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598-1487
  • E-ISSN2671-7247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개발과 서비스 평가 - 대학기록관을 중심으로 -

Evaluation Model Development for Web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and the Service Evaluation: Focused on University Archives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P)1598-1487; (E)2671-7247
2009, v.9 no.2, pp.59-78
https://doi.org/10.14404/JKSARM.2009.9.2.059
김현지 (명지대학교)
이해영 (명지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대학기록관에서 웹을 통해 제공되는 기록정보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웹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주와 내용을 파악하여, 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웹사이트가 있는 국내 대학기록관 몇 곳을 선정하여 웹 기록정보서비스를 평가한 후 평가결과를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학기록관의 웹 기록정보서비스 평가 결과에서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제언된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기록관의 미션과 비전을 설정하고 제시해야 한다. 둘째, 소장기록의 목록과 기록컬렉션에 대한 소개를 상세히 제공해야 한다. 셋째, 상세검색, 재검색, 원문검색 기능 및 검색방법에 대한 도움말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온라인 전시를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뉴스레터를 제공해야 한다.

keyword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valuation model, service evaluation, university archives,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서비스 평가, 대학기록관,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valuation model, service evaluation, university archives

Abstract

In this stud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provid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over the Web in university archives, the evaluation model of the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was proposed by identifying categories and contents of it.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was proposed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Web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of some university archives in Korea. Based on the evaluation, the following directions for improvement were suggested. First, the mission and vision of the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and published over the Web. Second, the introduction to the records catalogues and records collection should be provided in detail on the Web. Third, advanced search and full-text search functions should be provided, as well as the help information for the search methods. Fourth, university archives' Web sites should provide online exhibitions and newsletters of the archives.

keywords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valuation model, service evaluation, university archives, 기록정보서비스, 평가모형, 서비스 평가, 대학기록관, archival information services, evaluation model, service evaluation, university archives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2007). 기록관리표준 이행확산도구개발 최종보고서. .

2.

김옥선. (2007). 대학기록관 홍보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3.

박미성. (2008). Web 2.0 기술 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39-168.

4.

박준식. (2007). 정보서비스론:계명대학교출판부.

5.

서은경. (2006). 이용자 중심의 기록정보 활용 및 서비스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1), 65-92.

6.

설문원. (2008). 기록정보서비스의 방향과 과제. 기록인(IN), 3, 11-19.

7.

손동유. (2004). 사립대 아카이브즈의 위상과 기능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9호), 143-163.

8.

심성보. (2007).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기록학연구, (16호), 203-258.

9.

안순. (2007). 국가기록관리기관 웹사이트 평가연구기록관리학논문: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10.

양은영. (200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의 이용제공 전략 연구.

11.

신은영. (2006). 전자기록환경에서의 아키비스트 윤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6(2), 113-132.

12.

유사라. (2001). 정보서비스 평가연구: 국내 행정부처 Web 정보사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5(3), 93-115.

13.

이명희. (2004). 중앙 행정부처 웹사이트의 정보서비스 평가: 정보공개와 이용자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5(2), 195-218.

14.

이명희. (2008).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을 위한 이용자 서비스 모형 개발.

15.

이숙희. (2003). 기록보존소의 열람환경 구축에 관한 연구.

16.

이윤주. (2007). 기록관의 온라인 서비스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평가기준설계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16호), 143-201.

17.

이해영. (2007). 기록정보서비스의 평가 및 개선 방향. 한국기록관리학회지, 7(2), 25-42.

18.

이 해 영. (2008). 대학기록관 시소러스 구축 지침의 개발 연구 - 명지대학교 대학사료실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8(1), 189-210.

19.

이희숙. (2005). 인터넷을 통한 기록관의 서비스 활동에 관한 연구 - 교육․전시 활동을 중심으로.

20.

임승희. (2008). 대학 기록관의 운영 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21.

조윤희. (2008). 기록물관리기관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2.

차창민. (2003). 대학역사기록관의 설립과 운영방안.

23.

한국국가기록연구원. 대학 기록관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기초연구.

24.

한국기록관리학회. (2008). 기록관리론:증거와 기억의 과학:아세아문화사.

25.

한국대학기록관협의회. 한국 대학기록관 설립 및 운영 지침(제1판).

26.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년 인터넷 이용실 태조사 요약보고서. http://isis.nida.or.kr/board/fileDown.jsp?pageId=040100&bbsId=7&itemId=728&athSeq=2.

27.

황나리. (2006). 중앙행정기관 기록물의 이용에 관한 연구.

28.

Conway,P. (1986). Facts and Frameworks:An Approach to Studying the Users of Archives. The American Archivist, 49(4), 393-407.

29.

Dearstyne,B.W. (1997).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 (-). The Haworth Press Inc.

30.

Dowler,L. (1988). The Role of Use in Defining Archival Practice and Principles:A Research Agenda for the Availability and Use of Records. The American Archivist, 51(1), 74-86.

31.

Duff, W. M. (2008). Archivists' View of User-based Evaluation: Benefits,Barriers, and Requirents. The American Archivist, 71(1), 144-166.

32.

Finch,E.F. (1984). In the Eye of the Beholder:Archives Administrati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American Archivist, 47(2), 113-123.

33.

Krause, M. (2007). Interaction in Virtual Archives. The Polar Bear Expedition Digital Collections Next Generation Finding Aid American Archivist, 70(2), 282-314.

34.

NCA. Towards Generic and Universal PIs for Archives.

35.

Pugh,M.J. (2005). Providing Reference Services for Archives and Manuscripts:SAA.

36.

SAA. Guideline for College and University Archives.

37.

Samuels, H. W. (2007). 대학 기록:한울아카데미.

38.

Smith,E.H. (2003). Customer Focus and Marketing in Archive Service Delivery: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4(1), 35-53.

39.

Yakel, E. (2003). 아카이브 만들기:진리탐구.

40.

Yakel, E, S. Shaw. (2007). 2007.Creating the Next Generation of Archival Finding Aids. D-Lib Magazine, 13(5), -.

41.

Yakel, E. The Next Generation Finding Aid: The Polar Bear Expedition Digital Collections-A Case Study in Reference and Access to Digital Materials, New Skills for a Digital Era: A Colloquium Exploring the Skills Librarians,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Need to Flourish in the Digital Era.31 May -2 June 2006.

42.

Yeo,G. (2005). Understanding Users and Use:A Market Segmentation Approach.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26(1), 25-53.

한국기록관리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