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 검색결과: 479
321
김가은(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학전공) ; 이종욱(경북대학교) 2022, Vol.22, No.1, pp.159-176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15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를 비롯한 각종 감염병 재난에 대한 대학의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대학기록관의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시기 대학’을 주제로 헤크만의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적용하여 ‘도큐멘테이션 영역 정의 및 예비분석’과 ‘전략 설계’를 수행하였다. 먼저, 예비분석 단계에서는 해외 대학의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사례조사와 이해관계자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전략 설계 단계에서는 기록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큐멘테이션 전략안을 작성하였으며, 기록관리 전문요원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한 후, 전략안을 확정하였다. 전략안에는 도큐멘테이션 목적과 영역, 그룹을 비롯한 참고정보, 주요 고려사항 등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기록관의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개발한 것으로 추후 감염병 재난에 대비한 기록 확보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OVID-19 documentation strategy for university archives, which will act as a response system to infectious diseases. The study applied the phases of “documentation area definition and preliminary analysis” and “documentation strategy drafting” described in Heckman’s documentation strategy model. In defining the documentation area and doing preliminary analysis, the author analyzed the cases of COVID-19 documentation projects at overseas university archives and conducte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In drafting the documentation strategy, the author interviewed three archivists working in university archives. From these findings, the documentation strategy plan was developed and revised based on the feedback from archivists. The strategy plan covers the documentation purpose, subject/functional area, group, reference information, and major consider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figuring out ways to secure records related to COVID-19 or other infectious diseases in university archives.

322
박치흥(부산대학교) ; 안나(부산대학교) ; 허희진(부산대학교) 2008, Vol.8, No.1, pp.257-274 https://doi.org/10.14404/JKSARM.2008.8.1.25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진작가 최민식의 다큐멘터리 사진기록물에 대한 정리와 기술에 필요한 요소들을 연구 조사하였다. 기록학의 정리와 기술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내용을 파악하였으며, 파악된 내용을 중심으로 주요 요소들에 관한 내용을 분석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행정기록물에서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분류 체계는 적용되기는 어렵지만 한사람의 사진작가가 지속적으로 촬영한 기록물의 정리와 기술에 대한 사례로 제시할 수 있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documentary photographic records about photo- grapher, Choi Min-Sik have been reviewed. Throughout the literature review,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photographic records a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universal classification plan of administrative records is difficult to apply to photographic records. This study suggests the case of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photographic records a photographer produces continually.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2013년 12월 『저작권법』에 도입된 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 규정의 의미와 세부사항을 기록정보서비스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첫째, 공공저작물 자유이용규정이 적용되는 기관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기록관리법 적용기관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생산한 업무상저작물 대다수가 미공표기록임에도 불구하고 자유이용 공공저작물이 되기 위해 공표를 요건으로 하는 것은 대상 저작물의 범위를 지나치게 제한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급 학교의 업무상저작물을 자유이용 범위에 포함시키고, 공표 요건을 공개요건으로 변경하는 법개정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향후 기록관리기준표나 현용 및 준현용기록의 메타데이터 표준에 저작권 관리 항목을 추가하여 기록물 등록과 동시에 저작권 정보를 관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s and other details of the provisions in line with the free use of public works introduced through the Copyright Act of Korea in Dec. 2013 in the aspect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indicated the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not all institutions shall follow the provisions because it does not cover all institutions under the Law of Records Management in Korea. Second, even though most of works made for hire in state institutions, local governments, and public institutions are not yet made public, to enable a work to be made public is a requisite for public works to be used for free. This is to limit the scope of public works.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suggested the revision directions of the Copyright Act of Korea that every school, which creates works made for hire, are covered in the institutions that enable the free use of works and change the requisite to make a work public for the disclosure the information.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element for copyright information shall be created in the records schedule for public institutions and metadata standard for records management. The copyright information shall also be described when the records are registered.

324
최윤경(이화여자대학교)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4, Vol.14, No.1, pp.7-24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1.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근대 여성 구술기록물의 효율적인 주제 접근을 위한 시소러스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국내외 시소러스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고, 구술기록물에 입력된 색인어를 중심으로 시소러스를 구축하였다. 구축 과정은 총 5단계로 1단계는 한국 근대를 산 53명의 여성 구술자의 구술기록물에 입력된 한글 색인어 총 1,784개 추출하여 용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수차례에 걸쳐 해당 분야 전문가 회의를 거쳐 시소러스 대상 용어를 선정하였고, 3단계에서는 용어에 대한 등위·계층·연관 관계를 설정하였다. 4단계에서는 웹기반 시소러스 관리시스템을 개발한 후, 용어 및 관계 정보를 입력하였고, 5단계에서는 입력된 용어의 정보와 관계를 전문가 집단이 재검토하였다. 구축된 시소러스는 일반 주제어를 비롯한 지명, 장소명, 인명, 단체명 등 고유명사가 포함된 39개 대주제 영역의 1,076개의 용어로 구성되었으며 추후 추가적인 구술기록물을 바탕으로 확장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saurus for women’s oral history in modern Kore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for four thesauri were performed for this study with which a thesaurus was built based upon the index terms in oral history records.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hesaurus consisted of five steps. First, there are 1,784 index terms from the oral history records by 53 modern Korean women were extracted and analyzed. Second, possible terms for the thesaurus were selected through regular meetings with experts in the fields of information organization and women’s oral history. Third, relationships between terms were defined by focusing on equivalence, hierarchy, and association. Fourth, after developing a Web-based thesaurus management system, terms and relationships were input to the system. Fifth, terms and relationships were again reviewed by experts from the relevant fields. As a result, the thesaurus comprise of 1,076 terms and those terms were classified to 39 broad subject areas, including proper nouns, such as geographic names, places, person’s names, corporate names, and others, and it will be expanded with more oral history records from other people during the same period.

325
김태영(전북대학교) ; 강주연(전북대학교) ; 김건(전북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8, Vol.18, No.4, pp.149-182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149
초록보기
초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제도적․행정적 측면을 강조하던 전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기록관리 영역에 신기술이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능화 선진 기술을 적용한 국내외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여 그 차이를 규명한 다음,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적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조사 대상에 기록관 이외에 도서관, 박물관을 포함한 이유는 해당 기관들이 정보서비스 제공 기관으로서 하나의 범주로 포괄되기 때문이며, 이들 기관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및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내외 사례 비교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록관에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적용을 위한 선결 조건, 적용 시 문제점, 적용방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변화된 전자기록환경에 적합한 지능형 기록정보서비스 모델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new technologies have begun to be applied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away from the traditional view that emphasized the existing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aspect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 status of archives, libraries, and museums applied with advanced intelligent technology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Then, we proposed how to apply intelligen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ason for including libraries and museums in the research is that they are covered by a single category as an information service provider. To achieve our study aims, we conducted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e proposed the application strategies of intelligent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velop intelligent archival service models that are suitable for the changed electronic records environment.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이 생산되어 보존기록관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평가라는 중요한 기록관리업무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수행되는 지를 탐구한다. 이러한 통시적인 관점에서 미국 뉴욕주기록관의 기록관리 및 평가시스템을 하나의 사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의 기록 환경은 아키비스트와 레코드매니저의 역할과 전문성을 구분하는 점에서 한국의 사례와는 다르다. 이런 환경에서도 뉴욕주기록관은 생산기관의 기록관리 과정의 평가업무를 적극 지원한다. 본 연구는 미국 뉴욕주의 사례를 통하여 아키비스트의 기록물 평가가 보존기록물의 이관과 수집 시점에 시작한다는 소극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기록물 생애주기의 시작점에서부터 아키비스트가 가지는 책임과 역할이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Abstract

Appraisal occurs multiple times in the process of records and archival management. This includes the consideration of the value of records during creation, developing records retention schedule for records creating organizations, and archival appraisal for archival repositories to build their collections.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function of appraisal from a holistic perspective from records creation to archival preservation. In doing so, it investigates the case of New York State Archives and understands some of notable approaches how archivists cooperate with records creators and records managers to preserve New York’s historical records. Learning from the case of New York State Archives, this study intends to emphasiz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at archivists can play in appraisal in various step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