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 검색결과: 479
361
김도윤(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이해영(명지대학교) 2021, Vol.21, No.3, pp.139-162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139
초록보기
초록

방대한 정보 획득의 공간속에서 보다 명확한 정보를 찾기 위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기록관리기관에서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제고는 매우 중요하다 볼 수 있다. 2019년 대통령기록관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서 유일하게 학술연구지원서비스를 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통령기록관에서 시행되는 학술연구지원서비스의 미흡한 이용 현황을 파악하고, 대통령기록을 학술 목적으로 이용하고 연구를 진행한 경험이 있는 이용자 8명과의 면담을 통해 문제점과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여 대통령기록관의 연구지원서비스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자들은 대부분 온라인 검색을 통해 정보탐색을 하나, 배경지식에 따라 정보격차가 컸고, 정보가 부족하면 연구 범위를 축소시키며, 검색도구, 기록 관리 및 기록 공개 측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했고, 학술연구지원서비스에 대해 대부분 인지하지 못하였다. 이에 고도화방안을 연구자 간 정보격차 감소, 검색도구 기능의 개선, 기록의 상세한 기술, 지리적 제약의 해소, 학술연구지원서비스 홍보 및 콘텐츠 개발, 주제전문 아키비스트 양성 및 온라인채팅 서비스 제공 등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s the demand for finding clearer information amid vast information acquisition increases, the enhancement of academic research services is highly important. In 2019, the Presidential Archives opened the only academic research services among the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insufficient use of academic research services implemented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analyze problems and requirements through interviews with users who have used the Presidential Archives for academic purposes and conducted research, suggest a plan to upgrade the research service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offer a plan to improve the services of archives institutions accordingly. Researchers mostly sought information through an online search, but the information gap was large depending on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research scope was reduced because of insufficient information. Moreover, problems occurred regarding search tools, records management, and records disclosure, and most users were unaware of the academic research services. Therefore, the advancement plans entailed reducing the information gap among researchers, improving the search tool functions, creating more detailed descriptions of records, resolving geographic constraints, promoting academic research services and developing content, nurturing subject-specialized archivists, and providing online chatting services.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록관리 현장에서 클라우드 기록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하면서 발생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클라우드 기록관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법제도의 변화 없이 시스템 변화만 이뤄진 상태이고, 클라우드 기술의 장점을 전혀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도입 이후의 변화는 전혀 고민하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3가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법제도 정비와 관련하여 기록관리 단위(기록철-기록건 구조)의 다양화, 기록의 접근제한 재검토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 종이문서 기반의 현행 업무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시스템 재설계를 제시하였다. 세 번째, 범정부적으로 발생하는 기록관리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기록원의 적극적인 대응 및 거버넌스 기구 설치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that occurred while constructing and operating the cloud record management system at the record management workplace and suggested ways to improve the system. In the study, the cloud record management system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it has not been accompanied by the change in the legislative system. Second, it has not been utilizing the benefits of cloud technology. Third, it has not been considering the changes after the system construction. Given this, the study suggested three improvement plans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n relation to the reformed legislative system, the study proposed the diversification of records management units (file-item structure) and the restriction on access to records. Second, the study suggested a system redesign by improving the current work process based on paper documents. Third, to solve records management issues, the study presented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ance body and the proactive countermeasure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초록보기
초록

현재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방안은 마련되었으나 약 1.3%(EA 포털 등록 시스템: 16,199개, 컨설팅 시스템: 214개)의 사례를 적용하여 다양한 행정정보시스템에 대한 특수성을 분석하고 합리적 수준의 관리기준표를 작성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에 있어 기록관리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의 관리기준표 6개 영역을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기술(description)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의 기록관리 환경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장에서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환경개선 모델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기관의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환경 중 하나의 사례 분석이라는 한계는 있으나 기록관리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Abstract

Currently, an implementation plan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 record management has been prepared; however, analyzing the specificity of various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s and preparing a reasonable level of management reference table by applying about 1.3% (EA portal registration system: 16,199, consulting system: 214) has its limitations. This study started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in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Based on the described information, the current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was analyzed by dividing the six areas of the management reference table of the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into three groups. Thus, a systematic environmental improvement model was proposed,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dataset records management in the field. Although there is a limitation in analyzing one of the dataset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s of various institutions, it is intended to help broaden the horizons of records management research.

364
김예지(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김익한(명지대학교) 2022, Vol.22, No.2, pp.1-25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2.001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 대부분의 아카이브가 소셜미디어를 통한 기록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효과는 매우 저조하다. 본 연구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이자 광역지방자치단체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인 경남기록원과 서울기록원을 중심으로 소셜미디어 기록서비스가 미진한 원인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고전적인 기록서비스와 소셜미디어가 상호 성장하여 시너지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방안의 설계를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소셜미디어별 특성과 메커니즘을 파악하였으며, 현황 분석을 통해 경남기록원과 서울기록원의 소셜미디어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내부 문건을 검토하여 공통적인 문제점을 도출했다. 보다 상세한 분석을 위해 기관 기록서비스 담당자와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국내 유관기관과 해외 아카이브의 소셜미디어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아카이브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했다.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록서비스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소셜미디어별 전략적 운영 방안을 제안함과 동시에 기존의 기록서비스와 상호성장 할 수 있는 방안을 설계하였다.

Abstract

Today, most archives provide recording services through social media; however, their effectiveness is very low.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uses of insufficient social media recording service, focusing on Gyeongnam Archives and Seoul Metropolitan Archives, which are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and local government archives, and design ways to create synergy by mutual growth with classical recording servic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and mechanisms of each social medium were identified, and the institutions' current status of social media operations and internal documents were reviewed to analyze the common problems. An in-depth analysis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person in charge of recording services at each institution. In addition, a plan that can be applied to archives was proposed by reviewing the cases of social media operations of domestic-related institutions and overseas archives. Based on this, a new recording service process was established, strategic operation plans for each social medium were proposed, and a plan to mutually grow with the existing recording service was designed.

365
이정은(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BK21 교육연구단) ; 김지혜(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왕호성(국가기록원 기록연구사) ; 양동민(전북대학교) 2022, Vol.22, No.1, pp.177-200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177
초록보기
초록

행정정보 데이터세트는 조직의 업무수행을 기반으로 생산되는 기록이다. 기록 행위에 대한 증거일 뿐만 아니라 업무에 활용될 수 있는 수많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그동안 기록관리 현장의 그늘에 있던 데이터세트는 2020년 법령의 개정을 통해 기록으로 관리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에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업무는 필요한 기관을 중심으로 이미 점진적으로 시작되었다.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업무의 핵심은 관리기준표의 작성에 있다. 그러나 기록관리를 수행하는 현장에서는 기록관리기준표 개념과의 혼선과 익숙하지 않은 개념의 등장으로 업무의 고충을 토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초반에 드러나는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의 문제점을 다시 한번 되짚어 보고, 보다 효과적으로 데이터세트 기록관리업무를 안착시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방안으로 관리기준표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그간 논의되었던 문제점을 정리하고, 현행의 관리기준표 항목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관리기준표 항목의 간소화, 관리기준표 영역의 재편성, 보유기간의 개념 도입, 관리기준표 작성 프로세스를 제언하였다.

Abstract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are a kind of record produced based on an organization's work performance. A dataset is evidence of the act of recording and contains a lot of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work. Datasets have been neglected in Korea's records management system. However, as the law was revised in 2020, the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was legislated. Organizations that require managemen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have already gradually begun record management. The core of manag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datasets is the preparation of the Management Reference Table for the dataset. Regardless, there is confusion with the Records Management Reference Table for Dataset in institutions that work on records management, and it is difficult to work because the Management Reference Table for Dataset has a new concept.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oblems in the records management of datasets that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work. It isuggests a method to effectively settle records management for datasets. In that way, the Management Reference Table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the problems discussed so far we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items of the current Management Reference Tabl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 have proposed the simplification of items in the Management Reference Table, the reorganization of areas in the Management Reference Tabl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retention period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of the Management Reference Table.

366
오정희(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기록관리학) ; 정연경(이화여자대학교) 2018, Vol.18, No.4, pp.99-124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0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보훈처의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기반으로 독립 운동 컬렉션에 대한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 분류 체계를 제안하였다. 먼저 출처별 분류 체계는 계층별로 구성하였으며 출처별로 분류된 기록물들은 관련 주제어에 따라 2차 분류한 후, 17가지 자료유형별로 분류하였고 ‘출처-주제-자료유형’의 인용 순서로 기술하였다. 또한 주제어를 바탕으로 한 귀납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의미한 컬렉션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공훈전자사료관 컬렉션을 출처별, 주제별, 자료유형별로 이용자가 기록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독립 운동 DB 자료의 기록물 검색을 지원하기 위한 분류 체계로서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독립 운동 기록물 서비스를 확장하는데 기초가 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of the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based on the collection of Gonghun Digital Archive based on sources, subjects, and media types. First,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source is organized by hierarchy, and the records classified by source are classified into the second category based on the related keyword. Then, the records are classified into 17 media types. Finally, it is described in the citation order of “source-subject-media type.” In addition, a meaningful collection using inductive methods based on the subject words is derived. Finally, Gonghun Digital Archive collections are categorized by media types, sources, and subjects so that users can easily find the record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classification system to support records retrieval of an independent movement collection, and it will become a basis for expanding the accessibility of the user and the service of independent movement records.

367
서연수(전북대학교) ; 남연화(전북대학교) ; 박지원(전북대학교) ; 엄소영(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6, Vol.16, No.3, pp.99-129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3.099
초록보기
초록

‘군위안부’ 관련된 문제해결과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해 ‘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은 체계적으로 관리될 필요가 있다. 현재 국가기록원에서는 국가지정기록물로 관리되고 있는 ‘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은 일부에 해당하며 ‘위안부’와 관련하여 다양한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민간기관에서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을 다양하게 소장하고 있다. 민간기관의 수도 한 곳이 아닌 여러 곳이며, 각 기관에 소장되어 있는 기록물들은 문서류뿐만 아니라 시청각 기록물류, 박물류로 다양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민간기관의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록물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통합 메타데이터 스키마 구축을 제안하였다. 먼저 일본군‘위안부’ 관련 기관 및 단체와 기록물의 유형 및 특징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여러 기관의 기록물들을 통합하여 새로운 기준으로 분류하고, 기록물의 유형 및 특징을 참고하여 국가표준인 국가기록원의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을 기반으로 스키마를 제안하였다.

Abstract

Records and archives on military sexual slavery should be managed systematically due to its historical and educational values. Currently, the National Records Designation related to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re managed in various related organizations including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Some private institutions have diverse collections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hey have a collection of various types of records and archives. This study aims to build an integrated metadata schema for managing the records and archives on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examined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and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cords and archives. Based on the results, a metadata schema was proposed for the records and archives of the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368
박준형(전북대학교) ; 류법모(부산외국어대학교) ; 오효정(전북대학교) 2018, Vol.18, No.1, pp.29-47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1.02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이전보다 더욱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시대의 변화 속에서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의 발전 방향에 대해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기록관리학 관련 학술지 2종과 문헌정보학 관련 학술지 4종을 대상으로 1997년부터 2016년까지 기록관리학 관련 논문을 자동 수집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전․후기 10년, 5년 주기로 나누고 각각 토픽모델링을 수행하였다. 5년 주기로 나눈 토픽모델링은 8가지 기록관리학 주제영역과 매핑하여 각 시기별로 특정 영역과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전자기록, 기록정보서비스, 다양한 기록물의 기록화 방안에 관한 연구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size and speed of archives and records information have recently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direction of archives management research in Korea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records management in the country. We collected articles related to archives management from 1997 to 2016 from two journals related to archives management and four journals related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e collected articles from the first and second halves of the decade were subjected to five-year cycle analysis. As a result, research on electronic records, record information services, and archiving methods of various records has been gradually improved.

369
신지유(동의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전공) ; 정영미(동의대학교) 2016, Vol.16, No.1, pp.175-193 https://doi.org/10.14404/JKSARM.2016.16.1.175
초록보기
초록

토픽맵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의미론적 연관관계에 따라 분류, 조직하여 탐색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검색을 제공하기 위해 제안된 도구이다. 본 연구는 대학의 교직원들이 학사행정 대학기록물 검색시 의미기반 검색을 통해 보다 적합한 검색 결과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토픽맵 기반 대학기록물 검색시스템을 설계한 것이고 그 과정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위해 D대학의 2년간 학사행정 기록물들이 사용되었고 의미관계를 구조화하기 위해 대학의 업무 기능 분류표를 참조하였다. 온토피아 옴니게이트를 사용하여 토픽맵을 구축하였다. 대학의 학사행정 관련 기록물의 토픽은 총 626개로 나타났고, 토픽 타입은 학사업무, 교직원, 학적, 대학, 학생, 기타로 구성하였다. 관계는 토픽들간의 연관으로 6개 유형이 나타났고, 어커런스 타입은 등록구분, 등록번호, 등록일, 수신자, 제목, 기안자, 분류번호 등의 7개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토픽맵 기반의 검색시스템의 관계적 속성은 대규모 기록물을 쉽게 탐색하고 지식의 우연한 발견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 topic map was designed as an efficien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that is optimized for classification, organization, and navigation through the use of a semantic link network above information resources. With thi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topic map-based university archives retrieval system to provide the relevant information retrieval. For this study, electronic records that relate to the academic administration within two years of D university were collected, and topic map editing was carried out with Ontopia Omnigator. Topic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 analysis of academic administration. In the end, the number of topics was finalized as 626, with 6 types in general: academic work, staff, college register, student, university, etc. Association was separated into six types as well, which were formed with consideration to the relationships among topics. In addition, there are seven occurrence types: register class, register number, register date, receiver, title, creator, and identifier. It is expected that the associative nature of the designed topic map-based retrieval system in this study will make navigation of large records easy and allow incidental discovery of knowledge.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이용자가 기록을 쉽게 ‘발견’하고, 기록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온라인 검색가이드의 설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영국, 미국, 호주, 우리나라 국립보존기록관들의 검색가이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가이드의 명칭과 접근 방식, 개발 대상과 범주, 구조와 연계정보를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이를 다시 접근성, 다양성, 체계성, 일관성, 연계성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가기록원이 검색가이드를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online research guid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four countries including the UK, the USA, Australia, and Korea. It also analyzes the name and accessibility, subject coverage and categorization, number of guides completed, and structure and types of resources linked with each guide. The examined online research guides are evaluated based on accessibility, variety, systematization, consistency, and hyperlinks. Based on the analyses, it suggests the directions of designing research guides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