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권호 목록

평결범주와 일반인의 법적판단: ‘무죄표상’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유화(충북대학교) pp.1-22 https://doi.org/10.53302/kjfp.2022.03.13.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민참여재판의 평결범주가 일반인의 법적판단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무죄표상’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무죄표상’은 일반적인 의미의 무죄(잘못이 없음)판단을 위한 심리적 기준을 의미한다. 또한, 법률로 정해진 유죄판단 기준으로 간주되는 ‘합리적 의심의 여지없는 유죄의 증명(beyond a reasonable doubt: BRD)’과 개인의 역치에 대한 추정치인 IT(individual threshold)의 역치로서의 기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평결범주(유죄/무죄 vs. 유죄/유죄아님)와 피고인 유죄가능성(낮음 vs. 높음)을 각각 두 수준으로 조작한 2×2 완전교차요인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137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실험은 ‘무죄표상’ 및 기소유죄확률 측정, 재판시나리오 제시, 피고인에 대한 법적판단(판단 확신감 및 피고인 유죄가능성 추정 등 포함)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평결범주는 일반인의 법적판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죄/무죄’의 평결범주를 제시받은 경우 ‘유죄/유죄아님’의 평결범주를 제시받은 경우보다 유죄판단 비율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일반인들의 ‘무죄표상’과 평결범주의 상호작용은 이론적 유죄판단 역치(BRD)와 개인의 역치(IT)의 차이(역치변화량)를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죄/무죄’의 평결범주를 제시받은 경우에 ‘유죄/유죄아님’의 평결범주를 제시받은 경우보다 ‘무죄표상’의 변화에 따른 역치변화량이 더 컸다. 역치로서의 BRD와 IT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IT가 유죄가능성과 상호작용하여 일반인의 법적판단을 유의하게(p<.1)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IT가 BRD보다 더 좋은 역치 추정치라고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법률가들 사이에서 종종 제기되는 문제인 국민참여재판 평결범주의 효과를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그 효과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논리적인 추론 및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tested the effect of the verdict category of lay-participation trial in Korea on the legal decision of layperson and the role of representation of ‘innocent’ in the process. Representation of ‘innocent’ refers to a psychological threshold for deciding someone’s innocence (no fault or sin) in a general sense. The functions as a threshold for a legal decision of ‘beyond a reasonable doubt (BRD)’ and the individual threshold (IT), regarded as a standard for judgment of guilt established by law and an estimate of an individual’s threshold, respectively, were compared. This study used a 2×2 complete factorial design in which the verdict category (guilty/innocent vs. guilty/not guilty) and the defendant’s likelihood of guilt (low vs. high) were manipulated. Data from 137 lay-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online experiment was analyzed. The experiment’s procedure was in the order of measuring ‘representation of innocent’ and the likelihood of guilt of an accused, presenting one of four trial vignettes, and obtaining legal decisions (verdict confidence and estimation of the likelihood of guilt for the defenda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verdict categor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gal decision of layperson. However, the guilty verdict rate of the ‘guilty/innocent’ condition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the ‘guilty/not guilty’ condition. The layperson’s representation of ‘innocent’ and the verdict category had an interaction effect on the difference between BRD and IT (threshold change)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In the ‘guilty/innocent’ condition, the threshold change varying with layperson’s representation of ‘innocent’ was larger than in the ‘guilty/not guilty’ condition. In comparing the function of BRD and IT, IT significantly predicted the lay person’s legal decision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 by interacting with the likelihood of guilt for the defendant.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IT was a better threshold estimator than BR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d experimental evidence for the effect of the verdict category of lay-participation trial in Korea, which is a problem often raised among lawyers, and suggested logical reasoning and empirical grounds for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possible effect.

사회여론에 대한 법관의 인식: 법관 대상 FGI에 대한 근거이론 분석과 토픽 모델링 비교
강태경(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pp.23-52 https://doi.org/10.53302/kjfp.2022.03.13.1.2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직 법관 24명을 대상으로 법관들이 재판과 관련하여 사회여론을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와 사회여론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에 대한 초점 집단 면접(FGI)을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과 구조적 토픽 모델링(STM)을 수행하였다. 근거이론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상규, 사회통념, 법감정, 국민정서를 여론과 개념적으로 구분하였고, 여론을 특정한 법적 쟁점이나 사건에 대한 일시적이고 감정적인 반응과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의견으로 구분하여 이해하였다. 그리고 사건의 종류나 법적 쟁점에 따라 여론이나 사회통념에 대해 다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 모델링 결과는 근거이론적 분석 결과와 상당한 유사성을 보였고, 특정 토픽의 발현 가능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담당 사건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24 incumbent judges were conducted on how they conceptualize public opinion and what attitude they take toward it in relation to judicial trial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and topic modeling (STM).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results, judges distinguished concepts such as social rules, socially accepted ideas, legal emotion, and public mood from public opinion, and subdivided public opinion into temporary and emotional reactions to specific legal cases and consistent attitudes toward law and polic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udges' attitudes toward public opinion and social norm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ases or legal issues. Topic modeling results significantly corresponded to the grounded theory results. In this model, the effects of the types of cases dedicated to participants on topical preval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교정시설에 수용된 소년범의 교정 처우에서 ‘용서하기’의 가능성에 대한 고찰
지원근(법무부 범죄예방정책연구팀장) pp.53-74 https://doi.org/10.53302/kjfp.2022.03.13.1.5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현행 교정 처우의 보완적 방안으로서 소년 교정시설 내에서의 ‘용서하기’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 고찰을 통해 지난 30여 년간 심리학자들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용서의 개념과 용서 프로그램이 기반하고 있는 주요 용서 모델을 개관하였다. 그리고 최근 형사사법에서 주목받고 있는 회복적 사법에서 통용되는 용서와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정시설에 수용된 소수의 고위험군 소년범은 상대적으로 심각성과 위험도가 낮은 소년범보다 아동기 부정적 생애경험을 비롯한 피해 사건을 더 많이 겪는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와 다양한 배경에서 시행된 용서 프로그램 결과를 토대로 소년 교정 현장에서의 ‘용서하기’의 가능성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해자인 소년범들도 이전에 경험한 피해 사실의 범주 내에서 제한적으로 ‘용서하기’가 가능하며, ‘용서하기’를 통한 심리적 어려움의 경감과 타인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개선이 교정 처우의 효과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이 결론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forgiving among serious juvenile offenders placed in correctional facilities, as an alternative to current correctional approaches.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and misconceptions of forgiveness were outlined, and the two major models of forgiveness were introduc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ncepts of forgiveness in psychological literature and in restorative justice were addressed. Based on the prior studies on the prevalence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in serious juvenile delinquents and a recent forgiveness project conducted in a maximum-security prison, it was argued that it would be possible for a small number of serious juvenile offenders in correctional facilities to forgive someone who did injustice in the past, which would result in an improvement in the outcomes of correctional education and treatment. Some limitations of this article and the need of further studies were pointed out as well.

수사관의 수사요소 중요도 인식이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신상화(경찰대학) ; 윤상연(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pp.75-97 https://doi.org/10.53302/kjfp.2022.03.13.1.75
초록보기
초록

프로파일링은 국내 범죄심리학의 대표적인 활용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경찰청 프로파일러는 확고한 직업군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인지도와 비교하면 정작 경찰 내부에서의 인식이나 활용도는 높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력사건 발생 시 프로파일러에게 프로파일링을 요청하고 활용하는 수사관의 인식을 파악하여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사관들이 범죄 수사과정에서 고려하는 요소들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가 프로파일링 활용 의도에 미치는 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검증했다. 경찰 수사관 3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사관의 수사요소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규범적 수사(증거수집과 법적 판단 등)와 사실적 수사(범죄자 분석, 범죄정보 시스템 분석 등) 중요도의 2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이 중 사실적 수사 중요도가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를 매개하여 활용 의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규범적 수사 중요도의 경우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사관이 자신의 주 업무 영역인 수사에 대해 가지는 인식이 프로파일링에 대한 태도뿐 아니라 프로파일링 요청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파일링 이용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을 논의하였다.

Abstract

Profiling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application area of ​​domestic criminal psychology,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profiler is firmly established as a profession. However, compared to the social awareness,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within the police is not high.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profiling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 of investigators who request and use profiling from a profiler when a violent incident occurs. To this e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factors considered by investigators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process and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on the intention to use profiling was verified through the path model. As a result of a survey of 340 police investigators, the investigato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on elements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the importance of normative investigative elements (evidence collection and legal judgment, etc.) and factual investigative elements (criminal analysis, criminal information system analysis, etc.). Among them, the importance of factual investigative element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it by mediating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mportance of normative investigative elements,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attitude toward profil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rception that investigators have about investigation, which is their main work area, plays a role in determining whether to request profiling as well as attitude towards profil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trategies necessary to activate the use of profiling were discussed.

logo