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 검색결과: 4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의 분원인 서울기록정보센터의 방문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북미에서 수행된 아카이브 매트릭스 프로젝트(Archival Metrics Project)의 이용자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설문 도구로 활용하였으며, 이용자와 직원에 대한 면담도 실시하였다. 47명의 설문 데이터와 이용자 1명 및 직원 2명에 대한 면담데이터 분석 결과, 이용자의 방문목적이 조상의 토지소유 확인을 위한 증거자료 수집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용되는 기록의 유형도 토지․임야관련 자료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원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은 긍정적인 편이었으며 직원이 기꺼이 도움을 제공하고 친절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러나 기록의 소장여부에 있어 직원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직원 역시 기록 부존재에 대한 사실 확인이 어렵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나라기록포털의 유용성과 이용의 용이성에 대한 이용자 평가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들은 나라기록포털에서의 검색이 매우 불편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용자들은 국가기록원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나 몇몇 이용자들은 보다 신속한 업무 처리와 비공개자료의 기준을 명확히 할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users who visited in Seoul office of the National Archives, a branch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 For collecting data, the study utilized the Researcher Survey Toolkit developed by Archival Metrics Project and revised the questionnaire to reflect services of NAK. Questionnaires completed by 47 us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interviews with one survey respondent and two staff were performed. It was found that the purpose of the visit is mostly to identify records that prove land ownership of users' ancestors. Types of records frequently used were also those concerning lands and forests. User feedback on the staff was generally positive, and users perceived them to be helpful and kind. However,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 staff did not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whether NAK hold records that the user wanted to find. The staff also said that it was challenging to confirm where requested records are located when providing services for users. User evaluation on the usefulness and the ease of use of NAK portal services was not very positive, and it was perceived to be very inconvenient to search in the portal. Overall, users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s of NAK, although some users suggested that services need be provided efficiently, and NAK must clarify the criteria for the non-disclosure of public records.

402
나연휘(한성대학교) ; 박희진(한성대학교) 2022, Vol.22, No.4, pp.175-196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4.17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부여한 논문의 키워드 분석을 통해 기록보존 분야의 연구동향을 밝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록보존 분야 연구 주제의 변천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기록보존 연구 463편을 중심으로 NetMiner V.4를 통해 연결 중심성 분석과 매개 중심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집한 연구논문을 학술지 게재 시기에 따라 제1구간(2000년~2007년), 제2구간(2008년~2014년), 제3구간(2015년~2021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 구간에서는 ‘전자기록’과 ‘장기보존’, 제1구간에서는 ‘OAIS참조모형’, 제2구간에서는 ‘전자기록’, 제3구간에서는 ‘기록관리기준표’과 ‘장기보존’이 핵심 주제 키워드로 영향력과 확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1구간에서 ‘디지털 보존’, ‘디지털화’, ‘OAIS참조모형’ 등 기록보존을 위한 개념적 틀과 이론 중심 연구, 제2구간에서 ‘전자기록’, ‘평가’, ‘DRAMBORA’ 등 보존 활동과 관련된 절차와 실제 적용 중심 연구, 제3구간에서 ‘데이터세트’, ‘행정정보시스템’, ‘소셜미디어’ 등 기록관리 환경 변화에 따른 기술적 구현 연구 주제로 진행되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search trends in archival preservation through keyword analysis, understand the current research status, and identify the research topics’ changes over time. The degree and betweenness centrality analyses were conducted and visualized on 463 “archival preservation studies”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21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using NetMiner 4.0. The collected research papers were divided into three time periods according to when they were published: the first period (2000–2007), the second period (2008–2014), and the third period (2015–2021). The subject keywords for the research papers on archival preservation in Korea that have influence and expandability are as follows. Across all periods, these were “electronic records” and “long-term preservation.” In addition, if taken separately per period, the “OAIS reference model” and “electronic records” dominated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respectively, while the “records management standard table” and “long-term preservation” both dominated the third period. A conceptual framework and theory-oriented study for archival preservation, such as “digital preservation,” “digitalization,” and the “OAIS reference model,” dominated the first period. During the second period, more research focused on procedur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related to conservation activities, such as “electronic record,” “appraisal,” and “DRAMBORA.” In contrast, the majority of the research in the third period was on technical implement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uch as “data set,” “administrative information system,” and “social media.”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해외 기록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기록을 대상으로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전사를 수행하는 사례를 분석함에 있어 이와 관련된 개념적 논의를 조사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운영현황 및 시사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개념적 논의에서는 시민 아키비스트, 참여형 아카이브, 크라우드소싱의 세 가지 개념을 바탕으로 시민 참여 전사 프로그램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사례분석을 위해 미국과 영국, 호주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전사 프로그램 5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기관 및 목적, 전사 대상 기록, 참여 관리, 인프라, 정책 및 가이드라인, 평가의 6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전사 프로그램들은 역사기록의 접근 향상이라는 구체적인 목표를 가지고 기관의 조율에 의해 운영되므로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운영되는 공동체 아카이브와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시민들의 지속적인 참여 유도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내의 유사한 서비스에 대한 시사점으로 전사 프로그램의 목적을 명확히 서술하고 전사 대상 기록 선정 시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주제, 기록생산자, 기록 유형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여도가 높은 소수의 참여자들과 파트너십을 형성할 것과 참여자 요구에 부합하는 전사 인터페이스 및 과업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간결하고 효과적인 가이드라인 및 전사 결과물 활용에 대한 정책을 제시하고 전사 결과물을 기록 검색 및 접근에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참여자들의 기여를 가시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conceptual discussions in transcription programs based on citizens’ contribution and to discuss the operation and implications of the transcription program by investigating cases on transcribing records held in overseas archival institutions. With regard to conceptual discussions, the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transcription programs predicated on the notions of citizen archivists, participatory archives, and crowdsourcing. For case analysis, the study selected five transcript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which are known to be managed successfully.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llowing six criteria, including institution and goals, records for transcription, management of participation, infrastructure, policies and guidelines, and evaluation. The transcription programs were differentiated from community archives based on self-directed participation as the programs had a specific goal to improve access to historical records moderated by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strategies be built to attract the sustainable participation of the public. In this respect, the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to domestic services similar to the cases. The purpose of a program needs to be described, and the topics, creators, and record types that could induce interests have to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transcription records. It is also important that a partnership is made with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who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program and to provide interface and tasks for the transcription, which meet the participants’ need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simple and effective guidelines for transcription and policies be provided for use in transcription results, and that visible participants’ contribution is recognized by applying the transcription results actively to search and access records.

404
이영지(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오계윤(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정상준(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윤은하(전북대학교) 2018, Vol.18, No.4, pp.69-97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4.06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의 대통령기록물을 관리하는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의 현황 및 서비스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써,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 재단의 특징 분석 및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을 대상으로 소장 기록물, 온․오프라인 서비스, 법․제도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이 지닌 특징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 대통령기록관과 민간 대통령 기념재단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자 시도했다는 점과 두 기관이 협력 관계로 발전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도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service of the Unified Presidential Archives and the civilian memorial hall, which manages the country’s presidential records. For this purpose, the Presidential Archives and individual private memorial halls were surveyed on the current status of records, online and off-line servic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records. Based on this,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Unified Presidential Archives and individual private memorial hal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ttemp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fied Presidential Archives and individual private memorial halls and that the two agencies sought basic research to develop cooperative relations.

초록보기
초록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은 인류사회가 경험하지 못한 커다란 충격과 생활양식의 급속한 변화를 만들고 있다. 비대면 사회는 감염병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과정에서 보편화된 사례이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은 광범위하다. 정부의 정책, 개인정보보호, 정보기술 등 다양한 이슈가 사회 전반에 영향을 주고 있다. 동시에 관련 사건과 이슈가 신속하고 빠르게 변하기 때문에 사실 정보를 추적하고 기록하는 것이 어렵다. 코로나-19와 실시간성 정보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일까? “코로나-19:우리의 기억” 프로젝트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에 대한 사회문화적 영향을 가치중립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시도이다. 주요 사건과 이슈를 분야별로 수집하고, 중립적인 관점으로 핵심이벤트를 기록하며, 모든 기록을 탐색할 수 있도록 디지털 아카이브로 구축한다. 프로젝트를 통해 수집, 구축한 모든 데이터, 소스코드, 시각화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공개하여 새로운 협업을 이끌어내고 있다.

Abstract

In light of SARS-CoV-2’s significant impact, human society has experienced rapid changes in lifestyle that it has not yet experienced before. One way this virus has influenced people’s lives is the emergence of the zero-contact society, an initiative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s can be seen, the social impact of COVID-19 is widespread. Various issues, such as those about government policy,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health care, are affecting society as a whole. At the same time, factual information is difficult to track and record because of the rapid and transient nature of related events and issues. As such, a method of effectively describing COVID-19 and real-time information is necessary. The “COVID-19: Our Memory” project is an attempt to record the sociocultural impact of the coronavirus infection. This project collects major events and issues classified into several subjects, records those events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and develops a digital archive so that all records are accessible. All the data collected and built through the project, the application, including the source code and visualization, are all published to bring about new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406
이세정(중앙대학교) ; 김유승(중앙대학교) 2021, Vol.21, No.4, pp.223-242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4.2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개별대통령기록관이 담당해야 할 기능과 역할에 주목하며, 개별대통령기록관의 복합적 서비스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개별대통령기록관의 설립 타당성, 사례, 서비스를 다룬 선행연구들을 분석하고, 개별대통령기록관의 개념 및 특징, 기능, 서비스 측면을 이론적으로 논한다. 사례연구로서, 미국 개별대통령기록관의 서비스를 분석하고, 개별대통령기록관 서비스의 복합적 성격을 확인한다, 이어서, 대통령기록관의 서비스 현황, 이용경험, 개선방안을 주제로 기록전문가 면담연구를 진행하여, 현행 우리나라 통합대통령기록관 서비스의 문제점과 한계를 논하고, 개별대통령기록관 서비스의 전망을 진단한다. 결론에 갈음하여 우리나라 개별대통령기록관 서비스 방안을 정보서비스, 연구지원서비스, 전시서비스, 아웃리치 서비스 등 4가지 영역으로 제안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complex service plans for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It analyzes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he justification, cases, and services of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The characteristics, functions, and service aspects of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are theoretically discussed. As a case study, the services of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in the United States are analyzed, and the study finds the complex nature of the services. Furthermore, interviews with archival experts are conducted on the subject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residential archives, experience in use, and improvement measures to discuss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integrated presidential archives services and diagnose the prospects of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In conclusion, it proposes the individual presidential archives service strategies in four areas, namely,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support service, exhibition service, and outreach service.

407
김송이(부산시립미술관 기록연구사) ; 설문원(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교수) 2024, Vol.24, No.1, pp.231-256 https://doi.org/10.14404/JKSARM.2024.24.1.23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동시대 미술작가들을 대상으로 개인기록의 생산 및 관리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 등 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에 필요한 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동시대 미술에서 작품활동 기록화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지원 동향을 문헌 연구를 통해 정리하였다. 둘째,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활용하는 동시대 미술작가 6명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작품활동 과정별로 기록 생산 현황을 조사하였고, 기록유형별로 관리실태를 조사하였다. 셋째, 조사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작가, 미술관, 아키비스트 등이 작품 기록화를 위하여 협력, 지원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지원 영역은 교육프로그램의 제공, 미술관의 작품활동 기록화, 기록화를 위한 도구 개발 및 지원으로 구분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contemporary Korean artists' personal records and propose support measures necessary for documenting their work activities, such as educational programs.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importance of documenting contemporary artists' work activities and the support program documentation are analyzed. Second, through interviews with six contemporary artists using various formats and media, records production by artistic process and management by documentation type are investigated. Thir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alysis, the cooperation and support plan to be cooperated by art museums, archivists, and other record professionals for the artwork documentation is recommended. Areas of support are divided into educational program provision, museum artistic activity documentation, and documentation tools development and support.

408
이혜원(서울여자대학교) ; 한승희(서울여자대학교) 2023, Vol.23, No.1, pp.101-126 https://doi.org/10.14404/JKSARM.2023.23.1.101
초록보기
초록

대학의 사진기록은 대학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역사적 증거를 제공하는 매우 가치 있는 기록의 유형 중 하나이나, 텍스트와 달리 의미전달의 취약성을 갖고 있으므로 사진기록의 정보가 포괄적으로 기술되지 않으면 이용자의 검색과 활용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록관 사진 아카이브를 위해 사진기록의 분류체계를 구조화하고, 분류 내의 카테고리 특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 셋 개발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와 미국 대학기록관의 사진기록 분류체계와 메타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정보구조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정보구조 모형을 통해 대학기록관 사진기록의 데이터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용자에게는 사진기록에 대한 풍부한 디스커버리를 지원할 수 있다.

Abstract

Photographic archives of universities are one of the most valuable types of records that establish the university’s identity and provide historical evidence. Unlike text records, however, they are weak in conveying meaning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upport users' search and utilization unless the information of photo records is comprehensively described. In this study, for the university photo archives, we tried to structure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photo archives and develop a metadata set that reflects the category characteristics in the classification. To this end, the photo archives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adata elements of domestic and American university archive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model of information structure was proposed. The information structure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can help university archives improve the data quality of their photo archives and support users with the abundant discovery of photo archives.

410
김태영(전북대학교) ; 김건(전북대학교) ; 심갑용(전북대학교) ; 김용(전북대학교) 2014, Vol.14, No.2, pp.83-115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2.08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대통령기록관을 이용하는 학술연구자에게 심층적인 연구지원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지원서비스의 정의 및 유형을 파악하였으며, 정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외 대통령기록관 웹사이트에서 제공되고 있는 연구지원서비스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미국 대통령기록관 담당자에의 질의응답과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제공받은 자료들을 현황분석에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여섯 가지 분야에서 개선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대통령기록관의 연구지원서비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체계화된 연구지원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 범주별로 연구지원서비스 모형을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support service in presidential archives for users who use archives for scholarly purpos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Moreove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 of presidential archives’ Web sites between the U.S. and Korea.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nterviews via e-mail with an archivist working in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the U.S. and gained the materials from the presidential archives in Korea through a request of information disclosure. It was found that six improvements were considered by academic users to meet their needs. Consequently, based on the analysis, a research support services framework consisting of a service category was developed. With the proposed services, the academic utilization of presidential archives can be facilitated.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