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학술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 고문서와 기록물들은 현재는 물론 후세에도 주요한 정보자원의 보고로서 대대로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할 값진 문화유산이다. 그런 이유로 각종 고문서 등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보존시설의 표준화와 서고 수장고의 보존환경에 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록물의 종이, 접착제, 전분, 섬유 등의 화합물들은 곰팡이나 세균, 해충 등의 영양원으로 생물학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생물학적 피해는 기록물 표면과 내부까지 번식하여 변․퇴색을 촉진하거나 갉아 먹어 복구마저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중동의 오만과 말레이시아는 고온 다습한 기후로 인해 기록물이 생물학적 피해를 입기 쉬우며, 한번 피해를 입은 기록물들은 전이속도가 빠르고 광범위하여 소독작업은 일반화 된 실정이다. 하지만 그 동안 소독에 사용해온 MB(메틸브로마이드)와 ETO(에틸렌옥사이드)는 살충효과는 뛰어나나 살균효과는 미미하고, 오존층파괴문제와 1급 발암물질의 유독성문제 그리고 가죽이나 고무재질에 대한 재질약화 초래 등의 복합적인 문제로 친환경 소독방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주)바이오미스트 테크놀로지는 1990년대 말부터 몬트리올협정에 따른 기존소독제의 사용금지 및 약제의 유독성으로 인한 작업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질소와 식물추출성분 등을 이용하는 친환경 기록물 소독장비 개발에 성공한 이후 지속적인 성능개선을 통하여 장비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장비는 대기압 이하로 소독 공간(챔버)을 유지하면서 자체 발생된 질소를 이용하여 챔버를 저 산소 환경으로 만든 후 천연 소독 약제를 챔버 내부에서 급속 기화시켜 소독하는 친환경 훈증소독 방식으로 기록물의 생물학적 피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하여 보존성 향상에 기여하고, 친환경 및 인체에 안전한 소독장비로서 향후 기록물의 생물학적 피해를 예방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rchives have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s. That is why the study of preservation conditions and the environment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various records progress. However, materials such as paper and adhesives will inevitably cause biological damages. These damages spread into the inner side of archives, which would make it impossible to recover. For example, archival records from Malaysia and Oman are easily exposed to biological damage because of these countries' hot and humid climate. As such, once records are damaged, disinfection operations are customary in these areas. Methyl bromide (MeBr) and ethylene oxide (EtO) were used in the disinfection process as they showed good insecticidal effect. However their antibacterial effect are negligible. As such, the need for an environmental-friendly fumigator was evident. An environmental-friendly fumigator is designed to improve storage stability. Such equipmen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evention of damages to cultural heritages through its use of vaporization technology, maintenance of a disinfection space (chamber), and self-generation of nitrogen.
김기현. (2007). 기록물의 생물학적 열화방지를 위한 친환경 소형소독장비(BM-30AC BM-60AC)의개발 및 연구. 11, 27-35.
김기현. (2008). 기록물 및 서고환경에 생물학적 예방을 위한 천연소독약제 개발 (271-275). 한국펄프종이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김민지. (2010). 감압소독에 따른 천연약제의 항균 효과와 지류의 열화 평가.
민경희. (1996). 박물관내 전시 및 수장유물의 보존환경 (대기요인을 고려한 생물학적 환경)기준연구. 문화체육부.
이헌준. (2014). 곰팡이 도감:학술정보센터.
조미희. (2005). 천연항균제의 식품산업에의 응용. 식품과학과 산업, 38(2), 36-45.
조이형. (2001). 기록물에서 분리된 미생물에 대한 훈증소독의 효능검증과 독성조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 231-244.
조이형. (2001). 기록물의 생물학적 열화방지 방법 개선연구. 기록보존, 14, 139-159.
황석연. (2001). 서고에서 분리한 곰팡이의 특성.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33(2), 44-50.
Cristiane de Bona da Silva. (2008). Antifungal Activity of the Lemongrass Oil and Citral Against Candida spp. The Brazil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12(1), 63-66.
Hammer, K.A.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s and other plant extracts.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86(6), 985-990.
신유현. (2012). 천연 에센셜 오일의 주요 구성물질 분석과 항산화 및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생명과학회지, 22(10), 1344-1351. http://dx.doi.org/10.5352/JLS.2012.22.10.1344.
M. Somolinos. (2010).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by citral.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108(6), 1928-1939. http://dx.doi.org/10.1111/j.1365-2672.2009.0459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