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불안 및 관련 장애들의 근거기반치료: 기준, 연구 이슈, 논평 및 제언
조용래(한림대학교) pp.449-457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1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불안 및 관련 장애들의 근거기반치료에 관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특별 호의 서론 장에 해당된다. 이 특별 호에서는 DSM-5의 분류상 불안장애에 속하는 공황장애, 사회불안장애, 범불안장애(일반화된 불안장애) 외에도, DSM-IV의 분류상 불안장애 범주에 속했다가 DSM-5의 분류에서는 다른 범주의 장애들로 각기 나눠졌던 강박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근거기반치료에 관한리뷰논문들이 게재되었다. 이 논문은 근거기반치료 또는 경험적으로 지지된 치료의 기준, 불안 및 관련 장애의 치료연구 관련 주요 이슈들, 이번 특별호에 게재된 논문들에 대한 논평, 그리고 근거기반치료의 임상 현장 적용가능성을 높이고 연구와 실제 간의 괴리를 줄이는 방안에 관한 제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Abstract

This article is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f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on evidence-based treatments (EBTs) of anxiety and anxiety-related disorders: panic disorder, social anxiety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riteria for EBTs or 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issues concerning psychotherapy research on anxiety and anxiety-related disorders, and comments on review articles in this special section are described. Finally, methods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EBTs to clinical practice and bridge research and practice are suggested in terms of evidence-based practice.

공황장애에 대한 근거기반치료
박수현(연세대학교) pp.458-469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2
초록보기
초록

공황장애는 극심한 불안감과 함께 자율신경계 각성을 반영하는 다양한 증상이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동반되어 나타나는 불안장애로 이와 같은 공황발작이 다시 경험될 것이라는 예기불안이 특징적으로 보고된다. 전 세계적으로 1–4% 사이의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으며 모든질환 중 장애 지속기간이 11번째로 높은 장애로 알려져 있다. 지난 30여 년간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인지행동치료 중심의경험적으로 검증된 다양한 치료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공황장애에 대한 임상적 기술 및 원인론에 대해 살펴보고 이에기반을 두고 개발된 치료적 접근들을 소개할 것이다. 국내외에서 진행된 치료효과 및 메타분석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황장애에 대한 근거기반치료로 우선적으로 권장되고 있는 인지행동치료의 핵심 구성 요소가 무엇인지 그리고 치료효과에 대한 조절 또는 매개변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논의될 것이다. 또한 최근 검증 작업이 시작된 공황장애에 대한 컴퓨터 또는 인터넷 기반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및 임상적유용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향후 공황장애 치료에 있어 어떠한 함의를 갖는지 질문을 던지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국내외 저명기관 및 주요 연구결과가 제안하고 있는 공황장애에 대한 치료 권고안을 토대로 현재 어떠한 방향으로 공황장애에 대한 근거기반 치료가권장되고 있는지 요약할 것이다.

Abstract

Panic disorder is an anxiety disorder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autonomic arousal symptoms in unexpected situations (panic attacks), which are accompanied by anticipatory anxiety regarding possible future attacks. Its prevalence rate is reported to be 1–4% worldwide and it ranks 11th among all diseases in terms of years lived with disability.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ast 30 years and empirically validat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panic disorder has been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studies. To this end, this review will focus on providing a brief clinical description and etiology of panic disorder, followed by an overview of the specific nature of evidence-based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What are the core components of evidence-based treatment for panic disorder according to Korean and foreign treatment effectiveness studies and/or meta-analyses? What are the moderating or mediating factors that affect treatment effectiveness and outcomes? Furthermore, this review will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of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and internetbased treatment programs for panic disorder. Finally, a summary of treatment guidelines for panic disorder will be provided based on the treatment guidelines recommended by different related disciplines and organizations.

사회불안장애의 근거기반치료
김현수(한양대학교) ; 양재원(가톨릭대학교) pp.470-493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의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근거기반치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불안장애의 임상 양상과 해외의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연구를 개관하였다. 그리고 2000년에서 2017년까지 한국에서 출간된 사회불안 치료 관련 33개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서 한국에서의 근거기반치료를 확인하였다. 개관한 모든 연구는 무선할당통제 연구이거나 최소한 대조군 연구였으며, 효과 크기를 계산할 수 있도록 적절한 통계치가 제시된 것이었다. 사회불안 치료에 대한 효과 크기는 아동/청소년과 성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사회불안이나 다른 관련된 변인 혹은 전반적인 측정치들을 바탕으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 개관한 모든 치료 유형은 사회불안과 관련된측정치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 중에서 성인의 경우 인지행동치료가, 그리고 아동/청소년의 경우 인지행동치료와 인지행동치료와 사회기술훈련이 결합된 치료가 사회불안에 대해 잘 확립된 근거기반치료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의 임상적 의의와 치료자를위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evidence-based treatments of social anxiety disorder to be used with Korean popula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we first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s of social anxiety disorder and research on evidence-based treatments (EBTs) conducted abroad. Then, we identified EBTs for use with Korean populations through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ocial anxiety treatment studies conducted in Korea. Thirty-three domestic social anxiety treatment studi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0 and 2017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meta-analyzed. All studies reviewed were characterized by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r controlled trials at least and included the adequate statistics needed for the calculation of effect sizes (ESs). The ESs of each of the social anxiety treatments on social anxiety outcomes, other-related outcomes, and overall outcomes were calculated for both the adult and adolescent/child groups. The analyses found that all the treatment types reviewed demonstrated large effect sizes on social anxiety and related outcomes. The analyses also found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CBT) in adults and CBT and CBT combined with social skills training in adolescents and children to be well-established EBT for social anxiety disorder. The clinical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finding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for the potential users were made.

범불안장애의 근거기반심리치료
김근향(대구대학교) pp.494-508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recent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pertaining to psychological therapie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and to offer guidelines for evidence-based treatment for GAD. Despite its high rates of comorbidity with other mental disorders and its rising worldwide prevalence, GAD has been giv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attention compared to other anxiety disorders. According to overseas studies, the efficacy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pplied Relaxation (AR), Psychodynamic Therapy (PDT), Meta-cognitive Therapy (MCT), Mindfulness-based Therapy (MBT), and Worry Exposure (WE) have been repeatedly verified, with strong and modest efficacy being ascribed to CBT and AR, respectively. It is difficult to definitively verify the efficacies of MBTs since most MBT studies have been open trials and preliminary studies. There has been little domestic research on the efficacy of psychotherapy for GAD,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even set appropriate levels for evidence-based treatments. Instead, domestic studies are primarily focused on GAD-related factors such as IU in the general population. Thus, systematic RCTs in patients with GAD need to be conducted and accumulated before the criteria for national evidence-based treatments can be defined. In addition, Internet-based treatments and related applications, which promote an understanding of GAD and the accessibility of GAD treatments, are introduced. Finally, guidelines for evidence-based treatments of GAD based on recent research will be offered, and potentially beneficial points for future research on GAD and its treatments, as well as further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be discussed.

강박장애에 대한 근거기반치료
김일중(서울대학교병원) ; 신민섭(서울대학교) pp.509-525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5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에서는 강박장애에 대한 국내외 근거기반치료를 검토하였으며 주로 노출 및 반응방지 기법과 인지치료를 포괄하는 인지행동치료와 수용전념치료의 효과에 대해 다루었다. 미국심리학회의 임상심리학분과에서는 무선할당통제연구에 대한 메타분석과 체계적 리뷰를근거로 노출 및 반응방지 기법과 인지치료를 “잘 확립된 치료법(strong/well-established)”으로, 수용전념치료를 “효과가 있음직한 치료법(modest/probably efficacious)”으로 제안하였다. 그러나 국내에서 실시된 연구를 개관한 결과, 강박장애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및 수용전념치료의 효과를 검증한 무선할당통제연구는 전혀 없었으며 집단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1편의 사전-사후 설계 연구와 컴퓨터 기반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1편의 준실험설계 연구가 검색되었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는 인지행동치료를 강박장애에 대한 “효과가 있음직한 치료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박장애 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치료적제안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current review of existing evidence-based treatments for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with a description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which encompasses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ERP) and “Cognitive Therapy” (CT), and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CT). Based on meta-analyses and systematic reviews including randomized-controlled trials (RCT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vision 12) suggests that both ERP and CT have a “strong/well-established” evidence base, and ACT has a “modest/probably efficacious” evidence base. A literature search for domestic clinical trials, however, revealed that while no RCTs had examined the efficacy of CBT or ACT for OCD, a pretest-posttest design trial had examined the efficacy of group CBT and a quasi-experimental design trial had examined computer-based CBT. Based on this evidence, CBT for OCD is deemed to have a “modest/probably efficacious” evidence base in Korea. Finally, challenges to the treatment of OCD and future directions are suggested.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근거기반치료
최윤경(계명대학교) pp.526-549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6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국내외에서 수행된 근거기반 치료를 고찰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임상 특징과 진단과 관련된 쟁점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임상적 치료 가이드라인에서 추천되는 일차 및 이차 심리적 개입, 그리고 ICT 기반의 치료들(예: 인터넷 기반 인지행동치료,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가상현실 노출)이 검토되었다. 다음으로, 한국의 연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 외상 생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된 1997년부터 2017년까지 출간된 심리적 개입에 관한 12편의 연구가 검토되었다. 마지막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 권고안이 제안되고 향후 치료적 접근과 연구의 방향성이 근거기반실천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review evidence-based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First, clinical features of PTSD, diagnosis-related issues in PTSD, first- and second-lin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recommended from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of PTSD, and ICTbased therapy (e.g., internet based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smartphone applications, and virtual reality exposure) were reviewed. Second, 12 studies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Korean trauma survivo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between 1997 and 2017, were investiga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in Korea. Finally,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PTSD treatment,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nd therapeutic approach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evidence- based practice.

외상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현실치료가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김영애(대신대학교) pp.550-564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7
초록보기
초록

많은 연구자들이 역경 후 긍정적 변화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외상 생존자들에게 PTG를 촉진시키기 위해 어떻게 개입했는지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후 성장(posttraumatic growth, PTG)을 촉진시키기 위해 현실치료(reality therapy)에 기반한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PTG 상담 프로그램은 Kim과 Choi(2015)가 개발하였고 총 12회기의 개인 회기로 구성되었다. PTG의 측정 변수들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자기 효능감 및 내부 통제이며, 사전-사후, 그리고 3개월 추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참여자들은 범죄 피해자(3명), 가정 폭력(2명),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2명), 별거 및 이혼(2명), 적응의 어려움(1명), 배우자 외도(1명)의 총 11명이었다. 그 결과, 본 연구의 PTG 상담은 PTG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PTSD 증상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PTG에 관한 임상적 함의를 논하였다. 더하여 앞으로의 상담과 연구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Posttraumatic growth (PTG),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ality Therapy, and to investigate its efficacy. The PTG counseling program, developed by consists of 12 individual sessions. Outcome variables, including PTG,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elf-efficacy, internal control were assessed at pre- and post-intervention and at a 3-month follow-up. The participants were 11 trauma survivors who had experienced crime (n=3), domestic violence (n=2), loss of a loved one (n=2), separation and divorce (n=2), bullying (n=1), and spousal affair (n=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TG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ncreasing PTG as well as reducing PTSD symptoms, although it did not change self-efficacy and internal control significantly. Finally, future directions for the therapeutic approach and research are discussed.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Impaired Control through Emotion Dysregulation and Drinking Motives
원성두(계요의료재단 계요병원) pp.565-573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8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lcohol use disorder (AUD) can be explained by some emotion-based hypotheses such as the self-medication hypothesis and negative reinforcement model.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ynamic relationships between daily stress, emotion dysregulation and drinking motives in the prediction of impaired control to drink alcohol in a clinical male sample. Male patients with AUD (n=193) were recruited from alcohol centers of four psychiatric hospitals in South Korea.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the Hassles and Uplifts Scale,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the Drinking Motives Questionnaire (DMQ), and the Impaired Control Scale (ICS). The serial multiple mediation model analyses showed that daily stress resulted in impaired control throug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rinking motives in order. Specifically, bot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rinking motives in turn had partial 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impaired control on alcohol. Moreover, when drinking motives were entered as a mediator individually, the size of the indirect effect for coping motives was larger than that of enhancement motives was, suggesting that there might be no gender difference related to drinking motiv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aily stress as a precursor indirectly influences impaired control through emotion dysregulation and drinking motives among patients with AUD.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stress and impaired control on alcohol via emotion dysregulation and drinking motives, future interventions need to focus on providing an individualized intervention that includes stress management an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정서조절 전략과 인지적 반응성의 관계: Implicit Relational Assessment Procedure (IRAP) 측정을 중심으로
정현석(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이종환(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임종민(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곽호완(경북대학교) ; 장문선(경북대학교) ; 배대석(영남대학교의료원) pp.574-588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09
초록보기
초록

정서조절의 반복적인 실패는 다양한 정신병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 특히 표현 억제 전략은 우울의 발병과 재발에도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다. 인지적 반응성은 우울의 재발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개인마다 슬픈 기분에 다르게 반응하도록 이끄는 요인은 아직 불분명하다고 알려져 있다. 암묵적 측정의 구조는 우울의 인지이론과 부합하기 때문에, 평소 잠복상태에 있는 인지적 반응성을 측정하는 데 보다적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반응성과 습관적인 정서조절 전략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명시적 수준에서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심리적 상태가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 암묵적 수준에서 IRAP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분유도 전후 특질적 정서조절 전략에따른 인지적 반응성을 측정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서조절 질문지를 통해 인지적 재평가 성향집단과 표현 억제성향집단으로 구분했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연습기준을 통과한 40명(억제 18명, 재평가 22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했다. 연구 결과, 표현 억제 성향집단은 인지적 재평가 성향집단보다 우울, 불안, 스트레스를 더 많이 호소하고 더 높은 인지적 반응성을 보였다. 암묵적 측정에서 표현 억제 성향집단은 인지적 재평가 성향집단보다 슬픈 기분에 민감한 인지구조를 보였다. 표현 억제 성향집단은 기분유도 후 긍정적 정서반응 편향이 감소했으나 인지적 재평가 성향집단은 오히려 증가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표현 억제 전략의 습관적인 사용이 인지적재평가보다 인지적 반응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실증적인 근거를 제시한다.

Abstract

Repeated failure in emotion regulation could lead to various psychopathologies.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xpression inhibition strategy is related to the occurrence and relapse of depression. Although cognitive reactivity is the factor that predicts the relapse of depression, the reason for individual differences in reacting to sad mood is unclear. Congruent with the cognitive theory of depression, implicit measures often assess cognitive reactivity, which is usually hidden.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reactivity and trait emotion regulation, the present study verified if trait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ead to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tates in the explicit level. Additionally, it measured cognitive reactivity using the IRAP program before/after mood induction at an implicit level. In the first phase, 494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th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ERQ), Beck's Depression Inventory(BDI),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Korean(DASSK), and Korean Leiden Depression Sensitivity-Revised(K-LEIDS-R). In the second phase, participa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and passed the practice criterion were divided into the cognitive reappraisal tendency group (N=22) and expression inhibition tendency group (N=18). Findings revealed that the inhibition group exhibit more depression, anxiety, stress, and cognitive reactivity than the reappraisal group did. In the implicit measure, the inhibition group exhibited a more sensitive cognitive structure to sad mood than the reappraisal group did. While the reappraisal group reacted positively to the negative situation, the inhibition group reacted negatively to the negative situation. Critically, the inhibition group exhibited lower positive emotional reaction bias, but the reappraisal group exhibited higher positive emotional reaction bias after mood in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abitual use of the expression inhibition strategy contributes more to reactivity to sad mood than the cognitive reappraisal strategy does.

자살생각자와 자살시도자를 구분해주는 심리적 특성: 습득된 자살잠재력과 기질 변인을 중심으로
류성은(충북대학교) ; 유성은(충북대학교) pp.589-603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10
초록보기
초록

자살 잠재력은 자신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힐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생각자와 자살시도자가 가진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자살 잠재력과 기질변인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자살잠재력을 측정하는 자살잠재력- 죽음에 대한 공포감소 척도(ACSS-FAD), 독일판 자살잠재력 척도(GCSQ), 리허설을 포함한 자살잠재력 척도(ACWRSS)와 자살잠재력과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기질변인인 공격성과 충동성을 측정하는 한국판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 공격성 척도(AQ)를 실시하고 자살행동력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잠재력 변인 중에는 지각된 자살잠재력과 자살에 대한 준비성만이 자살생각 집단과 자살시도 집단을 구분해 주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살잠재력의 주요 하위 요인인 죽음에 대한 공포감소와 통증감내력은 자살생각 집단과 자살시도 집단을 구분해주지 못하였다. 충동성 및 공격성과 같은 기질 변인은 자살생각 집단과 자살시도 집단을 구분해주지는 못하였지만자살생각 집단과 자살시도 집단 모두 대조집단에 비해 부정적인 긴급성과 신체적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은 있으나 자살을 시도해 본 적은 없는 사람에 비해 자살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성인은 스스로 자살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주관적인 지각 수준이 높고 자살행동에 대한 정신적 표상행동을 더 많이 해 본 사람들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살위험평가에서정신적 리허설을 포함한 자살에 대한 준비행동과 개인의 지각된 자살잠재력 수준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refers to the ability to act on lethal self-injury.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psychological factors differentiating suicide attempters from suicide ideators, with a particular focus on acquired capability of suicidality and temperament.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a community sample of Korean adul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using the ACSS-FAD, GCSQ, and ACWRSS, impulsivity, and aggression, along with questions of lifetime history of suicidal behavior. Among the subfactors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derived from three self-report measures, only perceived capability of the GCSQ and preparation of the ACWRSS differentiated suicide attempters from suicide ideators. The factors of fearlessness about death and pain tolerance from the ACSS-FAD and GCSQ did not predict suicide attempt among suicidal ideators. Of the temperamental factors, none was able to differentiate suicide attempters from ideators, while both suicide ideators and attempt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negative urgency, a tendency to act impulsively upon negative emotions, and physical aggression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people who act on their suicidal desires have a higher level of self-perception of acquired capability of suicide, and they tend to engage in planning activities using mental rehearsal strateg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considering one’s planning behavior and perceived capability for suicide in suicide risk assessment and follow-up.

경계선 성격 성향과 양극성 성향의 비교
최소연(경상대학교 심리학과) ; 이민규(경상대학교) ; 박준호(경상대학교) pp.604-616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경계선 성격 성향과 양극성 성향을 정서조절곤란, 충동성, 자기 파괴적 행동을 중심으로 비교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대학생 125명(경계선 성격 성향 34명, 양극성 성향 57명, 통제집단 34명)의 자료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질문지로 경계선 성격장애 척도(PAI-BOR), 경조 증상 체크리스트-32 (HCL-32), 통합적 한국판 CES-D, 정서조절곤란 척도(K-DERS), 다차원적 충동성 척도(UPPS-P), 폭식 행동 질문지, 알코올 사용장애 감별검사(AUDIT-K)를 사용하였다. SPSS 23.0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ANOVA를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구체적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분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조절곤란과 문제 음주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그 외 변인들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DERS와 UPPS-P는 양극성 성향과 비교하여 경계선 성격 성향에서 더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자기 파괴적 행동 점수는 두 성향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추가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and Bipolar Trait, focusing on Emotional Dysregulation, Impulsivity, and Self-Destructive Behaviors. The subjects were 125 university students (34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57 Bipolar trait, 34 Control group).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 Borderline Features Scale (PAI- BOR), Hypomania Checklist-32 (HCL-32),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DERS), UPPS-P Impulsive Behavior Scale (UPPS-P), Binge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and Alcohol Use Disorder Identification Test-Korean version (AUDIT-K). SPSS 23.0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In addition, post-hoc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specific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rinking was not significant, but all other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the DERS and UPPS-P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orderline personality trait compared to the bipolar trait. Self-destructive behaviors score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사회불안의 해석편향에 미치는 행동억제와 부모양육행동의 영향
김수진(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박기환(가톨릭대학교) pp.617-629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사회불안에서 해석편향이 나타나는 과정을 탐색하고, 행동억제와 부모양육행동이 해석편향을 통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377명(남 103명, 여 27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척도, 사회공포증 척도, 한국판 자기보고식 회고적 행동억제척도,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 형태 척도, 해석편향 측정 시나리오를 도구로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동억제와 사회불안 간의관계에서 해석편향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둘째, 부모양육행동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해석편향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행동억제 및 부모양육행동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해석편향의 부분매개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완전매개모형이 자료에 더 적합하였다. 행동억제 성향이 높고 부모의 돌봄이 부족하며 통제가 심할수록 사회적 상황을 위협적으로 지각하고 통제 불가능한 것으로 해석하였으며, 해석편향이 증가할수록 사회불안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retation bias and social anxiet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interpretation bias in the relationships among behavioral inhibition, parenting behaviors, and social anxiety. A survey of 377 adults was conducted and it include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ocial Phobia Scale, Korean version of the Retrospective Self-Report of Inhibition, and Korean version of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as well as a scenario measuring interpretation bia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terpretation bias showed a fu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behavioral inhibition and social anxiety. Second, interpretation bias showed a fully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social anxiety. Third, a partial mediation model was proposed for a rival model, and the study model for a full mediation model exhibited the best fit with the data.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부정적 자기 도식 수준에 따른 출처감찰과제 수행
이준득(서울대학교 심리학과) ; 이훈진(서울대학교) pp.630-641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1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 성향 집단에서 부정적 자기관련 진술문의 출처기억의 판단에 편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출처감찰과제의 수행이 우울관련 설문지와 어떤 관계를 갖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실험 참가자는 모두 73명의 대학생으로, 부정적 자동적 사고 척도(ATQ-N) 점수 1표준편차를 기준으로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을 구분하였다. 실험실에서 참가자들은 먼저 부정적 자기관련 진술문과 잡학상식 문항을 남녀목소리로 듣는데, 이때 여자는 참을 말하고 남자는 거짓을 말한다는 출처정보를 연합한다. 그 후 시각적으로 제시된 문장을 읽고 참인지거짓인지 들은 적이 없는 것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연구 결과, ATQ-N 점수가 높은 집단은 부정적 자기관련 진술문을 참으로 판단하는 반응률과 참으로 분류해야 하는 경우의 정답률이 더 높았고, 거짓 범주에 대한 출처감찰은 반추 및 부정적 사고를 믿는 정도(ATQ-NB)와 부적 상관이 있었다. 반면, 반추와 부정적 사고를 믿는 정도는 거짓 범주에 대한 반응과 상관이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적응적 도식의 출처정보에 대한 자동적 처리 과정이 우울증의 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시사점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chema bias effect on a source monitoring task of negative self-descriptions. Our second purpose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ource monitoring performance and depression-related variables. A total of 73 university students with higher and lower levels (±1SD) of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TQ-N) were included. In the first phas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the statement that a man always speaks the truth and a woman always speaks falsely. In the second phase, statements intermixed with new self-descriptions were presented on the computer screen, and the participants were to classify each as “new,” “true,” or “fals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group with higher ATQ-N tended to choose the “true” response more often, and had a higher accuracy rate for the “true” items than did the group with lower ATQ-N. Second, the rate of “false” respons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umination, while the accuracy rate for “false” item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elief in automatic negative thoughts (ATQ-NB) in the higher group.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the automatic processing of source information about maladaptive schema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pression-related cognitio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한국형 우울장애 선별도구의 개발: 예비연구
정수연(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김신향(고려대학교) ; 박기호(고려대학교) ; 제갈은주(고려대학교) ; 이승환(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윤영(한양사이버대학교) ; 이원혜(국립정신건강센터) ; 최기홍(고려대학교) pp.642-657 https://doi.org/10.15842/kjcp.2017.36.4.014
초록보기
초록

우울장애를 선별하는 신뢰롭고 타당한 선별도구를 개발하는 것은 잠재적인 위험군이나 발병 초기단계 있는 사람에게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과제이다. 이는 현대 정신건강 정책이 정신질환의 예방과 조기개입을 강조하는 흐름과도 일치한다. 현재까지 우울장애를 선별하는 다수의 도구들이 개발되어 왔으나, 해외 저작권 지불의 문제를 해결하고, 우울의 하위영역은 물론 자살위험과 조증, 불안 및 신체증상을 포괄하며, 국가 연구 프로젝트와 병원 및 다양한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결한 형태의 한국형 우울장애 선별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까지 개발된 우울장애 선별도구를 체계적으로 개관하여 각 선별도구의 강점과약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개발할 한국형 우울장애 선별도구(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ve Disorders, K-DEP) 의 이론적 기초를 요약하였다. 임상심리, 정신의학, 심리측정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다학제 연구팀과 전문가 자문위원회와 함께 한국형우울장애 선별도구를 개발하는 과정을 요약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개발된 총 383문항의 예비 문항을 소개하고, 153명의 참여자에게 실시한 예비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실시될 한국형 우울장애 선별도구 개발 프로젝트의 차기 단계 과정과 고려사항들을논의하였다.

Abstract

Developing a reliable and valid screening tool of depressive disorders is crucial to providing appropriate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s to potentially at-risk patients in the early stages. This viewpoint is similar to the new mental health paradigm initiated by the Ministry for Health & Welfare Affairs. Despite the existence of numerous screening tools for depressive disorders, the research group concluded that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new, valid depressive disorders screening tool that concisely and reliably measures key sub-domains of depressive disorders—suicidal risks, mania, anxiety, and somatic symptoms. As a preliminary step to pursuing this goal, we first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existing screening tools for depressive disorders, thoroughly analyzed the strengths and limitations of each tool, and summarized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w Korean screening tool for depressive disorders (K-DEP). Second, the research group introduced procedures for developing preliminary item pools for the K-DEP (a total of 383 items), administered it to 153 non-psychiatric patients, and summarized the results. Finally, we discussed the directions for the next steps in developing the K-DEP.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