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위주의 성격과 강간 통념 수용도에 따른 청소년 성범죄 사건에서의 판단 차이

Differences in the judgment of sexual violence involving juvenile victim by authoritarianism and rape myth acceptanc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 사건 판단이 피해자의 성매매 전력 및 ‘피해자다움’ 부합 여부,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평가자의 권위주의 성격과 강간 통념 수용도가 사건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20대부터 50대에 이르는 연구 참여자 총 335명(여성 170명, 남성 165명)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가해자 처벌 및 피해자 비난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별과 연령이 가해자 처벌 및 피해자 비난에 미치는 영향을 강간 통념 수용도와 권위주의 성격이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청소년 피해자가 ‘피해자다움’에 부합하는 행동을 보이지 않을 때 피해자를 더 비난하고 가해자가 더 가벼운 처벌을 받아야 한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피해자가 가해자와 아는 사이일 때보다 채팅앱에서 만난 사이일 때 피해자를 더 비난하였다. 남성 연구 참여자들이 여성 연구 참여자들보다 가해자를 비교적 가볍게 처벌하고 피해자를 더 비난하였으며, 권위주의 성격이 강하고 강간 통념 수용도 또한 더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연구 참여자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피해자를 더 비난하였고, 강간 통념 수용도가 더 높았다. 판단자의 성별이 가해자 처벌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강간 통념 수용도가 매개하였으며, 판단자의 성별과 연령이 강간 통념 수용도 및 권위주의 성격을 거쳐 피해자 비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sexual violence against juvenile victims victim stereotypes history of juvenile prostitution chat application authoritarianism rape myth acceptance 청소년 성범죄 피해자다움 성매매 전력 채팅앱 권위주의 성격 강간 통념 수용도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judgments of sexual violence involving juvenile victims vary by history of victim’s juvenile prostitution, victim’s behavior conforming to stereotypes of an “ideal” victim, and relationships between victim and perpetrator. The study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participants’ level of authoritarianism and rape myth acceptance on their judgments of sexual violence. A total of 335 participants(170 females, 165 males) in their 20s to 50s assessed the degree of victim blaming and perpetrator sentencing.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ticipants’ gender and age on the judgments of victim blaming and perpetrator sentencing, and the mediation effects of authoritarianism and rape myth acceptance. As a result, participants blamed the victim more and imposed a lighter sentence on the perpetrator when the juvenile victim did not conform to the image of an “ideal” victim of sexual violence as opposed to a “typical victim”. They also blamed the victim more when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met through a chat application than when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had known each other. Male participants as opposed to female participants blamed the victim more, punished the perpetrator more lightly, and exhibited a higher level of authoritarianism and rape myth acceptance. The older the participants were, the more they blamed the victim and the higher they demonstrated rape myth acceptance. The effect of the participants’ gender on the judgment of the perpetrator punishment was mediated by rape myth acceptance, and the effect of the participants’ gender and age on the victim blaming was mediated by authoritarianism and rape myth acceptance.

keywords
sexual violence against juvenile victims victim stereotypes history of juvenile prostitution chat application authoritarianism rape myth acceptance 청소년 성범죄 피해자다움 성매매 전력 채팅앱 권위주의 성격 강간 통념 수용도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