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개항장에 한시적으로 설치되었던 감리서의 설치과정 및 관련 기록을 부산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감리서가 요구되는 시대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항이 개방되어 가는 과정을 살펴보고, 감리서 기록이 생산되는 맥락정보를 파악하기 위해서 감리서의 직제와 설치와 폐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감리서가 업무를 수행하면서 생산하거나 접수한 기록을 감리의 기능에 따라 교섭기록, 재판기록, 경무기록, 통상기록, 목민기록, 일록의 여섯 유형으로 나누어 각 기록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부산항의 개방과 관련한 조약과 감리서의 설치와 폐지에 관한 칙령들은 『고종실록』이나 『승정원일기』 등 연대기 자료와 『한말근대법령자료집』에 게재되어 있다. 감리서에서 생산하거나 접수한 원본 문서는 대부분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는데, 목록이나 해제만 제공되고 있으며, 일부는 『각사등록』과 『구한국외교관계부속문서』에 게재되어 있다. 이러한 감리서 관련 기록들 가운데 『고종실록』만 국역되어 있으므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역과 원문 서비스 제공이 시급하다.
The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Japan began signing procedures from February 1876. Thus, Busan port became an open port to foreign vessels. This has resulted in Busan port becoming the greatest port in Korea. Because of this, the Superintendent Office (Gamriseo, 監理署) was established at 1883 but was later abolished in 1906. In this thesis, the author explored the opening procedure of Busan Port as an open port, the structure of the positions in the Superintendent Office, and the establishment and abolition, types, and contents of records of Gamriseo that were created or received. Record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were classified into diplomatic records, judge records, police records, customs records, administrative records, and the daily records of the institution. Most of the original documents of the Superintendent Office were preserv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while some were publish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Asiatic Research Institute of Korea University.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1972). 舊韓國外交關係附屬文書 海關案:고려대학교 출판부.
국사편찬위원회. (1985). 各司謄錄 17: 慶尙道篇 7: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2006). 화폐와 경제 활동의 이중주:두산동아.
金敬泰. (1972). 開港直後의 關稅權 回復問題: 釜山海關 收稅事件을 중심으로. 韓國史硏究, 8, 693-723.
김기혁. (2008). 釜山古地圖:부산광역시.
金義煥. (1969). 釜山의 古蹟과 遺物:安龍福將軍記念事業會.
김태영. (1988). 韓國開港場의 外人館硏究(II): 釜山 및 馬山港. 大韓建築學會論文集, 4(3), 67-77.
김호범. (1991). 朝鮮後期 貨幣制度의 改革과 植民地 貨幣金融體制의 確立. 釜山商大論集, 62, 103-136.
민건호. (2008). 海隱日錄 I:부산근대역사관.
민회수. (2012). 조선 開港場 監理署의 성립 과정(1883~1886). 동북아역사논총, (36), 139-186.
孫禎睦. (2001). 韓國 開港期 都市變化過程硏究:일지사.
宋炳基. (1970). 韓末近代法令資料集 I:國會圖書館.
송정숙. (2011).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1(1), 273-298.
강영문. (2006). 싱가포르의 국제비즈니스센터 개발전략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31(3), 199-222.
이정수. (2006). 조선시대 노비와 토지 소유방식:경북대학교 출판부.
李鉉淙. (1975). 韓國開港場硏究:일조각.
황은수. (2010). 개항기 한중일 정기 해운망과 조선상인의 활동. 역사와 현실, (75), 201-245.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ttp://e-kyujanggak.snu.ac.kr/.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http://www.koreanhistory.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