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메뉴

권호 목록

목표중심 자기조절이 알코올 사용 문제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원성두(계요의료재단 계요병원) ; 김수룡(계요병원) pp.291-300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1
초록보기
초록

다양한 중독 문제가 만성적인 자기조절 실패로 개념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중독 문제 중 하나인 알코올 사용 문제를 자기조절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만 19세 이상 성인 470명을 대상으로 목표중심 자기조절의 약화가 알코올 사용 문제를 증가시킬 것이며, 우울 증상이 이 관계를 매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측정도구는 목표중심 자기조절 척도, 우울척도, 알코올사용장애 진단 척도이었다. 상관분석 결과, 목표중심 자기조절은 우울 증상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목표중심 자기조절은유해음주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우울과 알코올 사용 문제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델 검증에서 목표중심 자기조절과 알코올 사용 문제 간의 관계에 대한 우울의 부분매개 모델에 비해 완전 매개모형이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약화된 목표중심 자기조절이 알코올 사용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지라도 감소된 목표중심 자기조절로 인해 발생한 우울 정서가 알코올 사용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에 기초해 연구의 임상적 함의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 wide range of addictions is conceptualized as a chronic failure of self-regul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s among goal-focused self-regulation, depressive symptoms, and alcohol use problem, which is a common addictive behavior. A total of 470 adults were recruited from metropolitan cities in South Korea.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Goal-Focused Self-Regulation Scale (GF-SRS), and Patient Health Qustionnaire-9 (PHQ-9). A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goal-focused self-regul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oth depressive symptoms and harmful alcohol use, while depressive symptom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cohol use problem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vealed that a full mediation model had a better fit than a partial mediation model did. Additionally,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In s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goal-focused self-regulation might decrease depressive symptoms, which in turn would decrease the severity of the alcohol use problem. In line with these results,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치매 노인의 인지 및 일상활동능력이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처방식과 비합리적 신념의 조절효과
남가영(대구대학교 재활심리학과) ; 박중규(대구대학교) pp.301-314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2
초록보기
초록

치매노인 인지기능 및 일상활동능력과 부양자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부양자의 대처와 비합리적 신념의 조절효과가 유의한지 알아봤다. 대구, 울산, 경북 지역 병원과 요양원을 이용 중인 치매노인 204명과 그 부양자 204명을 대상으로, 치매노인에게 간이정신상태검사-한국형, 일상활동평가-기초 및 복합을 실시했고, 부양자에게 스트레스 반응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 치매가족 부양자 사고 질문지를 실시했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편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t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활동능력은 부양자의 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활동능력이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대처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본 결과, 문제중심적 대처가 유의미한 조절변인으로서 기능했다. 셋째,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일상활동능력이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비합리적 신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상활동능력-기초에 대해서만 비합리적 신념이 조절변인으로서 기능했다. 단, 본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할 때 추후 보다 광범위한 대상에게 반복 검증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re are moderating effects of caregiver's coping styles and irrational belief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gnitive or daily living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stress. Tests were administered to 204 elderly with dementia who were being treated at hospitals and sanatoriums in Daegu, Ulsan, or Gyeongbuk provinces in Korea, and their 204 caregivers.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MMSE-K),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S-ADL), and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were administered on the elderly with dementia, while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SRI), Stress Coping Checklist, and Thoughts Questionnaire (TQ) were administered on their family caregiv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t-test.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bil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aregiver's stress. Among the caregivers’ coping styles, only problem-centered coping style functioned as a moderator. Further, irrational beliefs functioned as a moderating variable only with respect to basic daily living activiti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se findings revealed that some interventions need to be implemented to tackle the stress copings and irrational beliefs of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However, these findings resulted from the relatively small samples in korea, it needs to be replicated with the more larger sample in the future.

음악이 사회불안 대학생의 대인거리에 미치는 효과
이은선(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315-324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높은 사회불안 수준과 낮은 사회불안 수준을 가지는 대학생들 간 대인거리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음악이 대인거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LSAS)과 사회적 상호 불안 척도(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SIAS)를 실시하여 낮은 사회불안 집단(n=25)과 높은 사회불안 집단(n=25)을 선정하였다. 대인거리는 Comfortant Interpersonal Distance (CID) 과제를 사용하여 세 가지 조건, 즉 음악을 듣지 않는 조건, 긍정적 및 부정적 음악을 듣는 조건에서 측정되었다. 음악을 듣지 않은 조건에서 높은 사회불안 집단이 낮은 사회불안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먼 대인거리를 보였으며, 음악 조건×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다. 음악조건에 따른 집단 간 대인거리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음악이 없는 조건과 비교하여 긍정적 음악조건에서는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에서만 대인거리가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부정적 음악조건에서는 두 집단 모두에서 더 먼 대인거리가 관찰되었다. 즉 높은 사회불안 집단이 낮은 사회불안 집단에 비하여 더 먼 대인거리를 유지하고, 긍정적 음악이 높은 사회 불안 집단에서 대인거리를 좁히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긍정적 음악이 사회불안의 완화와 대인관계 향상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interpersonal space between high social anxiety and low social anxiety groups, and explored how music affects the interpersonal space in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Based on the scores of Liebowitz Social Anxiety Scale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high social anxiety (n=25) and low social anxiety (n=25) groups were selected. Interpersonal space was measured using a Comfortant Interpersonal Distance (CID) task, and interpersonal distance was measured in three conditions, i.e., music with positive emotional value, music with negative emotional value, and no music. Individuals with high social anxiety showed significantly farther interpersonal space than those with low anxiety did. In addition, music with negative emotional value made interpersonal distance broadened in both groups, whereas music with positive emotional value made the interpersonal distance narrowed only in the group with high anxie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usic can be used for the improvement of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ollege students with high social anxiety level.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외상 경험과 침습적 반추의 효과: 미래 인지와 성차의 조절된 조절된 매개
김예슬(강원대학교 심리학과) ; 이종선(강원대학교) pp.325-338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외상 경험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증상의 관계를 침습적 반추가 매개하는지, 부정적인 미래 인지가 외상에서 PTSD 증상까지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와 더불어 특히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에 성차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oderated mediation)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440명을 대상으로 생활사건 체크리스트, 사건 충격 척도, 사건관련 반추척도, 미래인지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상 경험과 PTSD 증상 간의 관계를 침습적 반추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외상에서 침습적 반추를 거쳐PTSD 증상에 이르는 매개효과를 부정적 미래인지가 조절했다. 마지막으로, 조절된 매개효과가 여학생에서만 유의하고 남학생에게는 유의하지 않음으로써, 조절된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의 경우 미래를 부정적으로 인지하는 사람들은 외상 후 침습적 반추를 통해 PTSD 증상에 이르게 되는 반면, 미래를 덜 부정적으로 인지하는 여학생은 동일한 조건에서 PTSD 증상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intrusive rumin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symptoms and if negative prospective cogni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rusive ru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PTSD symptoms. In particular, we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would be a gender difference in the aforementioned moderated mediation. A total of 440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nd 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Life Event Checklist, Impact of the Event Scale-Revised,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and the Prospective Cognition Questionnaire for this research.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intrusive rumin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PTSD symptoms. Secondly, negative prospective cognition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trauma on PTSD symptoms via intrusive rumination. Finally,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the moderating effect, confirming a 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More specificall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observed in female students but not in male students. In conclusion, after trauma, female students who recognize the future negatively are more susceptible to PTSD symptoms through the intrusive rumination, while female students who recognize the future less negatively can be protected from PTSD symptoms under the same condi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반추가 사회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류석진(영남대학교) ; 조현주(영남대학교) pp.339-350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5
초록보기
초록

최근 정신병리 관련 연구들은 불안과 우울의 높은 공병률에 주목하고, 진단을 초월한 공통적인 심리적 기제를 찾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사회불안과 우울에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반추가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북 지역에 소재하고있는 2개 대학의 재학생 531명을 대상으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 반추, 사회불안 그리고 우울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반추, 사회불안 및 우울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반추는 사회불안 및 우울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직접적으로 사회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반추를 매개로 하여 사회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와 반추가 사회불안과 우울의 공통적 위험 기제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시사점, 치료적 제언 그리고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Recently, psychopatholog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high level of comorbidity between anxiety and depression and have begun searching for shared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exist between the diagno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umination 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s common factors. To test this, we examine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rumination,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531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these data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twofold. First,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umin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eco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ffected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directly but it also affected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via rumi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rumination are common risk factors for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Sever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뉴로피드백을 이용한 불면장애 치료: EEG Beta 감소 프로토콜
전정은(덕성여자대학교) ; 최승원(덕성여자대학교) pp.351-368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6
초록보기
초록

만성 불면장애 환자들의 생리적 과각성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과각성 모델(Hyperarousal Model)은 수면과 각성 조절의 불안정 상태가 불면 증상의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만성불면장애 환자들이 다양한 형태의 신경 생리적 과각성을 나타낸다고 설명하고 있다. 선행연구들에서도 불면장애 환자들에게서 정상인보다 높은 고주파 대역의 뇌파를 나타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불면장애 환자의 과각성 상태를 시사하며, 이러한 과각성 뇌파패턴은 비회복적 수면을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불면장애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고주파대역의 뇌파인 Beta파(18-30 Hz)감소 뉴로피드백을 실시하여 불면장애 환자들의 불면장애 증상에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불면장애 관련 불면장애 관련 검사에서 불면장애를 시사하는 점수를 나타낸 참가자를 치료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에 무선할당을 하였다. 치료집단(n=5)은 일주일에 1번씩 10회기의 뉴로피드백 치료를 받고, 대기 통제 집단(n= 9)은 10주 간 아무런 처치를 받지 않았다. 뉴로피드백치료의 효과측정을 위해 치료집단과 대기 통제 집단의 치료 전, 후의 휴식기 뇌파(개안, 폐안), 심박변이도, 불면장애 관련 검사 점수, Smart Wearable Device를 이용해 측정한 데이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 집단보다 Beta파, 심박률, 수면잠복기, 불면장애 관련 검사 점수 감소와 Alpha파, 총 수면시간, 수면효율 증가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만성 불면장애 환자들에게 나타나는 신경생리학적 과각성 지표인 Beta파를 이용한 최초의 뉴로피드백 프로토콜일 뿐 아니라 Beta파 감소가 불면장애 증상에 효과가 있다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한다. Beta 감소 뉴로피드백 치료는 임산부, 장기적인 약물복용으로 인해 내성이 생긴 환자군, 노년층 등 특수한 환자군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대안적인 비약물 치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뉴로피드백의 치료 효과는 환자의 불면장애 증상에 대한 통제감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다른 정신질환과의 공존이환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본 연구는 10회기 후 불면장애 증상의 개선을 확인하였는데, 불면장애 증상의 빠른 경감 효과는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동기를 강화시켜줄 뿐 아니라 치료의 윤리적인 측면에서 환자들의 시간과 비용을 부담을 줄일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According to the "hyper-arousal" model of primary insomnia (PI), insomnia patients experience heightened physiological and cognitive arousal compared to normal people during both sleep and wakefulnes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insomnia patients show more high frequency electroencephalogram (EEG) signals than normal people. This suggests that hyper- arousal in insomnia, reflected in the high frequency EEG pattern, results in non-restorative sleep. Specifically, hyperarousal in PI results in increased beta activity that is associated with cortical arousal, resulting in non-restorative sleep.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icacy of a beta-decrease neurofeedback (NF) protocol for insomnia.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NF treatment or a wait-list control group. The NF treatment group received 10 sessions of NF (n=5), and the wait-list control group (n=9) group received no treatment. We compared the following parameters pre-and post-treatment, as well as 2-weeks following the final treatment: resting state EEG (eye-open, EO; eye-closed, EC), heart rate variability (HRV), sleep scales, sleep diaries, and Smart Wearable Device data. Result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beta power, HRV, SL (sleep latency), sleep scale scores, increased alpha power, TST (total sleep time), SE (sleep effectiveness), and sleep satisfaction in the wait-list control group compared with the NF group. This study is the first neurofeedback protocol using “Beta power” as a marker of neurophysiological arousal in insomnia. Our findings provide new evidence for the efficacy of Beta in decreasing insomnia symptoms and add to the range of non-pharmacological insomnia intervention choices for pregnant, psychopharmacotherapy-resistant, and older people. Neurofeedback not only provides control of insomnia symptoms but also results in a decreased risk of psychological comorbidities. This study found improved insomnia symptoms after only 10 sessions of NF. Fast remission of insomnia symptoms may reinforce patients’ motivations for treatment, is more cost-effective, and can result in reduced treatment times.

한국수어판 벡 절망척도(K-BHS-SL) 개발 및 타당화
정다원(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황순택(충북대학교) ; 조혜선(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정혜정(충북대학교) ; 신민철(충북대학교) ; 홍상황(진주교육대학교) pp.369-380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벡 절망척도(K-BHS)를 수어판으로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국판 벡 절망척도 수어판(K-BHSSL) 개발을 위해 K-BHS의 원문항을 한국수어의 문법 및 표현에 맞게 수정하여 수어-문자판을 제작한 후, 이를 한국수어로 번역하였고, 검사 문항은 동영상으로 제작되었다. K-BHS-SL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만 18세 이상의 농인 240명과 수어를 능숙하게 구사하는 이중언어자 54명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산출한 결과, K-BHS-SL의 내적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대체로 양호하였다. K-BHS-SL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단일 요인 모델이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한국수어판 벡 우울척도 2판(K-BDI-II-SL)과 한국수어판 벡 불안척도(K-BAI-SL)를 함께 실시하고, 상관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중언어자에게 수어판 검사와 원판 검사를 모두 실시하고, 상관분석과 대응표본 t-검증을 통해 두 검사 결과의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K-BHS-SL은 K-BDI-II-SL 및 K-BAI-SL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KBHS- SL과 K-BHS의 일치도 또한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K-BHS-SL이 신뢰롭고 타당한 검사이며, K-BHS와 마찬가지로 농인의 절망감을 평가하고 자살사고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Beck Hopelessness Scale-Sign Language version (K-BHS-SL), and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The researchers reviewed and revised the original items to create the text version of the K-BHS-SL to reflect the Deaf-culture and expression of Korean Sign Language (KSL). Next we translated the revised items into KSL and created the video version of the scale. Data were collected from deaf persons (n=240) and bilinguals in Korean and KSL (n=54). The K-BHS-SL exhibited adequat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Additional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K-BHS-SL and sign language versions of other inventories were significant. The agreement between the K-BHS-SL and K-BHS, which was examined by bilingual examiners,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BHS-SL is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evaluating hopelessness and predicting suicidal ideation in deaf persons.

K-WISC-IV 단축형의 타당도
황규식(원광대학교병원) ; 오상우(원광대학교) pp.381-390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8
초록보기
초록

ㅍ본 연구는 K-WISC-IV 단축형을 네 가지로 구성하고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A와 B형은 무선으로 추출된 정상아동 998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구성되었다. A 단축형 공식은 (2.308×VC)+(1.805×SI)+58.688이며, B 단축형 공식은(2.211×VC)+(1.569×LN)+(1.337×MR)+(1.360×SS)+35.118이다. C 단축형은 Sattler(2001)가 제안한 ([VC+BD+SI+CD+LN]× 1.4)+30이며, D 단축형은 Crawford 등(2010)이 제안한 15/Sold×(VC+SI+BD+MR+DS+CD+SS-70)+100 이다.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한타당도 검증에서 A, B, C, D 단축형 모두가 전체 IQ와 실제 전체 IQ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면서, 상관이 높았지만, B, C, D 단축형이 웩슬러의 지능 기술적 분류 일치율이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했을 때는 B 단축형만이 타당한 것으로나타났으며, 지적장애 3급으로 분류하는 일치율도 83.3%로 높게 나타났다. B 단축형은 대략적인 지능을 빠른 시간 안에 파악할 때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생각되나, 세부적인 인지기능에 관련된 정보의 손실, 범주화 분류의 위험성과 같은 단점들이 존재하므로 항상 주의해서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4 short forms for K-WISC-IV and to test the validity of each short form(SF). Both SF A and B were developed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data collected from 998 normal children. The formula for SF A was (2.308×VC)+(1.805×SI)+58.688, and that for SF B was (2.211×VC)+(1.569×L N)+(1.337×MR)+(1.360×SS)+35.118. The formula for SF C, developed by Sattler(2001), was ((VC+BD+SI+CD+ LN)×1.4)+30. Lastly, the formula for SF D, developed by Crawford et al(2010) was, 15/Sold×(VC+SI+BD+MR+DS+CD +SS-70)+100. For 998 normal children, the 4 SF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estimated IQ. The SF B, C, and D proved to be valid, showing more than 70% concordance rate with Wechsler's intelligence descriptive classification. For 66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only SF B showed the best result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estimated IQ and 83.3% concordance rate. Therefore, SF B may be the most useful version to identify approximate IQ in a short time. However, it should be always used with cautions because of information loss of detailed cognitive functions and limitations of descriptive classification.

16-17세 한국 청소년의 정신화 척도 요인구조 탐색
송현주(서울여자대학교) ; 최현아(은평고등학교) pp.391-401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09
초록보기
초록

발달 단계상 많은 취약성이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 집단에서 정신화의 중요성이 점차로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의 자기 보고식정신화 척도인 Hausberg 등(2012)이 개발한 자기보고식 정신화 척도를 한국 청소년 대상으로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전체 312명의 자료가수집되었고 수집된 자료를 무선으로 두 집단으로 나누어 첫번째 집단 162명은 EFA에, 두번째 집단 150명은 CFA, 신뢰도와 준거타당도 검증에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원 척도와 유사하게 4개 요인 모델이 추출되었으나 요인구조는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CFA 결과 수용가능한수준의 적합도를 나타냈다. 전체 문항의 내적 일치도 및 하위 요인의 내적 일치도는 Hausberg 등(2012)에 비해 다소 높거나 유사한 수준이었다. 준거 타당도 검증에서 공감척도와 RMET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집행기능 하위 요인 중 정서통제 어려움과 모든하위 요인들이 유의미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원 척도와 본 연구에서 제시한 요인 구조의 차이는 정신화의 근본적 개념적 모호성과 정서 처리에 대한 문화적 차이로 잠정적으로 귀인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표본의 대표성이 부족하고 준거 타당도 검증에 포함된 변인들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정신화 척도 타당화 연구로서 한국 청소년의 정신화 평가와 심리치료적 개입의 시발점을 제공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bstract

It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mentalization in the adolescents who have various vulnerabilities. This study validated Hausberg et al.’s Mentalization Questionnaire (2012) in Korean adolescents. A total of 312 high 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fo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he first group (N=162) was used for the EFA and the second group (N=150) was used for the CFA and validation procedure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the EFA, and the 4-factors model showed acceptable model fit indexes. The final 4 factor model was partial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model.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the 4 subfactors showed better or similar levels as compared to those reported by Hausberg et al. (2012). The criterion validities were verified using the Empathy Questionnaire, Reading the Mind in the Eyes Test (RMET), and Executive Function Questionnaire. Emotional control difficulty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all mentalization factors, while empathy and RME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entalization factors. In conclusion, the difference between this study model and the original model might be partially attributed to the conceptual vagueness of mentalization and the cultural differences in emotional process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ncluded the lack of a representative sample and insufficiency of variables in the criterion validation. Therefore, these results should be verified through further research. However, this study has value in that it is the first validation study on mentalization in the Korean population. It acts as a starting point in the assessment of Korean adolescents and the design of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수용과 행동 질문지 제2판(AAQ-II)에 대한 요인분석과 다분문항이론의 적용: 지역사회 노인표본을 대상으로
조용래(한림대학교) ; 서동기(한림대학교) pp.402-417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경험 회피 또는 수용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수용과 행동 질문지 제2판(AAQ-II)의 요인구조와 문항 적합성 및 응답 범주수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34명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이 작성한 AAQ-II의 응답자료에 대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두 문항의 측정오차 간 상관을 허용한 6개 문항의 1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10개 문항의 1요인 모형과 상관 2요인 모형, 7개 문항에 대한 1요인 모형과 8개 문항에 대한 1요인 모형은 측정오차 간 상관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모형 수정을 하더라도 합치도가 나쁘거나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들에 기초하여 제외된 AAQ-II의 4개문항들은 문항반응이론 결과에서 문항 적합도 또한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울러, 피검사자들은 대부분의 문항들에서 원래의 7개범주를 의미있게 구분하지 못하였으로 응답 범주의 수를 축소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AAQ-II가 6개 문항의 단일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타당함을 시사하며, 앞으로의 연구들에서는 5점 평정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AAQ-II)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dditionally, it evaluated the adequacy of its items and the number of response categories using item response theory (IRT). Participants consisted of 2,034 old adults dwelling in a community. A one-factor structure with covaried error terms was supported for six AAQ-II items. In contrast, the one-factor models in the 10-, 8-, and 7-item AAQ, as well as a correlated two-factor model, provided poor or inadequate fits, even after model modification. The four items of the AAQ-II excluded on the basis of the factor analyses also provided poor item fit based on the IRT. In addition, it was recommended to reduce the number of ratings for all items, instead of utilizing the 7-point rating used in the original AAQ-II scale. In conclusion, the six-item AAQ-II appears to be a unidimensional scale to measure experiential avoidance, and it is recommend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a 5-point rating scale of AAQ-II items in future.

델파이 방법을 통한 한국 임상심리학의 교육훈련 방향성 모색
전은경(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최승원(덕성여자대학교) ; 임혜진(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418-433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임상 심리학계의 교육 모형에 관한 논의가 미미한 현 시점에서, 교육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미래 교육 모형에 관한 합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 모형 수정 및 합의 도출에 적절한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였다. 전국 42명의 심리학과 교수를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조사를 실시한 결과 17명이 최종 응답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미래 교육 모형에 관한 예상되는 변화를 개진하도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2차 델파이 조사는 교육 모형에 관한 34개 문항에서 희망 정도와 가능성 정도를 추정하도록 하였다. 3차 델파이 조사는 다른 전문가 패널의 의견을 참고하여 34개 문항을 재추정할 수 있도록 하고, 주관적 의견을 기재할 수 있는 답변란을 제시하였다. 3차에 걸친 조사에서 전문가 패널의 의견 일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Kendall's W test를 실시한 결과 희망 척도는 379.에서 .466으로 상승하였고 가능성 척도도 .201에서 .312로 증가하였다.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한 결과 총 16개 문항에서 희망 척도와 가능성 척도 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각 문항의 평균 및 표준편차, 백분율 환산을 통한 차이 분석에서 희망 척도와 가능성 척도의 점수 차를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임상심리학계의 곧 다가올 미래의 윤곽을 그릴 수 있었으며, 교육훈련모형을 통하여 나아가고자 하는방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또한, 희망과 가능성의 차이를 통하여 임상심리학계의 발전에 있어서 걸림돌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계 최초의 미래 임상심리학 교육훈련방향성에 대한 경험적인 논문으로서 단초를 제시한다는데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consensus on the future education and training model of Korean clinical psychology which had not been discussed in the past. Three phases of a Delphi survey targeted 42 professors of departments of psychology nationwide, and 17 of them finally responded. In the first phase of the Delphi survey,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present their opinions on potential changes to the education and training model. In the second phase, drawn up based on the first phase,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estimate their levels of hope and possibility through 34 questions. In the third phase,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re-estimate their responses to the 34 questions by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a panel of other Profesor, and an answer section through which subjective opinions could be presented was offered. Throughout the three phases of the Delphi survey, Kendall's W test was conducted to find the concordance rate with the specialist pan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ale of hope rose from .379 to .466, and the scale of possibility increased from .201 to .312. According to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cales of hope and possibility. An outline of the Korean clinical psychology field could be drawn through this study, and future directions could be sought through the education and training model. In addition, obstacles in the clinical psychology field could be identified through the difference between hope and possibi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and training in clinical psychology has been presented through an empirical study for the first time.

국내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 학회지 및 기간별 분석을 통한 체계적 고찰
이가영(서울대학교병원) ; 장선경(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제갈은주(고려대학교) ; 구훈정(한신대학교) ; 최기홍(고려대학교) pp.434-447 https://doi.org/10.15842/kjcp.2017.36.3.012
초록보기
초록

무선통제연구 결과는 심리치료가 실제로 목표한 효과를 이끄는지 심리치료와 효과 간의 인과적 해석을 하는데 표준기준이 된다. 이에 무선통제연구결과는 심리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공공정신건강 영역에서 효과적인 심리치료 서비스를 선별하는데 주요 지침이 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 보고된 심리치료 무선통제 연구를 학회지와 기간별(1983-2003, 2004-2006, 2007-2011, 2012- 2015)로 체계적으로 리뷰하고,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의 질적 평가 척도’(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sychotherapy Quality Rating Scale, RCT-PQRS)를 사용하여 무선할당연구의 질을 평정하였다. 최종적으로 91편의 무선할당 연구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무선통제연구를 적어도 5편 이상 출간한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가 국내에서 심리치료 무선할당 연구를 보고한 주요 학술지로 선정되었다. 학회지와 기간별로 무선통제연구의 특성(예, 연구 참가자 특성, 심리치료 특성)과 질을 분석한 결과, 국내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의 특성은 대부분 기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는 학회지별로 출판시기, 연구 참가자의 진단 여부와 진단 범주, 처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한 처치의종류, 비교집단의 특성에서 모두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한국심리학회'에서 출판된 연구들은 그렇지 않은 학회지의 연구보다 무선통제연구의 질이 더 높았다. 그리고 국내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의 전반적인 질은 기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 심리치료 연구 결과를 게재하는 주요 학회지와 심리치료 연구자들이 앞으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제시하였으며, 임상가 및 공공 정신건강 정책 관련 전문가들에게 효과적인 심리치료 서비스에 대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is one of the gold standards of evidence for efficacy of psychotherapy that allows causal interpretations between a specific psychotherapeutic approach and outcomes. Thus, results from the RCTs are considered a basis for determining which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should be delivered to the public. In the current study, we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psychotherapy RCTs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journals published in and their publication periods (i.e., 1983-2003, 2004-2006, 2007-2011, and 2012-2015). In addition, we have evaluated the quality of RCTs by employing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sychotherapy Quality Rating Scale (RCT-PQRS). A total of 91 RCT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current analysis. Four journals (i.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and Korean Journal of East West Mind Scienc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ince they published at least five R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tudy characteristics (e.g., sample characteristics, types of psychotherapy) between the research periods whereas RCT quality scores have increased over time. Overall, RCTs published in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PA) Journals had greater RCT quality scores than those published in non-KPA Journals. In terms of the analysis of published journa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y characteristics (e.g., sample characteristics, types of control groups, types of psychotherapy) between journals. Several issue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in order to enhance quality of RCTs and to disseminate evidence-based information about efficient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to the public.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