 기록물 소독장비 개발에 성공한 이후 지속적인 성능개선을 통하여 장비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장비는 대기압 이하로 소독 공간(챔버)을 유지하면서 자체 발생된 질소를 이용하여 챔버를 저 산소 환경으로 만든 후 천연 소독 약제를 챔버 내부에서 급속 기화시켜 소독하는 친환경 훈증소독 방식으로 기록물의 생물학적 피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하여 보존성 향상에 기여하고, 친환경 및 인체에 안전한 소독장비로서 향후 기록물의 생물학적 피해를 예방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rchives have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s. That is why the study of preservation conditions and the environmen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various records progress. However, materials such as paper and adhesives will inevitably cause biological damages. These damages spread into the inner side of archives, which would make it impossible to recover. For example, archival records from Malaysia and Oman are easily exposed to biological damage because of these countries' hot and humid climate. As such, once records are damaged, disinfection operations are customary in these areas. Methyl bromide (MeBr) and ethylene oxide (EtO) were used in the disinfection process as they showed good insecticidal effect. However their antibacterial effect are negligible. As such, the need for an environmental-friendly fumigator was evident. An environmental-friendly fumigator is designed to improve storage stability. Such equip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vention of damages to cultural heritages through its use of vaporization technology, maintenance of a disinfection space (chamber), and self-generation of nitrogen.

195
김효선(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박사과정) ; 김지현(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부교수) 2019, Vol.19, No.4, pp.139-173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4.139
초록보기
초록

현재 국내의 기업 기록관리는 기업 내부에서 자체적인 기록관리와 아카이브를 운영하는 곳은 있을지라도, 어떠한 외부의 조직도 기업기록에 대해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해외 기업 아카이브 전문가조직을 조직 형태와 기능적 역할을 분석하여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이를 위해 해외 기업 아카이브 전문가조직을 해당 홈페이지와 문헌 연구, 담당자 이메일 인터뷰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의 기업 아카이브 전문가 조직들은 분과 및 독립 조직의 형태로 설립되어 오랜 기간 동안 장기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기업 아카이브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 아카이브 발전을 위한 전문가조직의 조직구성과 지원활동, 교육활동, 출판활동의 기능적 역할을 제언하였다. 국내 기업 아카이브의 궁극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더 이상 개별 기업의 기업 기록에 대한 인식 전환과 전략 수립만이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 연구는 기업 아카이브 전문가조직의 설립에 대한 논의의 시작점으로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t present, no outside organization provides systematic support for business archives, even though there are companies that operate their own. To resolve this situa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overseas business archives professionals organization could apply in Korea by analyzing the form of organizations and functional roles. As such, the organization of professionals in overseas business archives was analyzed through their website, literature research, and email interviews of the staff. Based on the analysis, overseas organizations of business archives professionals were established in the form of sections and independent organizations to systematically support business archives through long-term projects. Thus, this study proposed an organizational structure of professionals organiz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business archives and the functional role of supporting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and publish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 ultimate development of business archives is clearly no longer the only solution to the change in perception and strategy of individual companies’ business records. Moreo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 on the establishment of business archives professionals or organizations.

196
오정희(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5, Vol.15, No.1, pp.89-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1.08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활용하여 역대 대통령기록물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대통령이 국정을 운영하는데 있어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장기적으로 대통령기록물 수집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국외 사례분석, 미국과 한국 대통령기록물 수집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국내 대통령기록물 수집과 관련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심층면담은 반구조화 질문지로 구성하였고, 대상기관은 기관별로 재단 및 기념 사업회, 중앙행정기관, 대학부설기관 등 15개 기관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인터뷰 참여자는 총 15개 기관 17명(100%) 중에서 12개 기관 14명(82%)이며 인터뷰 결과는 질적 연구방법론의 근거이론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러한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물을 수집하는 방안으로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활용하여 수집 전략을 설계하고, 운영하며, 홍보하는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of the presidential records using the documentation strategy and to establish a long-term plan for collecting presidential records that should be considered as references in country governanc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examined literature reviews, foreign case studies, and the presidential records collection of the United States and Korea,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in relation to the presidential records collectio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in-depth interviews and 15 target organizations, such as a foundation and memorial affairs agency,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nd university-affiliated organizations, were selected. A total of 14 records collectors of 12 organizations (82%) of all 17 records collectors of 17 organizations (100%) participated in these interviews, and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the accumulated results, this study proposes an effective model in designing collection strategy and operating and collecting presidential records through the use of documentation strategies.

197
김지훈(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김익한(명지대학교) 2023, Vol.23, No.1, pp.1-26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1.00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기관과 단체, 개인 등이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민간기록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관련 법령·제도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해외 기록물관리기관의 민간기록물 관련 법령과 제도, 층위에 따른 네트워크 협력 현황과 지원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민간기록물과 관련된 정의와 기관 간의 역할 지정, 층위에 따른 네트워크 협력 방향을 제언하였다. 특히 특정 기관 중심의 협의체가 아닌 기관, 단체, 기업, 개인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법제화·제도화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mproving related laws and systems to allow various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to collect private records based on the network. For the study, the current status of network cooperation and support according to laws, systems, and layers related to private records of overseas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were inspected. Based on this, the definition of private records, role designation between institutions, and direction of network cooperation according to the level were suggested. In particular, legisl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of consultative bodies involving various subjects, such as institutions, organizations, companies, and individuals, were emphasized.

198
이은진(전북대학교) ; 이유진(전북대학교) ; 윤은하(전북대학교) 2015, Vol.15, No.2, pp.137-164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2.137
초록보기
초록

교회기록관은 교회의 역사와 전통을 보존하고 성도들의 영적유산을 계승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으로, 교회의 활동을 통해 생산된 기록물과 교회의 신앙적 인물들의 기록물들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개별 교회만의 다큐멘테이션을 형성하여 일관적인 수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교회 기록관의 수집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수집정책은 기록물 선별을 위한 토대이자 기록관의 기록물을 구성하는 체계적인 지침이다. 수집정책을 통해 교회 기록관은 수집의 범위와 우선적으로 수집할 기록물의 유형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 기록관을 대표하여 영락교회 역사자료실의 수집정책 개발을 위해 교회의 특징 및 기록관의 수집정책에 관한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담당자 면담을 시행하였다.

Abstract

A church's archives aims to preserve the history of the church and inherit the spiritual legacy of Christianity. It also plays critical roles in strengthening the identities of the church members. As such, this study focuses the role of a church archive and, in particular, its acquisition policies. An acquisition policy is the foundation of archival records management, which is achieved by balancing the scope of the collection and collecting various record types. For this, the authors analyzed the acquisition process of Young-nak Church's archives and also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archivists.

199
이승일(국회기록보존소 기록연구사) 2008, Vol.8, No.2, pp.5-38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2.005
초록보기
초록

1999년 기록물관리법의 제정 이전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체제는 행정체계의 변화와 사무자동화라는 기록물 생산방식의 변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수립․개편되었다. 1984년과 1992년에 개편된 국가기록관리체제는 1980년 초반의 한국의 국가적 위기 상황을 행정효율화를 통하여 극복하고 사무자동화 기기의 보급을 추진하려는 한국정부의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정부공문서규정」과 「공문서보관보존규정」이 「정부공문서규정」으로 통합되었고 「정부공문서분류표」와 「문서의보존기간종별책정기준표」도 일원화하는 쪽으로 개편되었다.

Abstract

Under the changes of administrative systems and office automation, ‘the national record management system’ had been reformed until ‘Record Management Act’ was enacted in 1999. Between 1984 and 1992, the national record management system was reformed in process of overcoming national crises and carrying out office automation. As a result, the system was absorbed into ‘Governmental Document Regulations’, ‘Official Document Management Regulations’ and ‘Governmental Document Regulations.’ In addition, ‘government document classification scheme’ and ‘Record schedule’ were unified into ‘Official Document Classification and Record schedule.’

200
이해영(명지대학교) ; 최영실(명지대학교) ; 이현정(동명대학교) ; 이미영(명지대학교) ; 이은영(명지대학교) ; 이혁준(명지대학교) ; 박미자(명지대학교) 2008, Vol.8, No.1, pp.189-210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189
초록보기
초록

이 논문에서는 대학기록관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통제하여 검색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소러스 구축을 위한 지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도출된 다양한 상황과 그에 대응하는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개발 과정에서 고려된 중요한 이슈 및 적용 방안은 다음과 같다. 대학 기록관 기록물 정리과정에서 도출된 용어들은 고유명사가 많아 시소러스는 전거파일 기능을 동시에 하도록 개발되어야 했다. 대학의 공식문서에 자주 나타나는 용어를 우선어로 제시하였다. 또한 포함될 인명의 범위는 주요 보직자 및 주제가 된 개인들로 하되, 작성자 및 기증자들의 필드 통합 검색이 가능하면 지나친 범주의 포함은 불필요했다.

Abstract

Some issues and solutions considered for the various situations that we fac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guidelines of thesaurus construction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re were many proper names and proper nouns among the terms considered in the process. The thesaurus needed to include a function of an authority file. Preferred terms were selected based on what the university's official records would use. The scope of the proper names for inclusion was the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in the university and the people who were the subject of the materials. However, when the system allows synthesized retrieval of the field of creator and donor, inclusion of too many names were considered unnecessary.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