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검색어: Record, 검색결과: 4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아카이브와 웹 2.0의 단순한 결합이 아닌, 이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아카이브 관리․운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아카이브 2.0을 연구한다. 기존의 아카이브를 지칭하는 아카이브 1.0과 관리운영, 이용자관계, 아키비스트의 역할이라는 3가지 측면에서 명확히 구분되는 다양한 특징으로 아카이브 2.0의 개념을 논하고, 적용 기술에 따른 기록정보서비스의 유형과 이용자 참여 유형을 다수의 사례를 들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아카이브 2.0의 핵심 요소인 이용자중심성과 개방성에 가장 부합하는 서비스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위키 형식의 기록정보 서비스로 ‘유어 아카이브즈(Your Archives)’와 ‘아워 아카이브즈(Our Archives)’의 사례를 살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카이브 2.0의 편익과 문제점들을 알아보고, 아카이브 2.0 구축을 위한 정책적, 기술적, 조직적 필수 요소들을 논의한다.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Archive 2.0’ as a new paradigm for managing and maintaining user-centered archives. A number of characteristics of ‘Archive 2.0’ which are quite different from established archives, so-called ‘Archive 1.0’, are explored in three aspects including management, user relation and archivists' role.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s types of record services and user participations according to applied technologies. For case studies, two wiki-based record services, ‘Your Archives’ and ‘Our Archives’, are explored.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tudies, advantages and drawbacks of ‘Archive 2.0’ are analyzed. As a result, essential elements for establishing ‘Archive 2.0’ are discussed.

432
서형덕(한성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기록관리학전공) ; 정경희(한성대학교) 2022, Vol.22, No.3, pp.125-141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3.12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저작권법 제24조의2의 도입 취지에 맞추어 공공저작물인 정부간행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기록관리 과정에서 저작권정보를 관리하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앙행정기관의 기록관리, 정부간행물담당자 및 처리과의 정부간행물 간행경험이 있는 업무담당자 17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4일 ~ 6월 13일까지 이메일 면담을 진행하여 정부간행물의 저작권정보 생산 및 관리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첫째, 공공저작물에 공공누리 1 유형 적용을 의무화하도록 저작권법을 개정할 것, 둘째, 저작권정보 생산 및 관리의 효율을 위하여 기관 내 정부간행물 저작권정보관리 협업체계를 구축할 것, 셋째, 원저작자정보, 저작권자, 저작권 보호기간, 저작재산권 양도여부, 공공저작물 여부, 공공저작물 미적용사유 등 공공저작물의 저작권정보를 업무관리, 기록관리, 영구기록물관리시스템을 통하여 관리할 것, 넷째, 정부간행물 발간등록번호 신청과정에서 공공저작물 저작권정보를 제공하여 발간과 동시에 국가기록원에서 원문공개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measures for handling copyright information on government publications during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to use them freely as public works according to Article 24-2 of the Copyright Act in Korea. Through email interviews with 17 records managers, persons in charge of government publication management, and government staff with experience in production from April 4 to June 13, 2022, this study determined the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related to producing and managing copyright information on government publications. Based on the interview finding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 Article 24-2 of the Copyright Act must be revised to apply the 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KOGL) type 1 mandatorily to all public works. Second, a cooperative system for managing copyright information on government publica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ir production and management effectiveness. Third, copyright information, such as authors, copyright holders, copyright duration, information on the copyright property transfer, public works status, and reasons for nonpublic works, must be managed through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s. Fourth and last, information on public works must be provided during the registration number application for government publication so that everyone can access the full texts of the publications o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대학기록관에서 웹을 통해 제공되는 기록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웹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주와 내용을 파악하여,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웹사이트가 있는 국내 대학기록관 몇 곳을 선정하여 웹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학기록관의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 결과에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제언된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기록관의 미션과 비전을 설정하고 제시해야 한다. 둘째, 소장기록의 목록과 기록컬렉션에 대한 소개를 상세히 제공해야 한다. 셋째, 상세검색, 재검색, 원문검색 기능 및 검색방법에 대한 도움말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온라인 전시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뉴스레터를 제공해야 한다.

Abstract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provid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over the Web in university archives, the evaluation model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was proposed by identifying categories and contents of it.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was proposed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Web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of some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Based on the evaluation,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First, the mission and vision of the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and published over the Web. Second, the introduction to the records catalogues and records collection should be provided in detail on the Web. Third, advanced search and full-text search functions should be provided, as well as the help information for the search methods. Fourth, university archives' Web sites should provide online exhibitions and newsletters of the archives.

초록보기
초록

기록물 기술은 기록관리 전문가의 창작과 편집 과정이며, 그 결과로 생산된 기록 레코드는 이용자가 기록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밑거름이 된다. 그리고 기록물 기술을 위해 보급되는 다양한 기술 표준은 기록 레코드의 내용과 구조를 규정하는 중요한 도구에 해당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록물 기술표준의 특징을 데이터 모형의 구조 측면에서 분석하고, 기록물 기술표준인 ISAD(G)와 문화자원 분야의 도메인 온톨로지인 CIDOC CRM을 시범적으로 연계하였다. 연계에 앞서 ISAD(G)를 데이터 구조 측면에서 분석했으며, 분석 결과를 CIDOC CRM에 맵핑하였고, 연계 플랫폼으로는 KARMA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온톨로지 기반의 맵핑 방식에 대한 이해와 이벤트 기반 CIDOC CRM에 대한 인식 제고 및 CRM 연계온톨로지의 개발, ISAD(G)의 기존 기술요소 값에 대한 재구조화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Abstract

Archival description is considered as a creation and curation process, and the results of the descriptive records can be used for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Therefore, various archival descriptive standards provide essential guidelines for establishing a semantic and synthetic structure of the archival records. In this study, the structural aspects of the archival descriptive standards were analyzed and an experimental mapping between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Archival Description (ISAD(G)), the archival standard, and CIDOC Conceptual Reference Model (CIDOC CRM), the domain ontology of cultural heritage field was performed. The data structure of ISAD(G) is examined in advance and mapping was performed using Karma as a platform. It was thus concluded that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e ontology-based mapping method and the event-focused domain ontology. Moreover, developing a CIDOC CRM-compatible archival ontology and restructuring the legacy ISAD(G) are needed.

초록보기
초록

지난 몇 년 사이에 전자문화, 전자정부, 전자학습 및 전자 비즈니스의 디지털 아카이브즈들은 세계적으로 순조롭게 성장해 왔다. 우리가 이 아카이브즈들을 구축하고 관리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온 한편, 이 처리에 의해서 생산된 디지털 레코드들을,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게 하고,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이 확실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것인지 결정할 수 있게 하면서, 정보 기술의 여러 세대 전체에서 모두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은 갖지 못한다. 이것은 아직 솔루션이 개발되지 않은 심각한 문제이다. 이 논문은 디지털 아카이브즈와 보존이 성공하기 위한 실용적 기술에 대하여 논하고, 이 중요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의 생명주기의 일반적 구조를 기술하여, 정량적 방법과 증진되는 방식으로 분석되고 평가될 수 있는, 디지털 레코드들을 보존하기 위한 타당한 방법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The digital archives of E-culture, E-government, E-learning, and E-business have grown by leaps and bounds worldwide during the last several years. While we have invested significant time and effort to create and maintain those archives, we do not have the ability to make digital records generated by the processes all available across genera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making it accessible with future technology and enabling peop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authentic and reliable. This is a very serious problem for which no solutions have been devised yet. This paper discusses practical technologies for digital archives and preservation to succeed, and describes a general framework of the life cycle of information to address this important problem so that we may find reasonable ways to preserve digital records that can be analyzed and evaluated in quantitative measures and incremental manners.

436
이상민(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13, Vol.13, No.1, pp.159-179 https://doi.org/10.14404/JKSARM.2013.13.1.159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외교사료집의 편찬에서 나타나는 기록학적 쟁점을 미국의 외교사료집(FRUS)이 발간되는 역사적 과정을 통해 분석한다. 그러한 기록학적 쟁점에는 기록의 이용의 한 방법인 외교사료집 편찬의 목적과 의의, 비밀 외교기록의 해제와 공개 활용 문제, 국가안보 정보의 보호와 외교정책의 설명책임성 제공 간의 균형 모색, 외교사 편찬의 공정성의 문제, 그리고 역사기록 편찬의 방법과 원칙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RUS 시리즈에 관해서 네 가지 주제를 분석한다. 첫째, FRUS의 출판 내용과 맥락을 살펴본다. 둘째, FRUS 시리즈의 발전에 큰 영향을 준 주요한 전환기에 나타났던 정치적, 기록학적 쟁점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고 분석한다. 셋째, 역사기록 선별과 비밀해제를 포함한 FRUS 시리즈 편찬의 업무절차와 편찬 원칙을 개관한다. 넷째, FRUS의 적시 출판에 지장을 준 국가안보기관의 비밀기록에 관한 접근 및 비밀해제의 절차와 현황에 대해서 살펴본다.

Abstract

This study traces the evolution of the compilation of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series and analyzes its archival issues from its historical development. The study examines the purposes of publishing the compilations of the diplomatic documents, an issue of making a balance between secrecy for national security and accountability of diplomacy, neutrality in compiling historical materials, and methods and principles of the compilation. To analyze these records issues, the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contexts of the compilation, historical evolution of the compilation, and the political and records issues of the compilation in the U.S. political history. The declassification issue for the historical compilation was also examined because the issue was a major obstacle to the timely publication of FRUS.

437
서은경(한성대학교) ; 박희진(한성대학교) 2019, Vol.19, No.1, pp.69-93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1.069
초록보기
초록

아카이브 전시는 아카이브의 가치를 높이고 이용자의 관심 및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는데 기여하는 아카이브의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지만, 아직까지도 활성화가 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기록콘텐츠를 이용하여 일방적인 정보전달식의 아카이브 전시에서 벗어난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새로운 전시방안을 시도하고 모색하는 움직임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문화유산 기관의 전시 사례들을 종합 분석하여 기록콘텐츠를 활용한 아카이브 전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록콘텐츠를 통하여 기록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증진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개발 전략은 3-way 콘텐츠 기반 전시, 체험 기반 전시, 디지털 환경 기반의 아카이브 전시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아카이브 전시프로그램 설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rchive exhibitions are one of the important tasks of archives that promote the value of archives and contribute to increasing users’ interest and positive image but have not yet been activated. Recently, there has been a shift from a one-way archive exhibition to a new way to draw attention and understanding from users by using archival contents. This study aims to propose ways to activate archive exhibitions by utilizing archival contents by analyzing the exhibits of domestic cultural heritage institutions. Focusing on way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records through archival contents, the proposed strategy for developing archive exhibition programs is a three-way contents-based exhibition, experiential exhibition, and digital environment-based exhib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velop archival exhibition programs that will enhance us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records.


438
김유승(중앙대학교) ; 류반디(중앙대학교) 2015, Vol.15, No.4, pp.173-194 https://doi.org/10.14404/JKSARM.2015.15.4.17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노근리사건 관련 기록의 평가, 선별 방법으로 삼고, Hackman와 Wornow-Blewett이 제시한 실행 모델에 근거하여 그 첫 단계인 예비 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위한 이론 연구로서 노근리사건의 개요를 연혁적으로 정리하고,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특징을 ‘협력 수집’, ‘특정 영역의 수집’, ‘결락 기록의 생산’, ‘기록화 계획’, ‘자문조직’ 등 5가지로 규정한다. 또한 전략의 발전과정과 실행 모델을 논하고, 전략에 대한 비판과 의의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노근리사건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예비 분석을 실시하여 노근리사건 초첨 그룹을 ‘생존 피해자 및 희생자 유가족’, ‘정부’, ‘시민사회’, ‘학술연구’, ‘언론’, ‘문화예술’ 등을 구분하는 한편, 도큐멘테이션 범주를 사건기록, 진상규명활동기록, 추모기록으로 분류한다.

Abstract

The study reports a preliminary analysis for the No-Gun Ri massacre documentation strategy based on Hackman and Wornow-Blewett’s implementation model, as an appraisal and selection method for No-Gun Ri Digital Archives. It intends to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is process, inlcuding a history of the No-Gun Ri massacre and the development of documentation strategy. From the theoretical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d the No Gun Ri documentation strategy processes in 5 categories: “cooperative collecting”, “collecting in specific areas”, “identifing missing areas” and “advisory group”. With these 5 categories, this study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the Hackman and Wornow-Blewett’s implementation model in the No Gun Ri case and reviews the strategy’s pros and cons. As a result, firstly, we classfy focusing groups into “victims and bereaved family”, “government”, “civil society”, “the press” and “literature and art”. Secondly, we also classify documentation categories into “massacre records”, “investigation activity records” and “cherish memory”.

439
왕호성(국가기록원 기록연구사) ; 문신혜(국가기록원) ; 한능우(국가기록원) 2020, Vol.20, No.4, pp.81-105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4.081
초록보기
초록

2019년 10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투명하고 신뢰도가 높은 사회의 구축을 위해 공공문서의 원본, 수정본 및 변경 이력을 추적하고, 무결성과 진본 증명을 위해 블록체인을 활용한 공공문서 관리체계를 확립하여야 한다는 대정부 권고안을 발표하였다. 이후 기획재정부 등 정부는 공공분야의 블록체인 예산을 확대하여 공문서를 포함한 다양한 공공기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다는 확산전략을 수립하였다. 국가기록원은 2019년 블록체인 기록관리 플랫폼을 구축하고 2020년 현재 이를 활용한 다양한 기록관리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이 논문은 1년간 진행된 블록체인 기록관리 연구 결과 중 일부로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추적과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이 기록관리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를 정리한 것이다. 블록체인 기록관리의 주요 개념, 다양한 연구 및 사례를 통해 기본이해를 공유하고, 기록관리에 적용 가능한 업무기능을 발굴하여 설계하고 검증한 여러 모형을 제시하였다. 전통적 기록관리 방식을 대체하는 지능형 기술들이 공공업무의 투명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보장 가능하다는 인식은 기록관리 전문가들에겐 위기이자 기회일 수 있다. 이 연구가 기록관리의 미래를 대비한 제도개선과 연구 활동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various recordkeeping methods through a platform built in 2019 by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In particular, it aims to develop a way to track and store transactions using blockchain and to design and present the method of records management automation using smart contracts. In this regard, a literature review, a system analysis of CAMS and MAM, interviews with the experts, designing, implement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s proof of concept were performed. These efforts resulted in the proposal of an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strategy utilizing blockchain, which guarantees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by preserving an audit trail on recordkeeping activities.

440
정혜정(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이해영(명지대학교) 2018, Vol.18, No.3, pp.165-191 https://doi.org/10.14404/JKSARM.2018.18.3.165
초록보기
초록

국가기록원 등 일부 기록물관리기관에서는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와 같은 소셜미디어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이용자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이용자들은 또한 국민신문고 등을 통해 이러한 기관과 소통하고, 정보를 얻고자 한다. 이러한 채널에 제시된 댓글이나 민원의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이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는지, 어떤 소통을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은 서비스 제공에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가기록원 소셜미디어와 국민신문고를 통해 나타난 이용자의 인식 및 정보요구를 분석하였다. 국가기록원 대표 페이스북, e-기록 페이스북, 부산기록관 페이스북, 대통령기록관 페이스북의 게시물 및 댓글과 국민신문고의 민원에서 ‘국가기록원’과 ‘대통령기록관’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하였을 때 나온 글을 대상으로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기록물관리기관에서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서비스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other archives now provide services through social media such as Facebook or Twitter, and use such platforms to interact with users. To be specific, users communicate with and get information from these archives via the National Sinmoongo, the place for civil petition.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users’ needs and the contents of the communication by analyzing the comments and petitions that have appeared in these channels.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users’ perceptions and information needs shared through social media and the National Sinmoongo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social media content analyzed here were posts and comments from the Facebook account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e-Record, the Busan Archives, and the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Also, sentences containing the words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Presidential Archives of Korea” that have appeared in texts in the National Sinmoongo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suggestions that could activate the user-center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in the archives and records centers were made.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