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 검색결과: 479
341
박민열(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김기영(연세대학교) 2020, Vol.20, No.2, pp.85-106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2.085
초록보기
초록

공공기록물법 제정 20년이 넘었으나, 기록 외의 업무 등으로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기록물관리에 몰입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기록관리 非 전문인력이 주류인 조직, 특히 개별 행위보다 부서장 중심 행위에 대한 몰입을 강조하는 육군에선, 기록물관리에 대한 몰입 및 전문성 발휘가 더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육군 기록관리 전문인력의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전문직성이 전문직과 조직에 대한 이중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육군의 공식 승인을 받아 야전에서 기록물관리 임무 수행 중인 135명 중 104명(77.0%)으로부터 응답을 회수하여,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평행모델을 접근법으로 채택하였다. 분석결과, 1)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은 상호 보완적 관계로 이중몰입이 가능하며, 2) 자율성의 전문직성 강화가 오히려 조직몰입 향상에 기여한다. 3) 전문직성 중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전문직몰입은 높아지지만 조직몰입은 낮아졌으며, 가치관에 의한 갈등은 전문직몰입과 조직몰입 모두를 떨어뜨리는 이중몰입의 공통결정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非 전문인력이 주류인 조직에서의 기록관리 전문인력이 갖는 전문직성의 의미를 고찰하고, 몰입 향상 방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d the effec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 dual commitments to the organization and the profession. After establishing concept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tudy designed a questionnaire survey in which 104 out of 135 (77.0%) record management field officials responded. This study provides a firm basis for urging the army to change its perception toward record management professionals’ specialty and their commitment to the profession. Furthermore, this change will ultimately lead to a higher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342
정소안(국민대학교) 2022, Vol.22, No.4, pp.197-203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4.197
초록보기
초록

이 글은 근현대기록물을 수집하고 있는 기관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기록물의 유형을 살펴보고 기록관의 역할과 범위, 그리고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쓰였다. 수집된 기록물을 대상으로 근현대기록물의 범위를 지정하고 기록관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기록물의 수집과 보존에 대한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전문적인 역량을 키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This article was written to examine the types of records gathered for institutions collecting modern and contemporary records, examine the role and scope of the archives, and determine the next steps. By specifying the scope of modern and contemporary records for collection and examining their role as a record repository, I would like to consider approaches to balancing the collection and preserving records and suggest methods for developing professional capabilities.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개항장에 한시적으로 설치되었던 감리서의 설치과정 및 관련 기록을 부산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감리서가 요구되는 시대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항이 개방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감리서 기록이 생산되는 맥락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감리서의 직제와 설치와 폐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감리서가 업무를 수행하면서 생산하거나 접수한 기록을 감리의 기능에 따라 교섭기록, 재판기록, 경무기록, 통상기록, 목민기록, 일록의 여섯 유형으로 나누어 각 기록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부산항의 개방과 관련한 조약과 감리서의 설치와 폐지에 관한 칙령들은 『고종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 연대기 자료와 『한말근대법령자료집』에 게재되어 있다. 감리서에서 생산하거나 접수한 원본 문서는 대부분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데, 목록이나 해제만 제공되고 있으며, 일부는 『각사등록』과 『구한국외교관계부속문서』에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감리서 관련 기록들 가운데 『고종실록』만 국역되어 있으므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역과 원문 서비스 제공이 시급하다.

Abstract

The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Japan began signing procedures from February 1876. Thus, Busan port became an open port to foreign vessels. This has resulted in Busan port becoming the greatest port in Korea. Because of this, the Superintendent Office (Gamriseo, 監理署) was established at 1883 but was later abolished in 1906. In this thesis, the author explored the opening procedure of Busan Port as an open port,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s in the Superintendent Office, and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types, and contents of records of Gamriseo that were created or received. Record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were classified into diplomatic records, judge records, police records, customs records, administrative records, and the daily records of the institution. Most of the original document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were preserv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while some wer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Asiatic Research Institute of Korea University.

344
박하람(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문헌정보학전공) ; 김학래(중앙대학교) 2021, Vol.21, No.3, pp.61-78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061
초록보기
초록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기록은 민간 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일부 기록은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되어 온라인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록은 기관에 따라 메타데이터의 구성과 표현 방식이 다르다. 한편, 기록 사이의 관계를 정의할 수 있는 체계가 미흡하기 때문에, 현재 구축된 일본군 ‘위안부’ 기록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파편적인 형식으로 남아있다. 본 연구는 일본군 ‘위안부’ 디지털 기록을 연계하기 위한 지식 모델을 제안하고, 분산화된 디지털 아카이브의 기록을 통합하여 일본군 ‘위안부’ 지식그래프를 구축한다. 일본군 ‘위안부’ 디지털 아카이브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공통 요소를 도출하고, 표준 어휘를 적용하여 디지털 기록의 다양한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를 의미적으로 표현한다. 특히, 흩어져 있는 기록을 연계하고 검색하기 위해 수집한 데이터의 정제가 이루어지고, 외부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록의 맥락 정보를 강화하고 있다. 구축된 지식그래프의 검증은 분산된 기록의 탐색 여부를 측정하는 질의를 통해 수행된다. 검증 결과, 지식그래프는 흩어져 있는 기록을 연계하여 검색할 수 있고, 외부데이터로부터의 강화로 기록의 맥락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하며, 의미 기반의 검색을 통해 사용자의 의도에 맞춘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다.

Abstract

Records on Japanese “Comfort Women” have been individually managed by private sectors or institutions, and some are provided as digital archives on the Internet. However, records of digital archives differ in the composition and representation of metadata by individual institutions. Meanwhile, there is a lack of a consistent structure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and among these records, leading to their fragmentation and disconnectedness. This paper proposes a knowledge model for interlinking the digital archival resources and builds a knowledge graph by integrating the records from distributed digital archives. It derives common elements by analyzing metadata from the diverse digital archives and expresses them in standard vocabularies to semantically describe multiple entities and relationships of the digital archival resources. In particular, the study includes the refinement of collected data to search and thread dispersed records and the enrichment of external data to provide significant contextual information of records. An evaluation of the knowledge graph is performed via a query measuring the (dis)connectivity between the distributed records. As a result, the knowledge graph is capable of interlinking and retrieving fragmented records, providing substantial contextual information on the records with external data enrichment, and searching accurately to match the user’s intentions through semantic-based queri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관리학 전문학술지인 『Archivaria 』학회지에 발간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북미를 중심으로 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5년간 『Archivaria 』학술지에 실린 75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정량분석을 통해 연구자별 분포, 주제영역별 키워드 분포를 조사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서는 연구논문의 핵심 키워드들을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록관리학의 주요 주제영역에 대한 국외 기록관리학 연구의 내용과 특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기록관리학 연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articles published in Archivaria to identify various trends and to explore the future research agenda in the area of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 75 articles published in Archivaria during the recent five years. In quantitative measurement, the study presents the current status of subject areas by year and author. In content analysis, the articles are categorized into the subject areas related to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research topics, as well as the foci and research methodologies used.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American and Korean research trends in the area of records and archive management.

초록보기
초록

공연예술은 상이한 역할을 담당하는 사람들의 집합적인 참여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종합예술로, 다차원적인 맥락을 가지고 있다. 공연예술기록의 정리와 기술 과정에서 반드시 표현이 되어야 하는 맥락을 작품과 공연기획의 관계, 공연기획과 개별공연의 관계, 공연과 생산자의 관계, 기록과 기록의 관계, 공연과 기록의 관계로 상세하게 분석하고, 이러한 맥락을 논리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각 요소별 관계 구성에 의한 계층형 구조를 제안하였고, 기록의 내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기록정리의 계열화 모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Performing arts are composite art forms made through the collective participation of people who are responsible for a variety of roles with a multidimensional context.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f the context to be expressed in the process of the arrangement and description of records of performing arts, with a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work and performance plan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planning and individual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erformance, relationship between records and recor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records. With this, this study proposes a logical hierarchical structure that is required to express the context of the inner relationship of performing arts archives. It also suggests a model of sequential organization to describe the inner logic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rds and records.

초록보기
초록

종이기록과 달리 특정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서만 접근 가능한 전자기록은 그들의 생산에 이용된 저장매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포맷의 수명보다 훨씬 더 길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 퇴화되거나 노후화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비가 철저하게 이루어져야만 디지털정보의 장기보존과 접근, 미래 특정시점에서의 재현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록의 장기보존과 장기 접근성 유지에 근간이 되는 기술정보요소를 지속적으로 수집관리하여 마이그레이션이나 에뮬레이션과 같은 보존 전략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포맷등록시스템 개발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Unlike paper records, accessing electronic records needs to be supported by specific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e electronic records have longer life span than the storage media, hardware, software and the formats that were used for the production of such records. Because the quality of electronic record can become deteriorated as time goes on, we need to have appropriate mechanisms to secure the long-term preservation and access to the digital information at a certain point in the future. Based on this reality, this study proposes the functions and the development method of the format registry, which efficiently supports the preservation strategy such as migration and emulation, collecting and managing technical information elements. These elements consist of the foundation of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the electronic records.

348
최성연(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이혜은(숙명여자대학교) 2021, Vol.21, No.2, pp.93-113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2.093
초록보기
초록

시민의 자발적 동기로 조직된 NGO가 생산하는 기록은 시민 사회의 기억이며, 단순한 행정의 산물을 넘어 조직의 존립을 위한 증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NGO의 체계적 기록관리를 위한 토대가 되고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참고자료로 기능하여 시민 사회 활동을 보존하고 기록 이용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UN 경제사회이사회의 협의적 지위를 부여받은 국내외 5,725개의 NGO를 대상으로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 현황을 조사하고 이 중 10개의 NGO를 선정하여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심층 분석하였다. 조사의 결과 실물 및 디지털 아카이브를 제공하는 NGO는 모두 75개로 NGO 온라인 기록정보서비스는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층 분석 결과 국내 NGO는 실물 기록의 접근, 기록물 이용 지침을 보완하고 1:1 문의, Q&A, 연구 및 교육 지원 등의 서비스를 운영하여 적극적인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외 NGO는 온라인 전문 열람 서비스를 확대하고 기록물을 활용한 확장 서비스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체 기록정보서비스가 어려운 NGO는 기록의 이관 및 활동 분야별 통합 기록정보서비스 운영의 고려도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Beyond being mere administrative products for their functional running, records produced by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and arranged voluntarily by citizens are memories of civil society. Online information services are expanding in the archives sector, but it is not easy to provide services with a limited budget from activist NGOs. Besides, there has never been a case study of information services for NGOs, resulting in a lack of basic data.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the status of online information services of 5,725 NGOs that have a UN Economic and Social Council (ECOSOC) consultative status. Furthermore, it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10 selected NGOs to contribute to preserving civil society activities and promoting the use of their reco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5 out of 5,725 NGOs had physical and digital archives. Second, domestic NGOs must supplement their policy of accessing and using physical records and operate 1:1 inquiries and Q&A services to provide active record information services. Overseas NGOs must consider expanding online full-text and outreach services using records. Third and last, NGOs that have difficulty providing records information services should consider the services from an integrated standpoint according to the field of activities and transfer.

349
김희용(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손계영(대구가톨릭대학교) 2018, Vol.18, No.3, pp.193-219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193
초록보기
초록

우리나라는 1999년에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기록의 생산과 등록을 의무화 하였다. 이후 2006년 법령의 개정을 통하여 「공공기관의 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이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로 전부 개정되어 기능 및 역할에 대한 내용 또한 많은 것이 바뀌었다. 이 법에 따르면 지방기록물관리기관 의무 설치대상 기관은 17개의 광역자치단체이지만 2018년 현재 서울특별시와 경상남도를 제외하고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을 추진하고 있는 곳은 없다. 이에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이관 의무기관 14곳의 보존기간 30년 이상 기록물과 기록관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대구광역시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설립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bstract

In the 1990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the Act on the Management of Records in Public Institutions to produce and register records. Since then, through the revision of the act in 2006, it was wholly amended into the “Public Records Management Act,” which presented significant changes with regard to the functions and roles from the former act. According to the new act, there are 17 metropolitan governments subject to the legal obligation of a local archive installation, but most of them are not planning for the establishment of local archives except Seoul and Gyeongsangnam-do in 2018. Therefore, this study surveyed 12 among the 14 record centers, which are the institutes that Daegu local archive will have managed,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management was analyzed, and records more than 30 years in the institutes were investigated.

초록보기
초록

기록관리에 대한 미술계의 관심과 염원을 반영하여 국립현대미술관은 지난 2013년 10월부터 미술관아카이브를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미술관아카이브는 기록학적 논의와는 구별되는 흐름을 지니고 있지만, 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의 실체를 지닌 것이기 때문에 그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기록학적인 관점에서의 접근과 진단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국립현대미술관 아카이브 가운데 기관아카이브를 중심으로 기록물 수집과 정리 방법을 기록학적 관점에서 진단하고 개선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먼저 미술관의 기능과 미술관아카이브의 역할과 미술관아카이브의 기록물 수집 범위와 정리 방법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기관아카이브의 기록물 수집의 범위와 정리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began operating the museum archives in October 2013. Although the museum archives have an independent flow that is distinct from discussions of the archival sciences, it is a reality as a record management organization, and therefore, access to and analysis from the viewpoint of archival science i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method of collecting and organizing records from the viewpoint of archival sciences from the Institutional Archives of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To this end, we theoretically examined the function of the museum, the role of the museum archives, and the scope and method of collection and arrangement of the museum archives. Based on these discussions, we analyzed the scope of the collection and the system of arrangement of the institutional archives. Then, we suggested some improvement plans.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