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행동활성화체계 민감성이 양극성 장애 위험군의 기능적 장해에 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조절효과
김빛나(서울대학교) ; 권석만(서울대학교) pp.143-153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1
초록보기
초록

양극성 장애는 재발하는 기분 증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적 장해와 연관되어 왔다. 양극성 장애의 행동활성화체계(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모델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양극성 장애의 취약성으로 가정되는 BAS 민감성이 기분 증상을 넘어 기능적 차원과도관련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규모의 대학생 표본(N=531) 중 경조성 성격 척도로 선별된 양극성 장애 위험군(n=64) 에서 BAS 민감성과 문제음주, 학업적 부적응의 관계를 충동성이 조절변인으로서 강화시키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양극성 장애 위험군에서 BAS 민감성이 학업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는 충동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충동성이 높은 위험군은 BAS 민감성이높을수록 누적 학점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한편 문제음주에 있어서는 충동성의 주효과만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BAS 민감성이 양극성 장애의 증상뿐만 아니라 적응적 측면과도 관련된다는 점을 시사하며, 후속연구들을 통하여 BAS 민감성이 양극성 장애와 연관된 부정적 및 긍정적 적응의 양 측면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탐색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Bipolar disorder (BD) is characterized by diverse functional impairments as well as recurrent mood fluctuations. Based on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 (BAS) model of BD, we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heightened BAS sensitivity, vulnerability for BD within the model, can also be related to functional indices associated with BD. Among a large undergraduate sample (N=531), we screened a BD high-risk group (n=64) via the Hypomanic Personality Scale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S sensitivity, problematic drinking, and academic maladaptation with impulsivity as a moderator.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BAS sensitivity, when combined with high impulsivity, could impair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igh-risk group. On the contrary, the main effect of impulsivity was only significant in predicting problematic drinking.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BAS sensitivity is related to not only symptomatic but also functional aspects of BD. Future research should continue to investigate if BAS sensitivity may account for both negative and positive features of adaptation associated with BD.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
이정화(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김호영(전북대학교) ; 강정석(전북대학교) pp.154-164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2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wofold: 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neliness on the addiction to Social Network Sites (SNS), and two, to evaluat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 differed between female and male college students. The SNS addiction questionnaire, UCLA Loneliness scale, and Fundamental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Behavior (FIRO-B) scale were conducted on 295 college students (age M=23.05, SD=2.69; male=143, female=152) via an online survey. Based on this data, the effect of loneliness on SNS addi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ed that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with SNS addiction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owever, the effect of loneliness on SNS addiction was stronger in males than in female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NS addiction was significant only in female students. The effect of loneliness on SNS addiction was stronger in female SNS users with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nely people with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might be more vulnerable to SNS addiction. Furthermore, the gender difference in this study suggests that different mechanisms may underlie SNS addiction in females and males.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rientation, as well as gender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in efforts to minimize SNS addiction.

유사 외상 상황에 의한 지각적 점화: 외상자극과 일반위협자극의 비교
장윤지(계명대학교 심리학과) ; 최윤경(계명대학교) pp.165-176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 외상 패러다임을 사용하여 지각적 점화효과를 검토하는 것이다. 또한 유사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의 불안 반응이 외상과 관련된 자극에만 특징적으로 촉발되는지 위협자극에 일반화되어 촉발되는지 확인하였다. 참가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PDS) 점수가 10점 이하, Beck 우울 척도(BDI) 점수가 23점 이하인 대학생 103명이었다. 참가자들은 외상 사건을 유발하는 영상을 시청한후, 지각적 판단과제의 단어과제 또는 사진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위협자극보다 외상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어과제와 달리, 사진과제에서는 일반위협자극보다 외상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유의하게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본 연구는 외상 생존자들이 외상과 관련된 지각적 속성에 노출될 시 외상자극에 대한 지각적 점화를 보인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을 경험하는 개인들에 대한 치료개입에서 외상 관련 자극에 대한 지각적 정보를 재구성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ual priming effect using the analogue trauma paradigm. This study also aimed to determine whether anxiety responses in individuals experiencing analogue trauma were triggered by stimuli specific to trauma or general threats. A total of 103 university students with a score of 10 or lower on the 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PDS) and a score of 23 or lower on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ere included. Participants viewed a distressing film as an analogue for a traumatic event, after which they completed a perceptual identification task using words or pictu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rates were significantly faster to traumarelated stimuli than to general threat stimuli. Second, unlike the words-task, the response rates were significantly faster to trauma-related stimuli than to general threat stimuli in the pictures-task. To sum 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rauma survivors showed perceptual priming of traumatic stimuli when exposed to perceptual cues related to trauma.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ho experienc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should be aimed at reconstructing perceptual information about trauma-related stimuli.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탈중심화와 경험 회피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종단적 매개효과
문주연(양산부산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민규(경상대학교) pp.177-191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ACT와 MBCT에서 핵심적 변화기제로 상정한 탈중심화와 경험 회피간의 종단적 관계를 검증한 후, 우울에 탈중심화와경험 회피가 미치는 종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 경남지역 일반인과 대학생 195명(남학생 67명, 여학생 125명, 무응답 3명)이었으며, 한국인우울증척도(KDS), 수용-행동 질문지(AAQ-Ⅱ), 탈중심화(EQ) 척도를 사용하여 8주 간격으로 3차례에 걸쳐실시하였다. 분석에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종단자료를 이용하여 변수들의 인과관계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탈중심화와 경험 회피는 서로 상호순환적인 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1차 시기의 탈중심화가 3차 시기의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경험 회피는 탈중심화와 우울의 관계에서 유의한 종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ACT나 MBCT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치료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히 하였고, 향후 치료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장래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decenter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as reference in ACT and MBCT.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d the longitudinal mediation to identify the effect of decenter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on depression. A total of 195 participants (male=67, female=125, nonresponse=3)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hree times within an 8-week interval. To test the hypothesis,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s were applied to th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decentering and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recursive relationship. Although decentering does not have direct effect on depression, experiential avoidance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centering and depres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부적응적 완벽주의, 부정정서, 부정적 긴급성이 여자 대학생의 신경성 폭식증 증상에 미치는 영향
이수진(성균관대학교) ; 장혜인(성균관대학교) pp.192-205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적응적 완벽주의, 부정정서, 부정적 긴급성이 여자 대학생의 신경성 폭식증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신경성 폭식증에 대한 심리적 위험요인으로 부정정서와 성격특질 요인들이 연구되었지만, 이 둘을 함께 고려하여 신경성 폭식증 증상의 기제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려는 시도는 소수에 불과했다. 본 연구에서는 부정정서가 신경성 폭식증 증상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정적 긴급성이라는 두 성격특질 요인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부정정서에 선행하는 성격특질로, 부정적 긴급성은 부정정서와 신경성 폭식증 증상 사이의 관계를 조절 혹은 매개하는 성격특질로 가정하였다. 본연구에는 여자 대학생 174명이 참가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사용하여 해당 변인들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부정정서와 부정적 긴급성을 차례로 거쳐 신경성 폭식증 증상을 예측하는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나타났다. 또한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부정정서를 거치지 않고도 부정적 긴급성만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증상을 예측하였으며, 어떠한 매개변인을 거치지 않고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신경성 폭식증 증상을 예측하는 직접효과 또한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부정정서와 성격특질 요인이 다양한 경로를 통해 신경성 폭식증 증상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이론적, 임상적 의의를 논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grative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on bulimic symptoms in young women. Although negative affect and personality variables, such as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negative urgency have been studied as risk factors for bulimic symptoms,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underlying mechanisms by which these factors may conjointly lead to the development of bulimic symptoms. The current study therefore examined an integrative model of bulimic symptoms, including both personality and affect variables simultaneously. Specifically, maladaptive perfectionism was hypothesized as an antecedent of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was hypothesized as a mediator or a moderator between negative affect and bulimic symptoms. A total of 174 female college students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inventories assessing maladaptive perfectionism, negative affect, negative urgency, and bulimic sympto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negative affect and negative urgency sequen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bulimic symptoms. Additionally, negative urgency mediated the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bulimic symptoms without its association with negative affect, and the direct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bulimic symptoms was also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범불안 및 우울 증상이 공존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정서조절치료(ERT)의 효과
박은숙(국립나주병원) ; 이혜진(전남대학교) pp.206-222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범불안 및 우울 증상이 공존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정서조절치료(Emotion Regulation Therapy, ERT; Mennin & Fresco, 2009)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ERT는 범불안장애와 주요우울장애의 신경학적 공통기제인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으로, 1단계(1–3회기)는 정서 및 동기 알아차림 훈련, 2단계(4–6회기)는 정서조절 기술 훈련, 3단계(7–9회기)는 노출을 통한 맥락기반 학습으로 구성되어있다. 총 742명의 남녀 대학생 중에서 공존증상을 보고하는 33명을 선별하여 처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처치집단에게 9회기 ERT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결과변인(걱정, 불안, 우울, 일반적 고통)과 과정변인(알아차림, 정서조절전략)로 나누어 처치 직전, 직후, 4주 후에 걸쳐 측정하였다. 사전 측정치들에서 집단 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프로그램 종료 후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모든 결과변인들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러한 감소는 4주 후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처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프로그램 과정변인들의 모든 수준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고, 이러한 변화도 4주 후까지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범불안및 우울 증상이 공존할 때 이들의 공통기제인 정서조절의 어려움을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방법이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Therapy (ERT; Mennin & Fresco, 2009) in individuals with co-occurring generalized anxiety and depression symptoms. ERT is designed to treat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s commonly seen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by sequentially focusing on motivation, regulation, and contextual learning mechanisms. We used a group version of ERT that consisted of 9 sessions with three stages: emotional and motivational awareness training, emotional regulation skills training, and experiential exposure. A total of 33 undergraduates with co-occurring symptoms of GAD and MDD were assigned to either the ERT or control group.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outcome variables (worry, general distress, anxiety, and depressive symptoms) and program-related process variables (awareness and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assessed at pre-, post- and 4-week-after treatment. Results showed that the ERT group,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symptom reduction in all outcome variables, and this effect was maintained at the follow-up period. Moreover, the ERT group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process variables that were maintained until the follow-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rvention that systematically addresses emotion dysregulation may be effective for those with comorbid anxiety and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긍정심리개입이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심리적 건강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한상미(한림대학교) ; 조용래(한림대학교) pp.223-241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긍정심리개입이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심리적 건강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63명의 대학생(긍정심리개입 집단 30명, 무처치 통제집단 33명)이 참여하였고, 긍정심리개입은 총 8회기에 걸쳐 한 회기당 120분 동안 진행 되었으며, 무처치 통제집단은 심리학 교양과목을 이수하는 학생들로 이루어졌다. 긍정심리개입 집단의 참가자들은 총 4번(개입 전, 4회기 후, 개입 직후, 1개월후) 탄력성, 외상 후 성장, 정신적 웰빙, 삶의 의미,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우울증상 및 외상 후 인지를 측정하는 척도들을 작성하였으며, 무처치 통제집단의 참가자들은 총 3번(개입 전, 4회기 후, 개입 직후) 동일한 척도들을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 무처치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심리개입은 탄력성, 외상 후 성장, 정신적 웰빙, 삶의 의미, 우울증상 및 외상 후 인지 수준을 변화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효과는1개월 동안 유지되었다. 하지만 종결 직후 두 집단 간 비교 결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긍정심리개입이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우울증상을 완화하고, 탄력성, 외상 후 성장 및 긍정적인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뿐만 아니라, 그 한계점에 기초하여 미래 연구방향에 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PPI) on psychological health and post-traumatic growth in trauma-exposed university students. The PPI examined here was a structured 8-session group program aimed at cultivating positive feelings, positive behaviors, and positive cognitions. The PPI program consisted of 8 weekly sessions. Thirty participants in the PPI group completed the measures of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mental well-being, meaning in lif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depressive symptoms,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at pre-intervention, after the fourth session, at post-intervention, and 1 month after the intervention; conversely, 33 participants in the non-treatment control group completed the same assessment instruments three times (at pre-intervention, after the fourth session, and at post-intervention).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in the non-treatment control group, those in the PPI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mental well-being and meaning in life, as well as reductions in depressive symptoms and post-traumatic negative cognitions. These effects of PPI were maintained at 1-month follow-up. However, a decrease in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PI may be efficacious in enhancing resilience, post-traumatic growth, and positive mental health, as well as ameliorating depressive symptoms in trauma-exposed university students. Finall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ased on its limitations were discussed.

한국 아동 인성 평정 척도-수어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다원(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황순택(충북대학교) ; 조혜선(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홍창희(부산대학교) ; 정혜정(충북대학교) ; 장미경(대전광역시립 손소리복지관) pp.242-254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Sign Language version (KPRCSL), and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In order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n the KPRCSL, deaf who have 3–17 years child (n=115) performed KPRC-SL and test-retest was carried out for 23 deaf persons. Bilinguals in Korean and Korean sign language (n=18) filled out KPRC-SL and original KPRC to verify similarity between both assessment tools. In order to examine inter-rater agreement, children-report form of KPRC had been carried out on child of deaf participants (n=40) and compared with their parent’s report. The results showed that KPRC-SL had acceptable levels of internal consistency (α=.50-.85) and test-retest reliability (r=.47-.89).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subscale of KPRC-SL, the correlation were higher with the subscale measuring the similar construct rather than others. KPRC-SL and original KPRC ha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responding scales (r=.41-.97). Inter-rater agreement were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M=.23). These results support that KPRC-SL is reliable and valid assessment and it can be useful for detecting mental health problems of CODA.

재난 후 공동체 리질리언스 촉진 개입 원칙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허심양(트라우마치유센터 사람마음) ; 최현정(트라우마치유센터 사람마음) pp.255-282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을 바탕으로, 재난 이후 리질리언스 발현을 촉진시키는 개입법에 관한 경험 연구를 분석하였다. 인터넷 기반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국내 논문 및 영어로 출판된 국외 논문을 검색하였다. 코크란(Cochrane) 핵심 질문의 기본인 PICOT은, 연구대상(Participants)으로 ‘재난을 경험한 성인’, 중재(Intervention)로 ‘모든 유형의 개입, 처치, 치료’, 비교 중재(Comparison)로 ‘개입분야, 개입단계, 개입장면’, 중재 결과(Outcomes)로 리질리언스, 연구 유형(Type of studies)은 ‘경험 연구’로 설정하였다. 총 2170개 문헌 중 포함기준및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최종 선별한 14개 문헌의 일반 특성 및 방법적 엄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연구에 등장하는 기술의 내러티브 통합을 통해, 리질리언스를 촉진하는 9가지 원칙으로 협력, 역량 강화, 전문성, 사회 정의, 지역사회 기반, 대비, 개발, 통합 서비스, 지속가능한서비스의 개념을 발견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결과의 한국사회 적용과 더불어,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evious empirical studies regarding the interventions that promote resilience after disasters based on a systematic review. A literature search, in both Korean and English languages, was conducted using internet-based electronic databases. The Cochrane acronym, PICOT, was used to ensure that all key components were determined prior to the review. PICOT wa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Participants, adults with prior disaster experience; intervention, any types of intervention, treatment, or therapy; comparison, intervention sectors, intervention steps, and intervention fields; outcomes, resilience; and type of studies, empirical research. Fourteen studie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2170 records. Analys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thodological rigor of each study were conducted. Nine principles promoting resilience (collaboration, empowerment, professional values, social justice, local based, preparedness, development, service integration, and sustainable service) were discovered by using the narrative synthesis from the selected literature. The adaptation of the results to Korean post-disaster situ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suggestions was discussed.

한국판 노인 행동평가척도(Older Adult Behavior Checklist)의 임상적 타당도 연구
김다정(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 최지영(인제대학교부속상계백병원) ; 이동우(인제대학교) ; 오경자(연세대학교) pp.283-290 https://doi.org/10.15842/kjcp.2017.36.2.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인지, 행동, 심리적 문제와 같은 다각적인 영역을 평가하는 한국판 노인 행동평가척도(OABCL)의 임상적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한 60세 이상 244명의 환자 및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OABCL,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일상활동평가-복합(S-IADL), 한국판 치매임상평가척도(K-CDR), 노인 우울 척도(GDS), 신경정신행동 검사(CGA-NPI)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치매로 진단된 59명과 우울장애로 진단된 48명을 대상으로 집단간 유의한 차가 나타난연령을 통제한 후, OABCL 결과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 교육년수를 통제한 편상관분석에서 타평가 도구들과 OABCL의 거의 모든 척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특히 문제행동증후군 척도의 기능적 손상, 불안/우울 척도와DSM 진단 척도의 치매문제, 우울 척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더불어, 치매와 우울장애 집단 사이에서 OABCL 문제증후군 척도의 걱정, 신체증상, 기능적 손상, DSM 진단 척도의 신체화 척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OABCL의 임상적 활용도 및 타당도를 확인할수 있었고, 이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linical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Older Adult Behavior Checklist (OABCL) which was developed to examine the diverse aspects of geriatric behavior problems. A total of 244 subjects, both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60 years and their caregivers, were included. The results of partial correlation between OABCL and Korean- Mini Mental State (K-MMSE),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K-Clinical Dementia Rating (KCDR),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and Caregiver-Administered NPI (CGA-NPI) showed that most of the inventories significantly correlated when age and the number of education years attained were statistically controlled. In particular, functional impairment, anxious/depressed scales of empirically base problem scales, and dementia, depressive problems of DSMoriented scale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thers. Additionally, ANCOVA revealed that worries, somatic complaints, functional impairment of empirically base problem scales, and somatic problems of DSM-oriented sca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ose with dementia (n=59) and those with depressive disorder (n=48). The implications for clinical applicat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