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권호 목록

The Effect of Binge Eaters’ Anger Regulation Training on Attentional Bias and Caloric Intake
이은지(중앙대학교) ; 신은해(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이장한(중앙대학교) pp.349-356 https://doi.org/10.15842/kjcp.2019.38.4.001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Binge eating, defined as the consumption of large quantities of food in a short period of time, is a behavior that manifests when a binge eater, who cannot regulate negative emotion-provoking situations and has increased attentional bias to high-caloric foo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nger regulation training (reappraisal and suppression) on attentional bias to food images and caloric intake. Forty-seven binge eaters and 44 healthy contro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two anger regulation training conditions (reappraisal, suppression) and given anger mood induction and instructions. Consequently, the binge eater group spent significantly less time dwelling on food images, and caloric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under the suppression condition, than the reappraisal condi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when trained through reappraisal, binge eaters decrease the time they spending dwelling on food images and caloric intake.

일상적 우울이 임상적 우울로 발전하는 경로에 대한 모형탐색
최승원(덕성여자대학교) ; 김종남(서울여자대학교) ; 이순묵(성균관대학교) ; 채정민(서울사이버대학교) ; 서동기(한림대학교) ; 이혜림(덕성여자대학교) ; 김아란(덕성여자대학교) ; 이유진(덕성여자대학교) pp.357-368 https://doi.org/10.15842/kjcp.2019.38.4.002
초록보기
초록

연구는 대부분의 정상인들이 자연스럽게 경험할 수도 있는 우울경험인 ‘일상우울’과 임상적 수준의 ‘우울증’을 구별하고, 일상우울이임상적 우울의 발생에 선행한다는 새로운 구조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성인 남녀4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상우울의 예측요인으로 예상되는 스트레스지각,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지지가 일상우울을 매개해 임상수준의 우울을 예측하는 관계모형을 검증한 결과, 우울 유발 변인이 일상우울을 설명하고 이것이 임상적 우울을 예측한다는 모형의 전반적인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우울 유발 변인인 스트레스,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적지지가 일상우울을 예측한다는 본연구의 가설과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일상우울이 역학적 우울의 발생을 예측하는 새로운 개념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일상우울 개념의 도입은 우울증 환자들에 대한 사회의 인식을 개선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심리학자의 시각에서 정신병리를 바라본 드문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daily depression,” a depression that most normal people tend to experience naturally, from “dysfunctional depression (including clinical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a new structural model in which daily depression precedes the occurrence of clinical depression. To examine our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of 440 adult men and women throughout Korea, excluding Jeju Island. We verified a relationship model with stress percep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normal depression, showing that 1) the overall fit measures of our model of the relationship of predictors with normal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depression an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rmal depression and dysfunctional depression were good, consistent with our hypothesis that causal factors such as stress, socioeconomic status, and social support also predict normal depression, and 2) these preceding variables affect dysfunctional depression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normal depression could be a new concept for predicting the occurrence of epidemiological depression, and the introduction of this concept could also help improve the perception of depression patients in our society. It is also meaningful as a rare attempt to understand mental disorder from a psychologist’s point of view.

맥락이 사회불안의 사회적 유능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최성영(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양재원(가톨릭대학교) pp.369-381 https://doi.org/10.15842/kjcp.2019.38.4.003
초록보기
초록

타인에 대한 평가는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할 때 사회불안의 수준에 따라 맥락의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120명(남 60, 여 60)의 대학생에게 사회불안의 정도를 측정한 후 대상의 무표정한 중립 얼굴을 단독으로, 혹은 그를 쳐다보고 있는 다른 두 사람이 있는 상황을 제시한 후 그에 대한 사회적 유능성을 평정하도록 하였다. 이때 다른 두 사람의 표정은 기쁨, 분노, 중립, 혐오 중 하나로 제시하였으며, 제시 시간은 500 ms와 반응할 때까지 2종류로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자극의제시 시간이 길어질수록 정서 표정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불안 측정치가 높을수록 남성의 경우에는 기쁨과 중립의 관찰자가 있을 때 더욱 유능하다고 평정한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분노, 혐오와 중립의 관찰자가 있을 때 더욱 무능하다고 평정하였다. 이는 제시 시간과 사회불안의 수준에 따라 타인의 사회적 유능성 평정에서 맥락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며, 특히 성별에 따라 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When people judge how competent others are in society, the judgement highly depends on the social contex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symptoms influence the contextual effect on people’s judgement toward others’ social competence. In the experiment, a total of 120 individuals (60 males, 60 females) completed self-report scales about social anxiety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made responses about their target’s social competence when they were shown the target’s neutral expression either with the target alone or with the presence of two additional observers’ staring at the target. The observers exposed facial expressions of either joyful, angry, neutral or disgust, either for 500 ms or until respons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the observer’s emotional expression was proportional to the duration. Especially, when the levels of social anxiety symptoms were high, male participants judged the target to be more competent with the presence of neutral or joyful observers, whereas female participants judged the target to be more incompetent with the presence of angry, disgust or neutral observe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textual effects on judgement of social competence depend on the duration of exposure, level of social anxiety, and especially, gender difference.

우울증, 양극성 장애, 자살행동, 비자살성 자해의 근거기반 심리치료: 현 상태와 미래의 방향
권정혜(고려대학교) pp.382-387 https://doi.org/10.15842/kjcp.2019.38.4.004
초록보기
초록

본 논문은 우울증 관련 장애의 근거기반 심리치료에 관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특별호의 서론에 해당된다. 본 특별호에 포함된 네 편의 논문에서는 우울증, 양극성 장애, 자살행동, 자살의도가 없는 자해에 대한 근거기반 심리치료의 현황을 해외연구와 국내연구들을 통해 살펴보는 의미 있는 작업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근거기반 심리치료의 배경 및 기준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이번 특별호에 게재된 논문들에 대한 논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근거기반 심리치료를 활성화하고 널리 보급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앞으로 근거기반 심리치료가 국내에 자리잡기 위해서 연구의 활성화, 전문가 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 수련의 개선, 현장에서의 적극적 보급과 함께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Abstract

This article is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s special section on evidence-based psychotherapies (EBPs) for treatment of mood disorder and suicide-related behavior: major depressive disorder, bipolar disorder, suicidal behavior, and non-suicidal self-injury. Criteria for EBPs, current evidence on the efficacy of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mood disorder and suicide-related behavior, and comments on review articles in this special section were presented. Finally, future directions to bridge the big gap between research in and practice of EBPs for treating mood disorders and suicide-related behavior, and enhancing their implementation and dissemination in clinical practice were discussed.

우울증의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고찰
김지인(전주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권호인(전주대학교) pp.388-399 https://doi.org/10.15842/kjcp.2019.38.4.005
초록보기
초록

우울증은 만성적이고 재발적인 경과뿐 아니라 자살의 영향력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간주되고 있다. 전 세계의 여러 연구자들은 우울증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치료의 개발과 그 효과 검증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의 연구를 통해 우울증 치료에 있어서 그 효과가 강력하게 지지된 인지치료, 행동활성화치료, 대인관계치료, 문제해결치료의 치료 요인과 과정, 국내 치료효능연구를 개관하였다. 또한 국내 우울증의 심리치료 결과를 요약하여, 이를 바탕으로 우울증에 대한 근거기반치료의 권고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인지행동치료와 수용전념치료, 마음챙김에 기반한 인지치료를 효과가 있음직한 치료로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심리치료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으며, 국내의 근거기반 우울증 치료의 연구 및 보급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Abstract

Depression is of great individual and social importance because of its devastating course and risk for future suicide attempts. Researchers globally have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depressive disorder and thus have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reatment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basic assumptions, treatment factors, and efficacy trials of cognitive therapy, behavior activation therapy, interpersonal therapy, and problem-solving therapy. In addition, the results of psychological treatment of depression in Korea are summarized, based on which recommendations for evidence-based treatment for depression are sugges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a domestic stud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nd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re proposed as treatments that might be effective. Finally, this article highlights future directions for evidence-based depression treatment research in Korea.

자살행동의 근거기반치료
유성은(충북대학교) ; 김효중(충북대학교 심리학과) pp.400-414 https://doi.org/10.15842/kjcp.2019.38.4.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자살행동의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개관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메타연구와 무선할당통제연구를 중심으로 자살위기에 대한 단기 심리적 개입과 심리치료적 접근에 대한 치료 효과 연구를 개관하였다. 연구 결과, 단기 심리적 개입 중에는WHO에서 개발한 단기 개입 및 추후 접촉(WHO-BIC), 안전계획 개입(SPI)과 위기 반응 계획(CRP)이 근거기반이 강한 또는 어느 정도인치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치료적 접근 방법 중에는 자살행동의 감소를 목적으로 시행되는 인지행동치료(CBT)와 변증법적치료(DBT), 자살위기에 대한 협력적 평가 및 관리(CAMS)가 다양한 임상 집단에서 비교적 일관적으로 치료효과가 반복 검증되어 강한 근거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자살행동에 대한 심리치료 효과에 대한 국내 연구는 자살생각의 감소만을 평가하였고 자살시도의 감소 또는 자살예방을 목적으로 한 치료효과 연구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현 시점에서 근거기반 수준을 평가하기에는 시기상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외 연구를 기반으로 자살행동에 대한 근거기반치료에 대한 권고안을 제시하였고 국내 연구 및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review evidence-based psychological treatments of suicidal behavior. Specifically, the effectiveness of brief psychological crisis interventions and suicide-specific psychological treatments were examined based on metaanalytic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The results of the current review indicate that brief intervention and contact develop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BIC), safety planning intervention (SPI), and crisis response planning (CRP) are evidence-based brie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Among psychological treatment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 and collaborativ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suicidality (CAMS) are evidence-based. In Korea, treatment outcome studies of suicidal behavior have targeted for reducing suicidal ideation only, but not for suicide attempt or suicide. Thus, it is premature to determine the evidence level of psychological treatments of suicidal behavior in Korea. Based on studies in other countries, evidence-based psychological treatments for suicidal behavior are recommended, and directions for domestic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are suggested.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의 근거기반치료
허지원(고려대학교) pp.415-426 https://doi.org/10.15842/kjcp.2019.38.4.007
초록보기
초록

지난 10여 년간, 자살 의도가 없는 상태에서 신체 조직을 손상하는 형태로 가하는 자발적인 자기 위해인 ‘자살 의도 없는 자해’에 대한 우려가 높아져왔다. 그 어떤 정신질환보다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으며 개인의 생물학적, 사회적 발달에 유의한 장해로 작용하기에, 정신건강영역에서 다각도의 치료적 개입이 개발되고 검증되어 왔다. 그러나 전통적인 심리치료에서 약물치료에 이르기까지,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에 대한 개입 중 타 치료들에 비해 그 효과의 우월성이 두드러지는 특정한 치료는 현재까지 정립된 바는 없다. 이는 모든 연령대에서 그러하지만 특히 소아, 청소년에 두드러지는 양상이며, 일부 치료는 치료자의 변인이 이들 자살의도가 없는 자해를 오히려 악화시키는 데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많은 연구자는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에 대해 특정 치료 유형을 강조하는 것에 대해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다만 현재로서는 인지행동치료 및 정서조절훈련 기반 치료들이 유망한 근거기반치료 후보군으로 보이며, 치료자들이 자살 의도가 없는 자해문제에 개입하는 과정에서치료의 효용성과 치료순응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일련의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려는 노력이 병행되고 있다.

Abstract

Over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growing concern about nonsuicidal self-injury (NSSI), which refers to deliberate selfharming behaviors aimed at the destruction of one’s own body tissue without suicidal intent. A serie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have been developed and have verified that NSSI has a higher prevalence than any other mental illness and is a significant obstacle to the bi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of individuals. However, from traditional psychotherapy to drug therapy, no specific treatment has been established to date for intervention of NSSI. These findings are consistent across different age groups, but especiall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Even an untrained therapist’s approach seems to contribute to aggravating NSSI. As a result, many researchers have a taken reserved attitude towards the level of effectiveness of certain types of NSSI treatment, but at present significant efforts are being made to establish a set of guidelines for clinicians to ensure the efficiency and compliance of therapeutic intervention of individuals who engage in NSSI.

양극성 장애의 근거기반치료
김빛나(서울대학교) pp.427-444 https://doi.org/10.15842/kjcp.2019.38.4.008
초록보기
초록

양극성 장애는 양방향의 기분삽화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며, 다양한 범위의 기능장해 및 자살 위험성과 관련성이 높은 만성적인 정신장애이다. 본고에서는 양극성 장애의 치료에서 심리사회적 개입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논의하고, 해외 및 국내 치료효과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양극성 장애의 근거기반치료로서 어떠한 심리치료가 우선 활용 가능한지에 대한 최신지견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무선할당 통제연구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들을 고찰한 결과, 해외에서는 대표적으로 4가지 근거기반치료(심리교육, 가족중심치료, 인지행동치료, 대인관계 및 사회적 리듬 치료)가 양극성 장애의 유지치료 및 우울 급성기 치료에 효과가 입증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적으로 마음챙김 인지치료, 변증법적 행동치료의 잠정적인 치료 효과가 보고되기 시작하였다. 반면, 국내에서는 일부 예비연구들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확실한 경험적근거를 갖춘 근거기반치료는 아직 없었다. 마지막으로 향후 국내에서 양극성 장애의 근거기반치료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Bipolar disorder (BD) is a chronic 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bidirectional mood episodes and associated with diverse functional impairments and suicidal risk. Firstly, this narrative review emphasized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adjunct psychosocial interventions for BD. Next, the author attempted to provide up-to-date guidelines on which particular psychosocial interventions could be recommended as evidence-based treatment (EBT) of BD by reviewing treatment studies conducted in Korea as well as other countries. As a result, four psychosocial interventions (psychoeducation, family-focused therapy,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interpersonal and social rhythm therapy) were identified as EBTs with strong levels of evidence, based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onducted overseas. In general, adjunct psychosocial treatments showed effectiveness in relapse prevention and acute treatment during depressive episodes. Additionall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nd dialectical behavioral therapy began to demonstrate promising outcomes. However, although several preliminary studies have been published, there was a shortage of empirical evidence for effective EBT of BD within Korea. Lastly, the author discussed how to promote and disseminate EBT of BD with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